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기도 인구 정책이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1인 가구 증가 현상의 원인과 사회문화적 영향
1.1.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원인
1.1.1. 개인주의화와 비혼
1.1.2. 수도권 인구 유입
1.2.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1.2.1. 혼밥, 혼술 등 1인 소비 문화 확산
1.2.2. 비혼 축제 등 새로운 문화 영역 등장
2. 청년실업 문제 분석과 해결방안 모색
2.1. 청년실업 개념 및 원인 분석
2.1.1. 공급측면의 원인
2.1.2. 수요측면의 원인
2.1.3. 청년실업 관련이론
2.2. 우리나라 및 해외의 청년고용 정책사례
2.3. 청년실업 문제 해결을 위한 제언
3. 지역사회 욕구 분석에 기반한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3.1. 지역사회 욕구 및 문제점 도출
3.2. 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
3.2.1. 프로그램 목표 및 내용
3.2.2. 예산 편성
3.3. 사업 기대효과 및 발전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1인 가구 증가 현상의 원인과 사회문화적 영향
1.1.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원인
1.1.1. 개인주의화와 비혼
개인주의화와 비혼은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주요한 원인이다. 과거에 비해 이혼에 대한 사회적 편견이 감소하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로 인해 이혼율이 높아졌다. 또한 집값 상승과 양육비 부담으로 인해 결혼을 기피하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
기성세대에 비해 M세대와 Z세대 청년층의 개인주의가 심화되면서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지고 이직률이 높아졌다. 이들은 기업보다는 개인을 더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이며, 결혼보다는 독립을 선호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청년층의 가치관 변화도 1인 가구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1.2. 수도권 인구 유입
우리나라는 수도권에 거주 중인 인구가 절반이 넘는 수준이다. 그에 따라 우리나라의 일자리도 수도권에 쏠려있다. 때문에 지방에 살던 일자리를 구하는 청년들이 대다수 수도권으로 무리하게 이동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이로 인해 가족들과 함께 지내던 사람이 수도권에서 홀로 살게 됨에 따라 1인 가구가 생겨나는 것이다. 서울의 경우 집값 상승이 꾸준히 일어남에 따라 인구수가 줄어들었으나 이마저도 모두 경기도로 거주지를 옮긴 수준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학력주의가 심화되어 있는데 그에 따라 지방에는 있는 대학보다 서울에 있는 대학을 더 선호하고 많은 학생들이 수도권으로 가족들의 품을 떠나온다는 점도 1인 가구 증가의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는 비단 수도권의 이야기만은 아니다. 아주 작은 도시에 살던 젊은 세대들도 경제적 활동을 위해 주변의 큰 도시로 점차 옮겨가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 때문에 사회 자체적으로 지방 곳곳에 일자리를 창출과 수도권 인구 유입을 막기 위한 체제를 세우고는 있으나 아직 효과가 미약한 수준이다.
1.2.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사회문화적 변화
1.2.1. 혼밥, 혼술 등 1인 소비 문화 확산
1인 소비 문화 확산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혼자 밥을 먹거나 술을 마시는 '혼밥', '혼술'이 점점 더 일반화되는 추세이다. 이는 1인 가구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개인 중심의 소비 행태가 늘어나고 있으며, 혼자 식사하거나 술을 마시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과거에는 혼자 밥을 먹거나 술을 마시는 행위가 이상하게 여겨졌지만, 현재는 이러한 소비 행태가 일반화되어 사회적 인식에 큰 변화가 생겼다. 혼자 식사하는 사람들을 이상하게 보는 시선은 사라졌으며, 오히려 매력적인 라이프스타일로 여겨지고 있다. 실제로 배달 서비스 업체들은 1인분 배달 서비스를 앞세워 마케팅을 펼치고 있으며, 혼자 영화를 보거나 여행을 가는 것 역시 일반적인 모습이 되었다.
이와 같은 혼밥, 혼술 문화의 확산은 1인 가구의 증가뿐만 아니라 개인주의와 자아실현 등의 가치관 변화에서도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과거에는 가족 중심의 생활 방식이 지배적이었지만, 개인의 자유와 독립성을 중시하는 가치관이 확산되면서 혼자 있는 시간을 중요하게 여기게 된 것이다. 또한 직장과 학업에 바쁜 현대인들이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하는 경향도 혼밥, 혼술 문화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혼밥, 혼술 등 1인 소비 문화의 확산은 개인주의적 가치관과 1인 가구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향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한 다양...
참고 자료
도심 속 소형 오피스텔 ‘선호’ 커져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7814
'나혼자 산다' 31.7% 꾸준한 증가세…1·2인 가구 60% 육박
https://www.news1.kr/articles/?4387511
[2020 한국가족] 20대 틀을 깬다…'비혼독신·무자녀 찬성' 50% 이상
http://cnews.beyondpost.co.kr/view.php?ud=20210713085226811346a9e4dd7f_30
우리나라 총 인구수 5178만명…절반이 수도권 거주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97427
수도권인구, 비수도권 사상첫 추월…20대 직장·학교찾아 서울로
https://www.yna.co.kr/view/AKR20200629063600002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파주시, 2019, pp.105~140.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우수사례집,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12, pp.71~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