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이론의 필요성
어떠한 학문이더라도 전문적인 이론을 알지 못하고는 그 학문에 대해 명확하게 표현하기는 힘들다. 이론이란 하나의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명제들의 집합체이고, 실제를 표현하고 나타내는 과학적인 지식체라고 할 수 있다. 간호실무는 곧 이론이 되고 이론은 곧 실무가 된다고 볼 수 있다.
간호학의 간호이론은 간호실무나 간호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간호학생으로부터 배워왔던 과학적인 지식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간호이론이 필요하다고 본다. 신뢰할 만한 이론과 정확한 지식에 근거하여 실무에 적용이 가능하고 명확한 이론을 적용함으로써 전문적인 간호서비스를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과정으로 학자들은 간호전문직의 자율성, 간호목적의 일관성, 유용한 이론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의사소통과정을 제공 할 수 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간호사 면허를 갓 취득한 신규간호사와 10년 경력인 간호사가 함께 한 대상자에게 적용하는 간호 업무들이 일관성 있는 실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일관적인 이론이 밑바탕 되어져야 하고 배워온 이론의 지식을 바탕으로 잠재적으로 수행 하도록 돕는다. 경력이 많은 간호사의 실질적으로 해왔던 업무에 대해 신규간호사를 교육할 때도 필요하며 간호업무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전문적인 실무를 적용할 수 있다고 보며 간호이론이 필요성을 증명한다.
2. 오렘(Orem)의 간호이론
2.1. 자간간호결핍 간호이론의 분류
오렘의 간호모델로 알려진 자가 간호 결핍 간호이론은 오렘의 이론을 종합한 것이다. 오렘의 자가간호 결핍 간호이론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이론을 포함한다.
자가간호이론은 인간은 왜, 어떻게 스스로를 간호하는가를 나타내는 이론이다. 자가간호의 목적, 방법, 결과를 나타내며 나머지 자가간호결핍이론과 간호체계이론의 기본이 되는 이론이다. 자가간호능력, 자가간호요구와 치료적 자가간호 요구의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자가간호를 설명한다. 보편적 자가간호 요구, 발달적 자가간호 요구, 건강이탈적 자가간호요구를 포함하며, 지식습득, 의사결정, 변화수용 등과 같은 자가간호 요구와 개인의 능력과 관련된 자가간호 능력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다. 행위를 수행하는 행위자, 자가간호 행위자, 의존적 간호 행위자가 있으며, 환자는 간호를 결정하는데 있어 간호수혜자로 볼 수 있지만 환자의 책임과 역할도 필요하다. 간호사는 환자가 자가간호의 계획과 수행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격려해 주어야 한다""
자가간호결핍이론은 인간이 왜 간호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간호의 대상을 건강과 관련된 문제나 건강으로 인해 초래된 장애로 인해 스스로 간호를 해야 하는 인간으로 보고 간호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사고, 질병 등 건강상태 또는 개인의 내적, 외적 요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약에 의해 자가간호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간호를 필요로 한다고 본다""
간호체계이론은 결과가 나타나기 위해 어떻게 간호가 시작되고 유지되어야 하는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간호체계이론은 자가간호이론과 자가간호결핍이론을 포괄하는 이론으로 간호수행의 내용과 구조를 확립함으로써 돕는 체계로 보고 있다. 개인의 치료적 자가간호 요구를 충족할 때 자가간호능력을 조절하도록 개인적 능력을 발휘할 때 형성되고 조절하며 자가간호 수요를 전하도록 돕는 것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2.2. 오렘이 제시한 주요개념
오렘이 제시한 주요개념은 다음과 같다.
자가간호이론은 인간이 왜, 어떻게 스스로를 간호하는지에 대해 나타내는 이론이다. 자가간호의 목적, 방법, 결과를 나타내며 나머지 자가간호결핍이론과 간호체계이론의 기본이 되는 이론이다. 자가간호력, 자가간호요구와 치료적 자가간호 요구의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자가간호를 설명하며, 보편적 자가간호 요구, 발달적 자가간호 요구, 건강이탈적 자가간호요구를 포함한다. 지식습득, 의사결정, 변화수용 등과 같은 자가간호 요구와 개인의 능력과 관련된 자가간호 능력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다. 행위를 수행하는 행위자로는 자가간호 행위자와 의존적 간호 행위자(영유아 및 의존적 성인에 대한 간호제공자)가 있으며, 환자는 간호를 결정하는데 간호수혜자로 볼 수 있지만 자신의 책임과 역할도 필요로 한다. 간호사는 환자가 자가간호의 계획과 수행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격려해 주어야 한다.
자가간호결핍이론은 인간이 왜 간호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간호의 대상을 건강과 관련된 문제나 건강으로 인해 초래된 장애로 인해 스스로 간호를 해야하는 인간으로 보고 간호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사고, 질병 등은 건강상태 또는 개인의 내적, 외적 요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약에 의해 자가간호를 충족시킬 수 없을 때 간호를 필요로 한다고 본다.
간호체계이론은 결과가 나타나기 위해 어떻게 간호가 시작되고 유지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이론이다. 자가간호이론과 자가간호결핍이론을 포괄하는 이론으로 간호수행의 내용과 구조를 확립함으로써 돕는 체계로 보고 있다. 개인의 치료적 자가간호 요구를 충족할 때 자가간호능력을 조절하도록 개인적 능력을 발휘할 때 형성되고 조절하고 자가간호 수요를 전하도록 돕는 것으로 일련의 연속적인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3. 만성질환자 사례 조사
3.1. 인구사회학적 특성
대상자 김OO은 69세 남성으로, 중졸의 학력 수준을 가지고 있다. 종교는 무교이며, 경제상태는 중 수준이다. 입원경로는 외래이며, 보행으로 입원하였다. 진단명은 Stomach cancer로, 최초 발병일은 0000년 4월 3일이고, 최근 발병일은 0000년 7월 3일이다. 키는 167cm이고, 몸무게는 48kg이다.
3.2. 생활습관
대상자 김OO씨의 생활습관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 김OO씨는 식당일을 30년간 해왔으며, 새벽 5시에 일어나 11시에 가게문을 닫고 12시에 취침하여 수면시간이 5시간 정도이다. 식사 습관으로는 새벽 6시에 누룽지 밥공기로 1/2을 섭취하고, 점심은 서서 급하게 먹으며 커피 한잔만 마시고 30분 정도 누워서 쉰다고 한다. 저녁은 보통 찌개류 1/2 량을 섭취하여 대략 10년간 비슷한 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