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한 직업은 전문직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는 전문직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어서 개인마다 기준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검사, 판사, 의사, 회계사, 약사 등 '사'자로 끝나는 직업을 전문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지만, 사회복지직에 대해서는 전문직으로 보는 시각이 상대적으로 적다. 이는 사회복지 관련 직업의 자격 취득이 비교적 쉽고 보수가 낮으며, 사회복지에 대한 이미지가 일반적으로 "희생"과 "도움"에 가까운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복지가 전문직인지에 대해서는 나라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2. 전문직의 개념
2.1. 전문직의 정의
전문직이란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이 필요한 직업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검사, 판사, 의사, 회계사, 약사 등 '사'자로 끝나는 직업을 전문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보편적이다. 이들 직업은 오랜 교육을 통해 전문 자격증을 갖추고 있으며, 희소성이 있고 사회적으로 지위가 있으며 소득이 높다. 또한 직업적 자율성이 높고 직업윤리가 요구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전문직이라는 개념은 역사적·사회적으로 변화하는 동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시대와 사회에 따라 전문직의 기준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전문직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높은 사회적 지위와 자율성, 그리고 직업윤리를 바탕으로 하는 직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2.2. 전문직의 특성
2.2.1. 지식
전문직은 광범위한 개입의 책임성을 기초로 한 지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전문직의 첫 번째 특성인 지식은 일반인의 수준을 넘어서는 고차원적인 지식과 기술을 말한다.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끊임없이 그들의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고 향상시켜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사회적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도태될 수 있다. 즉, 풍부한 전문지식과 기술이 전문직의 가장 기본적인 특성인 것이다. 또한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기존의 지식체계를 토대로 새로운 이론과 실천기술을 개발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이를 통해 전문직의 독자적이고 명확한 지식체계를 확립할 수 있다. 요컨대, 전문직은 계속해서 발전하는 지식체계와 이를 토대로 한 실천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2.2.2. 이상
전문직의 이상은 전문직이 사회적으로 수행해야 할 바람직한 모습과 역할을 의미한다. 전문직은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인정과 신뢰를 받으며, 높은 사회적 지위와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동시에 전문직은 사회적 책임을 지고 공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전문직의 이상에는 크게 세 가지 특성이 포함된다. 첫째, 클라이언트와 사회에 대한 봉사정신이다. 전문직은 단순한 개인적 이익보다는 클라이언트와 사회 전체의 이익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 둘째,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