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책 소개
1.1. 저자 소개
마이클 샌델 교수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정치철학을 가르치고 있는 저명한 학자이다. 그는 "정의란 무엇인가?"라는 저서로 한국에서 큰 관심을 받았던 인물이다. 샌델 교수는 이번 저서 "공정하다는 착각"을 통해 기존에 공정하다고 여겨졌던 능력주의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능력주의 사회가 오히려 개인의 자유와 기회를 제한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그는 공정성의 개념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하고 토론할 것을 독자들에게 요구하고 있다. 샌델 교수는 이번 저서를 통해 능력주의에 대한 기존의 시각을 재점검하고, 보다 건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1.2. 책의 주제와 내용 개요
이 책은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과 공정성 실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 마이클 샌델은 능력주의가 사회적 불평등과 불만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 그는 능력주의가 개인의 업적만으로 사람을 평가하여 소외된 이들이나 불리한 환경에서 태어난 이들이 자신들의 가치를 의심하게 된다고 말한다. 저자는 모든 인간이 동등하다고 주장하며, 공정성의 개념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확장하고자 한다.
이 책은 능력주의의 문제점과 함께 기회의 불평등, 성과 배분의 불공정성 등을 다룬다. 또한 공정성의 다양한 해석, 공정성을 위한 교육의 역할, 직업의 존엄성과 사회적 연대 등 공정성 실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나아가 민주정치의 회복, 공동선에 대한 숙고,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 등 대안으로서의 민주주의를 모색하고 있다.
2.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
2.1. 능력주의의 문제점
능력주의는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따라 보상과 기회가 배분되어야 한다는 관점이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는 공정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첫째, 능력과 성과의 차이는 개인의 노력과 선택 외에도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많은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개인이 태어난 가정환경, 교육 기회, 타고난 재능 등은 모두 개인의 선택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개인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난 이들은 교육 기회의 제한으로 인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할 수 있으며, 타고난 재능이 부족한 이들은 열심히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좋은 성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능력과 성과의 차이가 전적으로 개인의 노력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능력주의는 공정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능력주의는 부의 세습을 고착화시켜 결과적으로 기회의 불평등을 초래한다. 부유한 가정의 자녀들은 교육과 경험의 기회가 더 많아 상대적으로 자신의 능력을 더 잘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들은 더 좋은 대학에 진학하고 더 나은 직장을 얻게 되며, 결과적으로 부를 더욱 축적하게 된다. 반면 가난한 가정의 자녀들은 교육과 기회의 부족으로 인해 능력을 발휘하기 어렵고, 이는 세대 간 빈곤의 악순환을 야기한다. 이처럼 능력주의는 계층 이동성을 저해하고 대물림되는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능력주의는 개인의 노력과 성과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를 소홀히 한다. 능력주의는 개인의 성공을 지상 과제로 삼으면서 개인의 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