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노인 대상자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1.1. 대상자 정보
상기 환자는 2021년 치매진단 받은 분으로, K-MMSE 검사 12/30점 대상자이다. 대상자는 반응, 감각, 통증에 대한 언어구사를 하며, 불편감 표현에 대해 제한이 없다. 하지만 신체 노화로 인해 체위변경 및 이동에 제한이 있어 기저귀를 갈아 줘야하며 낙상에 위험으로 인해 ABR을 취하게 되어있다. 또한 신체를 미세하게 움직이는 것 이외에는 혼자서 체위가 불가능한 대상자이다.
1.2. 간호중재 프로그램 계획
1.2.1. 이론적 근거 및 문헌 고찰
치매 노인이 간직하고 있는 개인의 오랜 과거 경험과 기억을 자극을 통해 재생함으로써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기능을 자극하고 당시 느꼈던 긍정적인 기억들을 재경험 하도록 하는 것이 회상치료의 이론적 근거이다. 치매 대상자의 인지 기능 유지, 우울감 완화, 자존감 향상, 정서적 안정감 증진을 위해 시행되는 비약물 치료법이다. 과거의 기억이나 경험을 떠올릴 수 있도록 다양한 감각(시각, 청각, 후각)을 자극하거나, 사진/사물 등 시청각 자료를 매개체로 활용하여 특정 상황을 회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간-중심치료의 기본 구성 요소로서 즐거운 경험을 회상하여 참여자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타인과 유대감을 형성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회상치료의 장점은 치매 어르신 개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며, 노년기의 자아 통합 성취가 가능하고, 대상자의 학력이나 증상에 구애 받지 않고 실시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볼 수 있다.
1.2.2.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내용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회상치료 프로그램 계획은 크게 4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인사 및 지남력 훈련을 통해 가벼운 안부를 묻고 오늘 날짜, 요일 등을 소개하며 간단한 지남력 훈련을 돕는다. 다음으로 회상할 주제를 정해서 알려주고, 주제와 관련된 사진 및 동영상과 옛 물건을 제공하여 회상 활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그 후 회상한 경험에 대한 대화를 유도하는데, 대상자의 인지 상태에 따라 논리적인 토론부터 기억에 대한 표현법 등 적절한 흐름으로 이어나간다. 마지막으로 발언 내용을 정리하고, 소감을 나누며 활동을 마무리한다.
내용은 대상자의 인지수준을 고려하여 상, 중, 하의 난이도로 구성하며, 한 가지 주제로 자연스럽게 이끌되 대상자가 부정적인 기억을 회상할 시 빨리 주제를 전환한다. 또한 집단 활동 시 한 사람이 주도하지 않게 시간을 적절히 조절한다.
회상치료는 치매 노인이 간직하고 있는 개인의 오랜 과거 경험과 기억을 자극을 통해 재생함으로써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기능을 자극하고 당시 느꼈던 긍정적인 기억들을 재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치매 대상자의 인지 기능 유지, 우울감 완화, 자존감 향상, 정서적 안정감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1.3. 간호중재 프로그램 시나리오
간호중재 프로그램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SN : 어르신 안녕하세요 ~ 오늘부터 실습하게 된 학생간호사 000이에요! 오늘 날씨가 너무 좋죠? 어르신 오늘 기분 어떠세요?(간호사 자기 소개 및 개방적 질문, 가벼운 안부 질문)
Pt : 오늘 기분 좋아요 ~
SN : 오늘 기분 좋으시구나 다행이다! 다름이 아니라 어르신~ 오늘 몇월 몇일인지 아세요?(간단한 지남력 사정)
Pt : 응 오늘 21년 6월 20일 일요일 아니야~
SN : 네 맞아요 어르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