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이우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이우환 작가론
1.1. 들어가며
1.2. 이우환의 삶
1.3. 시대상황
1.4. 이우환의 이념
1.5. 작품세계
1.6. 현대 미술에의 영향
1.7. 마치며
2. 이우환 전시 관람 후기
2.1. 전시 관람 개요
2.2. 작품 감상
2.3. 맺음말
3. 현대미술에서 나타나는 점의 표현
3.1. 미불, 미우인의 미가산수
3.1.1. 미불과 미우인의 미가산수 전개
3.1.2. 미가산수에서 미점준의 특징
3.1.3. 미우인의 산수화에 나타나는 미점준 표현
3.2. 동, 서양회화에 나타난 점의 표현
3.2.1. 서양 회화에서의 점
3.2.2. 동양 회화에서의 점
3.3. 현대미술에서 나타난 점의 표현
3.3.1. 한국의 자연주의 작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이우환 작가론
1.1. 들어가며
이우환은 국제무대에서 동서미술의 가교역할을 하고 있는 아시아의 대표적인 화가이자, 조각가이며 이론가라고 할 수 있다. 일찍이 1960년대 후반 일본에서 미술평론가로 등단하여 당시의 모노하(物派) 태동을 주도하고 창작과 비평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보인 그의 작품세계는 일본뿐만 아니라 한국현대미술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사상과 작업에 대한 해석과 검증은 작가 자신에 의해서, 그리고 그에게 관심을 표명하는 다른 작가들과 많은 비평가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작가 스스로 자신의 작업에 대해 끊임없이 검토하면서 사상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현재 주목받는 작가로서 이론가로서 우리 미술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친 그의 사상과 작품의 특성을 알고 이해해야 하는 것은 중요한 일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1.2. 이우환의 삶
이우환은 1936년 경남 함안에서 태어나, 사실상 한국의 전통 교육을 받은 마지막 세대에 속한다. 어린 시절 그는 서당에서 소학을 공부하기도 했고, 문인으로 알려졌던 황동초로부터 유년기를 통해 시서화를 배웠다. 중, 고교 시절 이우환이 관심을 가진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를 마치 보이는 것처럼 음으로 짜 올리는' 음악에 대한 관심이었으며, 끊임없는 독서 그리고 문학 창작이었다. 1956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입학하던 해 여름, 숙부 병문안 차 일본에 간 이우환은 1961년 니혼대학 철학과를 편입하여 졸업하였는데, 그가 철학을 선택한 이유는 "미학이나 사회사상사를 튼튼하게 알아 놓아야 나중에 무엇이든 제대로 할 수 있는 토대가 되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의 독자적인 사유체계와 비평방식은 재일 한국인임에도 불구하고 전환기 일본현대 미술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했을 뿐만 아니라 일본 고교 교과서에 그의 산문이 실릴 정도로 문학적 감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1.3. 시대상황
모노파의 이론적 중심인물로서 활동을 시작하는 1960년대에 이우환은 고베의 수마-리큐공원의 현대 조각전에 기획된 세키네 노부오의 1968를 있는 그대로의 신선함이라고도 할 수 있는 하나의 물체로 변화시켰다 고 하여 창조 작업을 표상화 하거나 혹은 대상화 시키는 대신에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긍정하는 해석을 가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예술 영역에 있어서의 모든 작업을 유일 무이한 창조개념으로 간주하는 것을 비판하고 대상화하는 것도 거부하려 했던 태도들은 동시대의 새로운 추세이기도 하였으므로 당시로서 완전히 독보적인 것들은 아니었다. 다양한 개념미술, 대지예술, 아르테포베라는 그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형식주의 미학에 대한 이우환의 비판적 입장과 근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동시에 이우환이 활동하고 있던 일본의 60년대말 역시 GNP가 일만팔천달러로 1964 동경 올림픽 이후 경제적으로 안정되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 근대 및 서양에 대한 시각을 다시 점검하고 있었다. 즉 지식인들의 자기 비판과 더불어 필자의 존재를 찾고자 하는 문학, 연주나 작곡 자체보다 세계와 조응하는 것을 과제로 삼는 음악, 연극 그리고 미술등 각 분야에서 서양문명에 대한 비판과 각성이 있었던 시기다. 1954 쿠타이 미술협회의 성립과 반예술(혹은 네오다다)운동이후 60년대 말 무렵 이우환과 수가 키시오 세키네 노부오의 작업들은 이같은 시대 상황과 맞물려 있는 것이다.
1.4. 이우환의 이념
이우환의 사상이 전개되는 데 있어 근본적 대전제는 서구 근대사상에 대한 비판이다. 즉 그는 서구의 근대 정신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출발하여 자신의 대안을 제시하는 입장을 취하는 것이지만 그 비판에 대해서는 이미 19세기의 쇼펜하우어, 20세기의 하이데거 및 후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에 의해 뉴튼, 데카르트의 합리주의 세계관은 해체하는 작업이 선행되어 있었음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그의 대안적 제시가 전적으로 새로운 것은 아니며 그것은 예술 작품의 근원에서 예술 작품의 사물성을 단서로 삼았던 하이데거나 사물 그 자체로를 표방한 훗설 등의 사상적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여기서 그는 자신의 예술의 근거를 마련하면서 논지를 개진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인으로서 그에게 영향을 준 사상들이...
참고 자료
이미지 속닥속닥 http://neolook.net/mm03/031003b.htm
김미경 이우환의 입장과 회화들 - 그 해석의 문제
이우환_만남을 찾아서 전시팜플렛
http://www.infoart.com/onstage/ticket_view01.asp?performance_pk=3765
김남희, 『중국회화특강』, 대구 :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4
장준석, 『중국 회화사론』, 학연문화사,
천촨시, 『중국산수화사』, 심포니, 2007
김정은, 『점묘법의 표현 기법 연구 : 본인의 작품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 미술학과 2011. 2
정혜리, 『점묘 기법에 의한 기억속 심상표현 연구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 미술학과 20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