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어보다 교안 써주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다문화 가정의 현실과 문제점
2.1. 늘어난 다문화 가정, 우리의 생각은?
2.2. 고통 받고 있는 다문화 가정
2.3. 함께 하는 다문화 가정, 사랑으로!
3. 중국 소수민족의 사회문화적 특성
3.1. 중국 소수민족의 의의
3.2. 회족(후이족)의 사회문화적 특성
3.2.1. 분포 지역 및 인구
3.2.2. 지형과 기후
3.2.3. 언어와 종교
3.2.4. 역사
3.2.5. 생산문화
3.2.6. 음식문화
3.2.7. 주거문화
3.2.8. 복식문화
3.2.9. 혼인문화
3.2.10. 회족(후이족)에 최근 동향
3.2.11. 회족(후이족)에 대한 본인의 의견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이슬람이란 단어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단어는 바로 '히잡'이다. 어렸을 때 세계 여러 나라의 책을 보며 온몸에 엄청나게 큰 천을 두르고 거리를 누비는 여성들을 처음 봤을 때, 이는 나의 상식을 깨버린 모습이었다. 다른 나라와 문화에 관심이 많고 존중하는 나였지만 이 히잡만큼은 궁금증이 더해지고 신기했던 문화였다. 당시에는 너무 어렸고 인터넷을 할 줄 몰랐기에 TV에서 잠깐 본 영상과 책에서 본 내용이 나의 호기심을 자극했고, 히잡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슬람 문화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러한 히잡에 대해 공부하며 이 히잡이 어쩌면 여성과 남성의 분리, 여성의 고립 더 나아가 여성의 차별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물론 히잡은 '나라'의 한 '문화'이고 일부분이지만 과연 '이것이 그 나라의 국민을 고통스럽게 한다면, 힘들게 한다면 그게 과연 문화라고 할 수 있을까?'에 대한 생각을 했다. 남성과 여성, 성별을 떠나 우리는 같은 사람이다. 이 사회에 속해 있는 구성원이며, 모두 같고 동등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한다. 공동체에서 발전하고 성장하기 위해서 많은 활동을 하는데 성별로 인해 제약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또한 여성에 대한 차별과 남자와 여자의 성 역할이 분리되어있고 고립되어 있었다고 느꼈기 때문에, 히잡과 이슬람 여성에 대해서 논문을 작성해보려고 한다.
2. 다문화 가정의 현실과 문제점
2.1. 늘어난 다문화 가정, 우리의 생각은?
늘어난 다문화 가정, 우리의 생각은 긍정적이지만 여전히 차별이 존재하고 있다.
올 6월 기준으로 국내 결혼이민자는 21만 1458명, 이들의 자녀는 16만 8583명이다.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들어가는 속도만큼 빠르게 국민들의 다문화에 대한 생각도 변화했다. 국민 10명 중 7명은 한국이 이제 단일민족 국가가 아니라 다문화사회라고 여기고 있다.
한국인은 한국이 다문화사회라는 데 동의했을 뿐 아니라 한국사회에 다문화가족이 증가하는 것도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매우 긍정적이다'(7.8%), '긍정적으로 본다'(71.7%)를 합하면 긍정적 평가가 79.5%로 부정적 평가(17.2%)의 4배가 넘었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는 '우리 사회의 다양성과 개방성이 높아진다'가 57%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다문화가족 증가가 사회의 통합에 해가 될 수 있다는 걱정도 있었다. 다문화가족 증가를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문화적 충돌과 사회적 갈등이 생긴다'(46.9%)가 절반 가까이 됐다. '단일민족 국가 전통이 약해지므로'(22%), '한국 고유의 문화가 변질되므로'(19.4%) 등 한국 고유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데 대한 거부감도 있었다.
또한 현실에서는 여전히 다문화에 대한 차별이 존재했다. 한국사회가 다문화가족에 차별적이라는 데에 76.3%가 동의했다. '차별적이지 않다'는 응답은 21.1%뿐이었다. 이복실 여성가족부 가족청소년정책실장은 "한국인은 아직까지 다문화에 이중적인 태도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다문화가족을 대할 때 출신 국가나 인종에 따라 다른 태도를 보인다는 응답도 78.6%나 됐다.
이처럼 한국인은 이성적으로는 다문화에 수용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현실에서는 여전히 다문화가족에 대한 차별이 존재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는 한국에서 다문화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개선과 편견 해소가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2.2. 고통 받고 있는 다문화 가정
고통 받고 있는 다문화 가정은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첫째,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피부색과 외모로 인해 또래들로부터 지속적인 놀림과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 인천에 사는 초등학교 4학년 김모(10)군은 한국인 어머니와 파키스탄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얼굴이 까만 편이라 같은 반 친구들로부터 "아빠가 깜둥이인데 넌 왜 한국에 왔느냐"는 놀림을 받아 울음을 터뜨렸다. 필리핀 어머니와 한국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난 대구의 한 초등학교 4학년 최모(1...
참고 자료
이풍(2010), 중국 농업관광개발에 대한 활성화 방안: 닝샤후이족자치구를 사례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3~51.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http://www.pmg.co.kr
중국 닝샤후이족 자치구 www.nx.gov.cn
CBS노컷뉴스, 2018.12.3., http://www.nocutnews.co.kr/news/5070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