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언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언어의 이해
1.1. 언어의 정의와 종류
1.2. 언어의 진화와 발생
1.3. 언어의 습득
1.3.1. 언어습득 이론
1.3.2. 언어습득의 단계와 특징
1.4. 언어의 분야와 연구
2. 언어 표기와 발음
2.1. 음성 기호화와 국제음성기호(IPA)
2.2. 외래어 표기법
2.3. 발음의 특징과 차이
3. 언어 장애
3.1. 브로카 실어증
3.2. 베르니케 실어증
3.3. 알츠하이머 질환
4. 언어 변이와 접촉
4.1. 혼성어와 두음절어
4.2. 언어의 어순 특성
4.3. 피진과 크레올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언어의 이해
1.1. 언어의 정의와 종류
언어는 인간 고유의 의사소통 수단이자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매개체이다. 언어의 정의와 종류는 다음과 같다.
언어는 일반적으로 음성 또는 문자로 표현되는 인간 고유의 의사소통 수단이다. 이는 일정한 규칙에 의해 구성된 기호 체계로서,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로 구분된다. 음성 언어는 말로 표현되는 언어이고, 문자 언어는 문자로 표현되는 언어이다. 언어는 또한 그 존재 여부에 따라 활어(活語)와 사어(死語)로 구분된다. 활어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언어이며, 사어는 과거에 사용되었으나 현재 사용되지 않는 언어이다. 한국어, 영어, 중국어 등이 대표적인 활어의 예이고, 라틴어, 고대 그리스어 등이 대표적인 사어의 예이다. 이처럼 언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분류될 수 있는 인간 고유의 의사소통 체계라 할 수 있다."
1.2. 언어의 진화와 발생
언어의 진화와 발생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가 약 160만 년 전부터 등장했으며, 이들은 언어의 시초로 알려져 있다. 이후 인간의 뇌 용량이 점차 증가하면서 언어가 진화하게 되었다.
호모 에렉투스는 집단 생활을 하면서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으로 손짓, 몸짓 같은 비언어적 소통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초기 인류는 그룹 내에서 상호 소통을 위해 언어를 점차 발전시켜 나갔다. 이러한 사회적 요인이 언어 발생의 핵심적 원인으로 여겨진다."
또한 인간의 신체 진화, 특히 발성을 내기 위해 필요한 목의 후두가 내려앉는 진화 또한 음성 언어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처럼 언어의 진화와 발생은 인류의 신체적, 사회적 진화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1.3. 언어의 습득
1.3.1. 언어습득 이론
언어습득 이론은 오랜 기간 동안 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특히 촘스키의 이성주의적 입장은 기존의 행동주의적 관점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촘스키는 인간이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는 '보편문법'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보편문법은 인간에게 내재된 언어 능력으로, 아이들이 부모의 말을 듣고 통사론적 유형을 포착해낼 수 있게 해준다. 즉, 언어 습득이 교육이 아닌 이러한 선천적 능력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촘스키의 이러한 이론은 기존의 모방, 유추 등을 통해 언어를 습득한다는 관점을 반박하였다. 그는 아이들이 부모의 말을 단순히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보편문법을 통해 자신만의 언어 체계를 구축해나간다고 주장하였다.
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 가설 또한 이와 관련된다. 1967년 에릭 레네베르크 교수가 제기한 이 가설은 인간이 언어를 습득하는 시기가 정해져 있으며, 사춘기 이후에는 언어 습득이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를 입증하기 위해 진행된 연구들은 매우 흥미롭다. 대표적인 예가 열네 살 소녀 지니의 사례이다. 지니는 생후 18개월부터 14세까지 부모에 의해 격리된 채 자랐기 때문에, 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를 놓쳐버린 것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지니는 언어 습득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 6살에 발견된 이사벨은 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 내에 있었기 때문에, 불과 1년 만에 또래 아동과 거의 동등한 수준의 언어 능력을 보였다.
이처럼 결정적 시기 가설은 언어 습득이 생득적인 능력을 기반으로 하며, 특정 시기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기존의 행동주의적 관점과는 거리가 멀며, 언어 습득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해주고 있다."
1.3.2. 언어습득의 단계와 특징
인간이 태어나서 다섯 살이 되기 전에 모든 문법 규칙을 습득한다는 것이 언어습득의 일반적인 통설이다. 언어능력은 후천적 교육이나 모방을 통해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생득적인 언어습득 기제를 기초로 연역적 문법 원리를 구축해 나간다.
언어습득의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섯 단계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옹알이 단계로, 생후 6개월 정도부터 시작되며 자음과 모음을 사용하여 옹알이를 한다. 이 단계에서는 12개 정도의 음성을 사용하며, 수화 아동들도 부모의 수화를 보고 시각적 정보를 통해 옹알이 단계를 거치게 된다.
두 번째 단계는 한 단어 단계로, 생후 15개월에서 20개월 사이에 나타난다. 이 시기에 아이들은 한 단어...
참고 자료
권재일, 김현권, 남승호, 2015, 언어의 이해,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스티븐 핑거, 2004, 언어본능, 동녘사이언스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A%B2%B0%EC%A0%95%EC%A0%81_%EC%8B%9C%EA%B8%B0_%EA%B0%80%EC%84%A4
권재일/김현권/남승호, 『언어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김현권, 『언어의 이해 워크북』,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인간과 언어, 박동우 외 4인, 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