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십대임신 교육의 필요성
십대임신 교육의 필요성은 점점 더 증대되고 있다. 십대임신은 임부는 물론, 그 파트너에게도 심각한 신체적, 사회경제적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십대의 임신은 쉽고 명쾌한 해결책이 없으며, 복합적이고 다면성을 지닌 문제이다. 십대 청소년들은 생리적인 신체 변화가 크고 2차 성징이 일어나는 시기이므로 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갖도록 하고 올바른 피임법을 교육해 원하지 않는 임신을 하지 않도록 하는 성교육이 필요하다. 십대임신은 임부나 파트너의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부담을 가져오므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청소년기부터의 체계적인 성교육이 필수적이다.
1.2. 십대임신 현황 및 통계
2018년 통계청 인구총조사 연령별 미혼모, 미혼부 자료에 의하면 지난 4년간 십대 미혼모는 2015년 350명, 2016년 435명, 2017년 377명, 2018년 317명으로 전체 미혼모의 1.4%, 1.8%, 1.7%, 1.5%를 차지하고 있어 매년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자혜병원은 2020년 3월부터 증가한 중고생의 임신상담이 총 692건이며, 이중 중고생의 비율이 13%로 집계되었다는데, 이는 예년의 5~7%에 비해 두 배 가량 늘어난 수치이다"" 필리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10대 초반(10~14세)의 출산율이 63% 증가했으며, 10대 후반(15~19세)도 14%가 출산 경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019년 8월, 필리핀 정부는 10대들의 임신을 막기 위해 '국가 사회적 비상사태'로 선언했지만 팬데믹으로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2. 십대임신의 문제점
2.1. 신체적 문제
십대 임신의 신체적 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십대 임부는 생물학적으로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임신과 출산에 따른 합병증의 위험이 매우 높다. 특히 16세 미만의 임부에서 유산, 태아사망, 조산, 자궁 내 성장지연, 태아 또는 신생아 질환, 선천기형, 지능 발달 및 지연 등의 고위험 임신의 빈도가 더욱 높게 나타난다.""
또한 십대 산모의 출산아의 경우, 저체중 신생아 출산 가능성이 성인 산모의 2배 정도가 되며, 출산 후 첫 28일 사이에 신생아 사망에 이를 위험성이 3배 높고, 신생아기 이후 의 사망률도 성인 산모에 비해서 최소 2배 이상 높다.""
이처럼 십대 임부는 신체적으로 미성숙하여 임신과 출산에 따른 합병증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들에게는 조기 산전 진찰과 계속적인 산전관리가 특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2. 심리적 문제
십대 미혼모는 혼전 임신과 출산 과정을 통해 자신의 몸이 더럽혀져서 남들에게 창피한 일인 것으로 생각하게 되고, 자신의 임신 사실을 은폐하고자 애를 쓰며 커다란 정신적 갈등과 괴로운 임신 과정을 겪는다. 미혼모가 된다는 것은 임신으로 인한 고통뿐만 아니라 여성의 삶에 커다란 오점을 남기고 일생을 죄의식이나 죄악감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커다란 심적 고통을 겪으며, 사회적 편견 때문에 미혼 부, 가족, 사회로부터의 적절한 지지를 받지 못하고 학업을 중단하는 등 기존의 생활양식에서 이탈하여 정신적으로 극히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아기를 양육하는 경우에도 양육지식과 문제해결 능력의 부족, 경제적 문제 등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