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음악치료
1.1. 음악치료의 정의
음악치료는 음악을 기본적인 도구로 사용하여 인간행동을 포함한 행동과학과 과학적 접근에 기초를 두고 있는 치료방법이다. 음악치료에서 음악은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치료사와 환자를 구분하는 핵심요소이다. 음악치료의 핵심은 인간에 있으며, 음악은 단순히 치료를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치료는 그리스어의 "Therapeia"에서 유래된 것으로 건강을 부여하는 서비스기법에 기초한다. 따라서 음악치료는 음악보다는 인간에 더 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음악치료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4R(Routine, Repetition, Relaxation, Resolution), 5With(Melody, Harmony, Rhythm, Tiombre, Form), 6Through(Sing, Playing, Listening, Creation, Moving, Reading), 5가지 요소(치료 계획 설정, 음악이나 음악활동, 음악치료사, 환자, 치료적인 목적의 규명과 설정)를 포함해야 한다.
1.2. 음악치료의 기능
음악치료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나 감정표현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이다. 음악은 태도나 느낌 또는 분위기를 전달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연상(association)의 기능이다. 음악은 각 사람에게 나름대로 특정한 연상을 불러일으킨다.
셋째, 자기성찰을 통한 자긍심 증진의 기능이다.
넷째, 집중력과 지속력의 증진 기능이다. 음악이 시간 예술인만큼 음악활동에도 지속적인 집중이 요구된다.
다섯째, 비음악적 행동의 변화와 치료의 기능이다. 음악치료 그룹에서의 변화가 그룹을 벗어난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처럼 음악치료는 대상자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음악치료의 접근방법
음악치료의 접근방법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환자중심의 치료방법(Client-Centered Therapy)은 환자가 원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치료사는 환자가 원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도와주는 역할만을 담당한다. 이는 환자의 자발성과 참여를 중요하게 여기는 접근법이다.
둘째, 치료사 중심의 치료방법은 치료사의 가치관이 환자의 치료과정에 영향을 주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사가 주도적으로 치료 과정을 이끌어 나간다.
셋째, 역할무제한 치료방법(Role-free Interactive Therapy)은 위의 두 방법을 적절히 실시하여, 서로 간의 존중과 상호 인식을 토대로 치료를 진행한다. 무엇을 하고 싶은가를 환자에게 질문하고, 치료에 대한 적절한 방법을 함께 이끌어내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이와 같이 음악치료에서는 환자 중심, 치료사 중심, 그리고 상호작용적 접근 등 다양한 방식으로 치료가 이루어진다. 각각의 접근법은 환자의 특성과 치료 목표에 따라 적절히 활용되어야 한다.
1.4. 음악치료의 원리
음악치료의 원리는 "동질의 원리", "카타르시스의 원리", "균형의 원리"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동질의 원리(ISO Principle)"는 외부적인 소재의 모양이 대상자의 내면의 상태와 유사하게 일치되어 내면의 세계를 외부의 소리세계로 유도하는 것이다. 이는 대상자의 내적 상태와 유사한 음악을 사용하여 내면의 세계를 외부로 이끌어내는 원리이다.
둘째, "카타르시스의 원리"는 음악치료가 처음에는 동질의 원리를 사용하고, 그 다음으로 반대 특성을 가진 음악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환자가 선호하는 음악이 때로는 좋지 않은 방향을 갖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반대 특성을 가진 음악이 받아들여지지 않게 되어 일시적으로 상태가 악화되는 것 같이 보이지만, 나중에는 그 상태가 포화되어 응어리를 토해내게 되어 자기치료가 작용하게 된다.
셋째, "균형의 원리"는 인간의 몸과 마음이 일정한 폭을 가지고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음악치료 과정에서도 이러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음악치료의 원리는 대상자의 내적 상태와 외적 표현 사이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균형을 유지하며 심리적 정화와 치유를 이끌어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5. 음악치료의 구조와 형태
음악치료의 구조와 형태는 크게 내부구조와 외부구조로 나눌 수 있다. 내부구조는 치료사의 자질, 환자의 자질 등 본질적인 문제로 쉽게 바꿀 수 없는 부분이다. 반면 외부구조는 음악, 음악활동에 관련된 모든 행동으로 바꿀 수 있는 부분이다.
음악치료의 형태는 개인치료와 집단치료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개인치료 모델로는 창조적 음악치료, 올프음악치료, 자유로운 즉흥연주치료, 분석적 음악치료 등이 있다. 창조적 음악치료는 치료사와 환자가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