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진구 지역사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새로운 AI자료
생성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부산진구 지역사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부산진구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역적 특성
1.2. 인구학적 특성
1.3. 환경적 특성
1.4. 건강상태
1.5. 지역사회 자원

2. 오마하 진단분류체계에 의한 간호진단

3. 우선순위 결정

4. 간호계획
4.1. 부적절한 주거공간
4.2. 흡연/담배 사용

5. 간호수행
5.1. 부적절한 주거공간
5.2. 흡연/담배 사용

6. 간호평가
6.1. 부적절한 주거공간
6.2. 흡연/담배 사용

7. 보건교육안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부산진구 지역사회 간호과정
1.1. 지역적 특성

부산진구는 부산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은 횡령산을 경계로 남구의 대연동 및 문현동과 인접하였고, 서쪽은 백양산을 경계로 사상구의 주례동과 인접해 있다. 또한 남쪽은 엄광산과 수정산을 경계로 서구의 동대신동과 동구의 수정동 및 범일동과 인접하였고, 북쪽은 화지산을 경계로 연제구의 연산동 및 거제동과 인접하고 있다. 특히 서면교차로를 중심으로 가야로, 전포로, 새싹로가 사방으로 뻗어 있어 타 지역으로 통하는 길목이며, 지하철 1·2호선이 교차하는 구간으로써 1일 통행인구가 200만명에 달하고 교통량은 94만대에 이르는 교통의 집결지이다. 또한 현대식 시설을 갖춘 대형시장과 각종 상가 및 위생업소가 밀접해 있는 상업지역으로 사통팔달의 교통망과 연결되어 음식·숙박·관광·의료 중심 관광벨트가 구축되어 있다.


1.2. 인구학적 특성

부산진구의 인구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부산진구의 총 인구수는 2022년 8월 기준 357,768명으로, 남자 173,014명(48%), 여자 184,754명(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부산시 전체 인구 3,401,072명 중 약 10.5%에 해당한다. 부산진구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69,734명으로 전체 인구의 19.5%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부산시 전체 평균 65세 이상 인구비율 19.0%보다 0.5%p 높은 수준이다.

총부양비는 40.3%로 부산시 평균 42.4%보다 낮지만, 노년부양비는 27.3%로 부산시 평균 27.1%보다 0.2%p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노령화지수가 211.1로 부산시 평균 177보다 크게 높아, 인구구조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부산진구 내에서도 지역 간 인구 구성과 특성에 차이가 있는데, 부암1동과 당감1동이 각각 23,861명과 25,818명으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당감2동(9,575명)과 개금2동(12,045명)이 가장 적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부산진구 전체 인구의 3.8%인 14,247명이 국민기초생활수급자이며, 장애인 수는 18,309명으로 전체 인구의 4.9%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부산진구는 전체적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지역 간 인구 특성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3. 환경적 특성

부산진구의 환경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문턱이 높고 집안에 전선줄이 널부러져 있는 등 노령화된 주거환경이 관찰된다. 특히 부산진구는 대기오염 수치가 부산시 평균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편으로, 이산화질소 오염도가 높아 전반적인 대기오염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이는 낙상 위험이 있는 거동불편 노인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서면지역을 중심으로 대형 건물과 상권이 밀집되어 있어 교통량이 많은 편이다. 특히 지하철 1,2호선이 교차하는 교통 요지로 1일 통행인구가 200만명에 달하는 등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다. 이는 교통사고 위험이 높고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종합적으로 부산진구의 환경적 특성은 저소득층 노인들의 거주 여건이 열악하고, 대기오염 및 교통 문제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역사회 간호 과정에서는 노인들의 주거환경 개선과 함께 대기오염 및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4. 건강상태

대상자의 건강상태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5년 전 낙상으로 무릎수술을 받았으며, 10년 전 고혈압 진단을 받고 약물을 복용 중이다. 또한 5년 전 우울증 진단을 받고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다. 현재 불면증으로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으며, 관절약을 복용하고 있다. 대상자의 주요 호소증상은 저작불편과 거동불편이다. 입맛이 없어 거의 식사를 하지 못하고 있으며, 음주는 하지 않지만 15년 동안 하루 반갑의 흡연을 하고 있다.

대상자의 건강행태를 살펴보면, 현재흡연율은 부산시 평균보다 1.4% 높은 수준이며, 스트레스인지율과...


참고 자료

지역사회간호학 I / 고정은 외, 현문사(2020)
비판적 사고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 성미혜 외, 수문사(2015)
제7기 부산진구 지역보건 의료계획 (2019년~2022년)
http://health.busanjin.go.kr/index.busanjin
http://www.busanjin.go.kr/index.busanjin
2018년 10월말 주민등록인구현황(부산진구 행정지원과)
2017년 구정백서(부산진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