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학개론
1.1. 고대문명과 간호와 초기기독교시대 간호
1.1.1. 고대 문명과 간호
고대 문명과 간호는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이스라엘, 인도, 중국, 고대 그리스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메소포타미아의 바빌로니아 왕국에서는 함무라비 왕이 법전을 편찬하였는데, 그 법전에 의료행위에도 엄격한 보복의 원칙이 적용되었다. 바빌로니아인들은 질병의 원인을 악마나 악력으로 보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 악취나는 약물을 사용하였다.
이집트에서는 제3왕조 때 재상이자 태양신 제사장이었던 임호텝이 의술에 뛰어났다. 그는 인체의 18개 장기와 관련된 200가지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였다. 또한 고대 의학 문헌인 파피루스에는 의료 기술과 관련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이스라엘의 모세는 성경 '모세오경'을 만들었는데, 질병과 치료에 대한 히브리인들의 종교관이 반영되어 있다. 질병을 신의 벌로 여기고 치료의 대상으로 보았다.
인도의 베다 경전에는 질병 관련 마법이 등장하며, 내과, 외과, 소아과 등의 의학 지식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아소카 왕이 10여 곳에 병원을 세웠다.
중국에서는 혈액순환의 중요성에 기초한 진맥이론이 발전하였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의료와 치유의 신 에스클레피우스 신화를 통해 질병과 치료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 또한 히포크라테스는 질병의 원인이 자연의 법칙을 어김에 있다고 주장하였다.고대 문명의 간호는 질병의 원인을 악령 등 초자연적인 것으로 여기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집트의 임호텝, 인도의 의학 발전, 고대 그리스의 에스클레피우스 신앙과 히포크라테스의 자연법칙 인식 등을 통해 점차 질병에 대한 이해가 발전하였다. 이는 간호의 기초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고대 문명의 간호는 질병에 대한 초자연적 인식에서 점차 자연과학적 이해로 나아가는 과정이었다.""
1.1.2. 초기 기독교 시대의 간호
초기 기독교 시대의 간호는 예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기독교인들은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예수의 가르침에 따라 이웃의 환자나 고아, 과부, 가난한 이들을 돌보기 시작하였다. 이는 진정한 의미에서 간호영역의 확대로 이어졌다.
특히, 뵈베(Phoebe)는 여집사로서 세계 최초의 방문간호사로 기록되고 있다. 또한 제롬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귀부인들(로만매트론) 가운데 마르셀라, 파올라, 파비올라 등이 있었다. 이들은 점차적으로 의료기관으로 변천하여 오늘날의 보건소, 휴게소, 진료소 등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처럼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예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자선활동을 통해 간호의 개념이 싹트기 시작하였으며, 여집사와 귀부인들의 활동으로 간호의 영역이 확장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1.2. 중세 전기 간호와 중세 후기 간호
1.2.1. 중세 전기의 간호
중세 전기의 간호는 서양사회의 특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당시 유럽 사회는 가장 강력한 세력을 가진 프랑크 왕국과 로마 교황청의 제휴로 인해 게르만족들이 빠른 속도로 기독교화되었다. 이에 따라 상업의 쇠퇴와 거주이동의 금지는 로마시대의 거대한 도시 대신 마을 크기의 장원을 기본 거주 공동체로 만들었다.
환자들에 대한 책임은 주로 장원 영주의 부인에게 지워졌다. 영주 부인은 농노의 집을 찾아다니며 환자들을 치료하였고 그들에게 질병치료에 대한 조언을 제공하였다. 이처럼 중세 전기 유럽에서는 장원제도 하에서 영주 부인들이 간호를 담당하였다.
또한 서방에 최초로 생긴 수도원인 베네딕트(480~553)의 몬테카지노 수도원에서는 수도사들이 적당한 음식, 수면, 휴식을 취할 수 있었고 기도와 의학과 약학을 비롯한 여러 가지 학문을 수행하였다. 이처럼 중세 전기 수도원에서도 간호활동이 이루어졌다.
한편 중세 전기 프랑스의 주요 도시에는 '호텔듀(Hotel Dieu)'라 불리는 병원이 있었다. 이 병원은 순례자, 고아, 빈자, 허약자를 위한 간호사업을 행하였다. 이외에도 성지 예루살렘에는 성지순례자들을 위한 숙소 겸 병원인 구호소가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이처럼 중세 전기 유럽에서는 장원제도, 수도원, 병원 등을 중심으로 간호활동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1.2.2. 중세 후기의 간호
중세 후기의 간호는 십자군 운동과 이슬람 의학의 전래, 기사단과 간호, 중세 대학과 살레르노, 길드와 간호, 탁발승단과 간호, 흑사병과 간호 등을 통해 발전하였다.
십자군 운동은 군사적으로 실패하였지만 학문, 특히 의학에 있어서 큰 유익이 되었다. 즉, 유럽인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