본문내용
1. 철학이란 무엇인가?
1.1. 일상과 철학
바쁜 우리의 삶 속에서 한번씩 자신의 모습을 되돌아 볼 때가 있다. 이럴 때 평소 해결할 수 없었던 문제 상황들에 대해서 다시 한 번 되짚어보며 대응책을 마련하고자 노력한다. 특히 사회생활에서의 어려움으로 인한 문제에 부딪혔을 때 인생과 사회, 역사와 종교 등에 대하여 근본적인 물음까지 다가서게 되며, 나 스스로에게 여러 질문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물음 또는 질문들은 생각을 하게 만들고 이러한 생각들이 거듭되면서 발전적 변화들을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들이 우리의 인생을 한층 더 발전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는 자연스럽게 철학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그러나 바쁜 우리의 일상 관계로 철학적 사유는 매우 어렵게 느껴지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생활에서의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철학적 사유를 어렵게만 생각하지 말아야 할 필요가 있다.
1.2. 철학과 개별과학
철학은 삶의 문제에 대한 지적 대응의 성격상 다른 학문들과도 필연적으로 연결된다. 인간은 자연과 사회라는 환경 속에서 여러 문제 상황에 항상 처해 있으며, 다양한 판단 능력과 이성적 사고로 이러한 문제 상황에 대처하고자 한다. 인간은 중간적 존재로서 이성적 노력의 결과로 지식 또는 지혜를 중요시한다. `지혜에 대한 사랑`이라는 철학의 어원적 정의는 철학이 인간에게 근원적이며, 필연적인 것임을 말해준다.
그러나 개별과학적 성과들이 전통적인 지식 체계 내지 세계관을 크게 흔들어 놓았고 이는 철학의 위기라고까지 운운되었으나, 개별과학들이 조화보다는 갈등으로 인해 결국 철학적 학문의 수행이 필요함과 그 위상을 유지해오고 있다. 즉, 개별과학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갈등하게 되자 철학의 필요성이 다시 대두되었다는 것이다. 이렇게 철학은 제반 환경 속에서 우리의 인간 삶을 보존시키고 향상을 위해 좀더 전체적,보편적, 근원적인 관점에서 답을 찾고자하는 이성적 노력이자 그에 대한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철학은 개별적인 학문들과 관련되어 있으면서도 철학 고유의 문제영역들을 탐문해 왔다. 이런 점에서 개별과학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철학은 그 위상에 맞게 흔들림 없이 보존될 수밖에 없다. 즉, 철학은 개별과학과 깊은 연관을 맺으며 발전해 왔지만, 동시에 고유한 문제영역들을 다루며 개별과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고 할 수 있다.
1.3. 철학의 위상
철학은 제반 환경 속에서 우리의 인간 삶을 보존시키고 향상을 위해 좀더 전체적,보편적, 근원적인 관점에서 답을 찾고자하는 이성적 노력이자 그에 대한 소산이다. 이렇게 철학은 `지혜에 대한 사랑`으로서의 전통적인 지위를 갖는다. 지나간 철학사를 보면 철학은 개별적인 학문들과 관련되어 있으면서도 철학 고유의 문제영역들을 탐문해 왔다. 따라서 여러 철학자들 역시 철학을 보편학이라고 강조한다. 이런 점에서 개별과학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철학은 그 위상에 맞게 흔들림 없이 보존될 수밖에 없다.
1.4. 철학의 문제영역
철학의 문제영역은 크게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존재론은 존재의 근원과 내적 연관에 대한 성찰을 말한다. 이는 세계에 대한 전체적이고 통일적인 이해를 핵심으로 하며, 개별과학 전반에 많은 영향을 준다.
인식론은 진리의 의미와 기준에 대한 성찰이다. 이는 개별과학의 탐구방식에 대하여 지식 전반에 걸쳐 반성적인 고찰을 강조한다.
가치론은 삶의 의미와 현실에 대한 성찰이다. 이는 인간들이 지향하는 가치관들에 대한 총체적, 반성적 고찰이며, 사회, 정치, 문화, 인생 등 전반적 문제영역까지 접근 가능하다.
또한 논리학은 사고의 형식적 규칙에 대한 성찰로서 현대 철학의 중심적인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철학은 존재, 인식, 가치, 논리의 문제영역들을 탐구하며, 이를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성찰을 추구한다. 철학은 개별과학들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으면서도 철학 고유의 문제영역들을 탐구해왔기에,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