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활성슬러지 공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활성슬러지 공정과 생물학적 질소 제거 공정의 미생물 비교
1.1. 서론
1.2. 생물학적 하수처리
1.2.1. 개념
1.2.2. 활성슬러지 공정에서의 미생물상
1.2.3. 살수여상 공정에서의 미생물상
1.3. 활성슬러지 공정과 살수여상 공정의 비교
1.4.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활성슬러지 공정과 생물학적 질소 제거 공정의 미생물 비교
1.1. 서론
물은 인간과 동식물의 삶에 있어 매우 중요한 물질이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많은 양의 물을 이용하게 되며, 이에 따라 다량의 생활 하수가 발생한다. 이러한 하수에는 음식물 찌꺼기, 세제, 샴푸, 그리고 인간과 동물의 배설물 등이 포함되어 있어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다. 근대 이전에는 자연의 자정작용에 의해 하수가 처리되었지만, 현대 도시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배출되는 폐수의 양이 자연의 정화 능력을 초과하게 되었다. 따라서 산업혁명 이후로 다양한 폐수 처리 기술이 발전해왔다.
폐수 처리의 주된 목적은 고형물과 용존 유기물의 감소, 그리고 병원성 세균의 제거이다. 병원성 세균이 포함된 하수가 적절히 처리되지 않으면 사람들이 수인성 질병에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개발도상국의 경우 하수 처리 시설이 부족하여 병원성 세균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수 처리는 크게 물리화학적 처리와 생물학적 처리로 구분된다. 생물학적 처리 방식은 미생물의 대사 활동을 활용하여 유기물을 분해 및 제거하는 방식으로, 활성슬러지 공정과 살수여상 공정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생물학적 처리 방식은 폐수 내 유기물, 질소, 인 등 다양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활성슬러지 공정과 생물학적 질소 제거 공정에 관여하는 환경 미생물의 특성과 작용 원리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생물학적 처리 방식의 원리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나아가 지속 가능한 수질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1.2. 생물학적 하수처리
1.2.1. 개념
생물학적 하수처리는 하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미생물의 대사 작용을 이용하여 분해하고 정화하는 방식이다. 이는 자연의 자정작용을 인위적으로 증폭시켜 폐수 내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하수 내 유기물은 세균, 원생동물, 조류 등 다양한...
참고 자료
한기선, 환경미생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안태석 외, 환경미생물학, 신광문화사, 2007.
김금용, 질화균과 활성슬러지에 미치는 독성물질의 영향, 충북대학교, 2005.
김성진 외, 「미세기포에 의한 활성슬러지의 부상특성」, 상하수도학회지, 대한상하수도학회, 20권 4호, 2006, pp501-5017.
공용, 환경미생물학, 활성슬러지 공정과 살수여상 공정을 환경미생물의 관점에서 비교, 2022.
김동민 외 9인, 폐수처리공학, 도서출판 동화기술, 2013.
조관형 외 7인, 최신 상하수도, 신광문화사, 2008.
한선기ㆍ정진영(2016), 환경미생물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김동민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