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컴퓨팅 사고력과 SW 교육
1.1. 컴퓨팅 사고력의 정의와 구성요소
1.2. SW 교육의 필요성과 현황
1.3. 초등학교 SW 교육 사례
2. 컴퓨터와 인간
2.1. 컴퓨팅 사고의 학술적 정의
2.2. 컴퓨팅 사고의 구성요소
2.3. 컴퓨팅 사고 능력의 필요성
3. 현대사회에서의 컴퓨팅적 사고의 중요성과 필요성
3.1. 컴퓨팅적 사고의 개념
3.2. 컴퓨팅적 사고의 필요성
3.3. 컴퓨팅적 사고를 활용한 사례
3.4. 교육현장에서의 컴퓨팅적 사고 함양 노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컴퓨팅 사고력과 SW 교육
1.1. 컴퓨팅 사고력의 정의와 구성요소
컴퓨팅 사고력은 문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 기술 자원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일련의 사고 과정이다"" 컴퓨팅 사고력의 구성요소는 크게 4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분해(Decomposition)'는 복잡한 문제를 작고 다룰 수 있는 부분으로 나누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요리할 때 레시피의 순서대로 단계별로 준비하거나, 동물을 그릴 때 부위별로 나누어 생각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은 데이터 안에서 반복되는 규칙과 유사점을 찾아내는 것이다. 1부터 100까지의 덧셈을 할 때 양쪽 끝의 수를 더하면 일정한 패턴이 나타나는 것이 그 예이다.
셋째, '추상화(Abstraction)'는 핵심적인 정보만을 추출하고 불필요한 세부사항은 제거하는 과정이다. 앞서 1부터 100까지의 덧셈에서 규칙을 발견하고 이를 일반화하여 적용하는 것이 추상화에 해당한다.
넷째, '알고리즘(Algorithms)'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적인 방법을 만드는 것이다. 1부터 n까지의 합을 구하는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1.2. SW 교육의 필요성과 현황
SW 교육의 필요성과 현황은 다음과 같다.
기술혁신 시대의 도래로 인해 우리 사회는 현재 지식정보화사회로 변화해왔고, 인공 지능, 빅데이터 등과 같은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기술의 혁신을 만들어내는 이런 시대의 변화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는 새로운 교육이 필요해졌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의 신장, SW 교육 등이 필요한 이유에는 다들 동의하지만, 성인들에게도 어려운 컴퓨터의 사고방식과 논리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과연 초등학생 아이들에게 이러한 교육이 가능한지에는 의문을 갖는 사람들이 많다.
SW 교육은 단순하게 컴퓨터 프로그래밍만을 배우는 것이 아니고 컴퓨터가 사고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에 본질적인 목적이 있으며, 이는 어려운 것이 아니다. 다양한 SW라는 종류의 도구를 활용해서 아이들이 자유롭게 논리적인 사고를 해볼 수 있고 물리적으로 제한된 환경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상상력을 발현할 수 있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이 바로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SW 교육이다.
미국의 경우 SW 관련 전문학교에서 SW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물론, 전문학교가 아닌 일반 학교에서도 다양한 흥미와 적성을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 SW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있다. 또한 영국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컴퓨팅'을 독립 필수 과목으로 두고 주당 50분 이상의 교육 및 정규 교육과정으로 채택하였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SW 교육의 필요성은 충분히 대두되어왔고, 많은 시간을 거치며 학교에 천천히 적용되고 있지만, 아직 교육 현장의 준비가 충분하지는 못한 것이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필요한 도구의 구비라던가 가르치는 담당 교사의 준비 등은 아직 우리나라 초등학교 SW 교육의 과제로 남아 있다. 이를 위해 학내 무선 데이터망 확충, 태블릿 PC의 보급, 양질의 교육콘텐츠 확보 등이 필요하며, 교사들 또한 창의 사고력 학습에 대한 전문성을 기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소프트웨어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주요 교과 학습에 집중해야만 한다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1.3. 초등학교 SW 교육 사례
SW 교육은 단순하게 컴퓨터 프로그래밍만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가 사고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에 본질적인 목적이 있다. 이는 어려운 것이 아니며, 다양한 SW 도구를 활용해 아이들이 자유롭게 논리적인 사고를 해볼 수 있고 창의적인 상...
참고 자료
컴퓨테이셔널 저널리즘 > 사회과학 > 미디어백과 사이트 irobot
와이즈만 영재 교육 사이트 서울교육 봄
Google - Computational Thinking 민주연구원
최신 ICT 시사상식
NCIC
고영남, 김종우(2011) Computational Thinking을 통해서 초등 교육 바라보기. 한국정보처리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8(1), 1534-1537.
김수환, 한선관(2012), Computational Thinking 향상을 위한 디자인기반 학습.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3), 319-326.
김수환, 한선관, 김현청(2010). Coputational Literacy 교육세어 프로그래밍 능력과 학습자 특성에 관한 연구 –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을 중심으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2). 15-23.
강의선, 신선임, 이광진. (2019). 교양수업에서 비전공자의 IT융합 교육을 위한 PBL 활용 교육 모델-컴퓨팅적 사고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1), 2159-2168.
뉴시스. (2020). 컴퓨팅적 사고 서사공연 가능할까?...‘코드 포 러브’.
양순옥. (2017). 컴퓨팅적 사고의 필요성. 정보처리학회지, 24(2), 4-9.
에이빙뉴스. (2018). 놀이로 배우는 컴퓨팅적 사고, 코딩로봇으로 해결!.
이은경. (2013). 컴퓨팅적 사고 및 참여 증진을 위한 스크패치 2.0 활용 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2), 41-44.
이코노미톡뉴스. (2017). ‘컴퓨팅적 사고’로 풀어낸 박태욱의 가상 세계 속 아름다움.
정해용. (2014). IT 유창성과 컴퓨팅적 사고 개념을 이용한 대학 정보교양 교육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9(2), 263-274.
한국경제TV. (2021). “초등 놀이 환경을 바꾸다” 아이땅 스마트놀이터 ‘코드캐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