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영작문2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문장 작문과 교육론 비교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
1.1. 주입식 교육관
1.1.1. 주입식 교육관의 정의
1.1.2. 주입식 교육관의 특징
1.2. 성장식 교육관
1.2.1. 자연주의 교육관
1.2.2. 진보주의 교육관
1.2.3. 실존주의 교육관
1.3.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의 비교
1.4.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의 교육적 시사점
2. 매슬로(Maslow)의 욕구위계이론
2.1. 매슬로 이론 개요
2.2. 매슬로의 동기위계설
2.2.1. 생리적 욕구
2.2.2. 안전의 욕구
2.2.3. 소속과 애정의 욕구
2.2.4. 자기 존중의 욕구
2.2.5. 자아실현의 욕구
2.3. 매슬로의 욕구위계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주입식 교육관과 성장식 교육관
1.1. 주입식 교육관
1.1.1. 주입식 교육관의 정의
주입식 교육관이란, 교육이란 가르치는 사람이 배우는 사람에게 어떤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고 익히도록 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전달되는 지식이나 기술은 가치 있는 것이며, 가르치는 사람은 그것을 배우는 사람들에게 전수해 주어야 하고, 배우는 사람은 모든 내용을 받아들여 그에 다라 행동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교육을 마치 항아리에 물이나 곡식을 부어 넣듯이 사람의 머리나 마음속에 지식이나 신념을 부어 넣어 주는 것으로 이해하는 관점이다."
1.1.2. 주입식 교육관의 특징
주입식 교육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중심적 교육을 특징으로 한다. 주입식 교육관에서는 교사가 능동적으로 지식을 전달하고, 학생은 수동적으로 그 지식을 습득하는 일방적인 교육이 이루어진다. 교사는 모든 교육의 주체가 되어 학생들에게 어떠한 지식이나 기술을 전달하고 익히도록 하며, 학생들은 단순히 그 내용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
둘째, 지식 중심적 교육을 특징으로 한다. 주입식 교육관에서는 지식 자체가 교육의 중심이 되며, 가치 있는 지식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교육의 핵심 목적이 된다. 따라서 교사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지식을 선별하여 학생들에게 주입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
셋째, 획일적이고 통제적인 교육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주입식 교육관에서는 모든 학생들에게 동일한 내용과 방식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며, 교사가 학생들을 엄격히 통제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학생들은 교사의 지시와 통제에 순응하며, 획일적인 행동 양식을 요구받게 된다. "
넷째, 외적 동기 유발을 특징으로 한다. 주입식 교육관에서는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보다는 외적 보상과 처벌을 통해 학습을 유도한다. 따라서 시험 성적, 학점, 상, 자격증과 같은 외적 인센티브가 학생들의 학습 동기로 작용하게 된다."
종합하면, 주입식 교육관은 교사 중심, 지식 중심, 획일적이고 통제적인 교육 방식, 외적 동기 유발 등의 특징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1.2. 성장식 교육관
1.2.1. 자연주의 교육관
자연주의 교육관은 인위, 억압, 강제 등을 배격하고 인간 존엄성을 근본이념으로 한 자연교육을 말한다. 즉 어린이를 모든 굴레에서 해방하고 그들 자신의 자연적 성질의 경향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근본사상은 아동중심의 교육에서 출발하였다고 할 정도로 아동존중 사상이 핵심을 이루고 있다. 루소는 아동은 아직 지적 미성숙 단계로 이성보다는 감성의 영역이 발달하는 단계로 보았고,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아동상을 감성과 이성의 조화로운 아동으로 보고 있다. 루소의 교육목적을 한마디로 압축한다면 그것은 새로운 인간 즉 '자연인'을 창조하는 것이다. 루소에게 있어 교육은 자연성을 기본으로 하여 인간성의 완성을 지향한 참된 인간 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루소의 교육방법은 철저히 자연주의에 의한 방법, 자연의 발달 단계를 존중하는 교육방법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것은 타락한 사회로부터 아동을 보호하여 선한 천성이 발달단계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현되게 하는 것이다. 자연에 의한 교육은 인위적인 사회의 전통이나 관습에 의한 교육이 아니라 아동이 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천부의 능력을 방해받지 않고 자연에 따라 발달시키는 것이다.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을 특징짓는 핵심개념은 소극적 교육이다. 소극적 교육은 아동이 아직 교육받을 시기가 도래하지 않았기 때문에 때를 기다리는 것이며 준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만약에 교육받을 시기가 도래하면 집중하여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적극적인 교육이라고 ...
참고 자료
영작문2, 이동국, 최인환, 출판문화원, 2021.
조화태,김계현,전용오(2023). 인간과교육. 한국방송통신대출판문화원.
에이브러햄 매슬로 저, 소슬기 역(2018). 매슬로의 동기이론. 유엑스리뷰(UX REVIEW) .
이기숙,김정원,이현숙,전선옥(2013). 영유아교육과정. 공동체.
조연순,조연순,성진숙,이혜주(2008). 창의성 교육.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허영주(2008). 전통적 교육방법과 구성적 교육방법의 통합 활용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Vol.20 No.2.
김경화(2002). 아동중심 교육론과 전통적 교육론의 통합적 이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은(2004). 진보주의 교육철학에 기반을 둔 Margaret H'Doubler의 무용교육 특성에 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미진(2004). 무용에서의 I-Thou Relationship 체험과 무용교육에의 함축적 의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형빈(2001). 자아실현을 위한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예철해(2004). 듀이 교육사상이 한국 교육과정에 끼친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숙경(2015). 에릭슨과 매슬로우의 이론을 통해 본 노년기의 의미 고찰.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