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Home Ventilator
1.1. 목적
'Home ventilator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환자의 생명 연장과 삶의 질 제공이다. 환자의 심한 불안과 불필요한 고통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므로, 급성치료 기관에서 가정간호로 인공호흡기 간호를 변화시키기 전 환자를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시킨다.
둘째, 환자의 신체적, 생리적 기능 발달 및 강화이다. 급성치료 기관에서는 환자에게 친숙한 환경 제공이 어렵지만, 가정에서 환자는 재활과정을 더욱 적극적으로 수행하게 되어 건강증진과 인공호흡기 이탈이 촉진된다. 또한 가족과 친구들과의 접촉으로 환자의 심리적 안녕과 삶의 질이 향상된다.
셋째, 인공호흡기에 드는 비용 절감이다. 비용의 절감은 가정간호의 다른 목적이 되지만, 1차적 목표는 아니며 무엇보다 질적인 간호가 선행되어야 한다.'"
1.2. 적응증
Home ventilator의 적응증은 환기 부전과 장기 인공호흡기 치료의 원인이 되는 다양한 질환들이 해당된다"".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 환기 부전과 장기 인공호흡기 치료의 원인이 되는 질환이 무엇인지, 인공호흡기가 필요한 임상상황이 있는지, 급성기 치료를 마치고 acute care 환경을 벗어나기에 충분히 안정적인지, 그리고 환자에게 적절한 다른 비침습적 인공 환기의 대안은 없는지 등이다"".
Home mechanical ventilation이 적용되는 주요 질환으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제한성 폐질환, 호흡근 기능부전, 중추성 저환기 증후군 등이 있다"".
COPD는 air flow obstruction이 일차적인 증상으로, 안정적인 COPD 환자의 경우 약간의 치료만으로도 관리가 가능하지만 환기 부전, 산소화 실패, 또는 이 둘 다 발생하거나 폐렴 및 수술 등으로 상태가 악화되면 기계 환기가 요구된다"". COPD 환자는 기도 유지를 위해 높은 수준의 간호가 필요하며, 인공호흡기 이탈이 어려워 환자가 임상적으로 안정되고 심각한 저산소혈증이 없다면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
제한성 폐질환 환자는 폐를 확장시키기 어려워 lung volume과 capacity가 감소하고, 일회호흡량 감소로 인해 호흡수가 빨라져 dead space ventilation이 증가하며, 폐의 compliance 감소로 인해 호흡 일량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서 호흡근 피로가 발생하여 이차적으로 환기 부전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안정한 제한성 폐질환 환자에게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이 고려될 수 있다"".
호흡근 기능부전 환자는 척수 손상이나 다발성 신경병증 등으로 호흡근이 문제이지만 폐는 건강하고 예후가 좋은 경우가 많다"". 이런 환자들은 합병증이 없다면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이 가능하며, 폐 감염 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기도관리가 중요하다"".
중추성 저환기 증후군 환자는 무호흡이나 자발 호흡 조절 기능 부전으로 인해 다양한 저환기 증상이 나타나는데, 중증도와 합병증이 다양해 수면 중에만 인공호흡기를 적용하거나 지속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환자들도 주의 깊은 평가를 통해 가정용 인공호흡기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질환의 환기 부전 환자들이 home mechanical ventilation의 적응증이 되며, 환자의 임상 상태와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용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1.3. Ventilator mode
Ventilator mode"는 환자의 자발 호흡 상태에 따라 달리 선택된다. 자발 호흡이 전혀 없는 환자의 경우 CMV(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or) 모드를 적용한다. CMV 모드에는 VCV(Volume Control Mode)와 PCV(Pressure Control Mode)가 있다. VCV 모드는 일정한 환기량을 제공하고, PCV 모드는 일정한 압력으로 환기를 제공한다.
자발 호흡이 약하게 있는 경우에는 SIMV(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모드를 적용한다. SIMV 모드는 기계 호흡과 자발 호흡이 함께 진행되며, 자발 호흡을 보조해준다.
자발 호흡이 있는 경우에는 PSV(Pressure Support Ventilation) 모드와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PSV 모드는 자발 호흡에 맞추어 흡기 시 일정한 압력으로 보조하고, CPAP 모드는 자발 호흡 중에 흡기와 호기 시 모두 일정한 양압을 계속 걸어두는 방식이다.
따라서 Ventilator mode의 선택은 환자의 자발 호흡 능력에 따라 달라지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호흡 보조와 환기 조절이 가능하다.
2. 성인간호학실습 급성호흡부전 CASE STUDY
2.1. 간호력
대상자 김OO은 87세 남성으로, 폐암(Malignant neoplasm of lung) 진단을 받고 현재 급성 호흡부전(Acute Respiratory Failure) 상태이다. 대상자는 10월 6일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나 본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외래를 통해 입원하였고, 입원 중 급성 호흡부전이 발생하여 10월 8일 MICU에 입실해 기계환기치료를 받았다. 이후 반복적인 기계환기 이탈 실패로 10월 20일 기관절개술을 받았으나 계속해서 기계환기에 의존하는 상태여서, 11월 7일 home vent를 적용하게 되었다. 이후 11월 12일 일반병동으로 전동되었으나 지속적인 PaCO2 증가로 11월 13일 다시 MICU에 입실하여 현재 기계환기치료를 받고 있다. 대상자는 기혼 상태이며, 대학교를 졸업한 학력을 가지고 있다. 폐암 진단 외에 녹내장, 폐절제술 병력이 있다"
2.2. 현 건강상태
현재 건강상태는 다음과 같다.
환자의 체온은 35.9°C로 정상 범위에 있다. 호흡은 분당 23회로 빠른 호흡양상을 보이며, 호흡음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