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구 중구 보건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지역 특성
1.2. 인구 특성
1.3. 건강행태
1.4. 환경수준 및 자원수준
2. 지역사회 간호문제
2.1. 인구활동
2.2. 신체활동 감소
2.3. 비만
3. 우선순위 결정
4. 간호진단 수립
4.1. OMAHA 간호진단체계
5. 간호계획과 이론적 근거
5.1. 인구감소
5.2. 건강생활 실천 개선
5.3. 비만 관리
6. 보건소의 역할, 기능과 사업
6.1. 지역보건법에 따른 보건소의 기능 및 업무
6.2. 우리나라 보건소의 발전
7. 중구 보건소 현황
7.1. 중구 보건소 조직도
7.2. 중구 보건소 구조
7.3. 중구 보건소 보건사업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 간호사정
1.1. 지역 특성
대구광역시 중구는 분지 형상인 대구의 중앙 저지대에 도심이 형성되어 동편에 흐르는 신천을 경계로 동·수성구로 나뉘며 명덕로를 경계로 남구, 달성공원 서편 기슭과 비산동 동편을 경계로 서·달서구와 나뉘고 대구역의 동서로 뻗은 경부선 철길을 따라 북구와 경계를 이룸으로써 우리 중구는 동·서·남·북·수성·달서구에 둘러싸인 대구광역시의 중심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중구는 총 면적 7.06㎢ 중 현재 대지 61.3%로 이용, 그 외 도로 23.5%, 학교용지 5.0%, 하천 3.8%, 공원 2.0%, 기타 4.4%로 이용되고 있다. 중구는 분지상의 대구지역의 중심지로서, 팔조령에서 발원하는 신천의 서쪽 범람원과 그 주변에 발달한 낮은 구릉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북동부의 팔공산과 남구의 대덕산으로 둘러싸이고 서쪽은 개방된 나팔상의 대구분지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중구는 총 2만 1,399개소로 9만 2,741명 종사하고 있으며, 도·소매업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소매업이 9,591개소(44.8%)로 2만 2,902명 종사하고, 숙박 및 음식점업이 3,271개소(15.2%)로 1만 1,512명 종사, 제조업이 2,050개소(9.5%)로 4,831명, 기타공공수리 및 개인 서비스업이 1,781개소(8.3%)로 4,234명, 사업서비스업이 367개소(1.7%)로 4,851명 종사하고 있다.
중구청은 구청장과 부구청장 체계로 운영되며, 3국(행정지원국, 주민생활지원국, 도시국), 2실(기획예산실, 전략경영실), 13과(행정지원과, 종합민원과, 경제과, 세무과, 주민생활지원과, 주민복지과, 문화관광과, 환경과, 위생과, 도시관리과, 건설방재과, 건축주택과, 교통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중구는 대구의 중앙 핵심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체 면적의 3분의 2가량을 대지가 차지하고 있는 주요 상업 및 상업 중심지역이라 할 수 있다.
1.2. 인구 특성
중구의 인구 특성은 다음과 같다.
2020년 기준 중구의 총 인구는 77,282명으로, 이는 전국 인구의 0.837%, 대구광역시 인구의 0.807%를 차지한다. 지난 5년간(2015~2020년) 중구 인구는 감소 추세를 보였는데, 2015년 78,843명에서 2020년 77,282명으로 약 1,561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보인다. 실제로 중구의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5년 1,216명에서 2020년 807명으로 크게 낮아졌다.
중구 인구의 연령별 구성을 살펴보면, 2020년 기준 19세 이하 유소년 인구는 7,557명(전체 인구의 9.9%), 15-64세 경제활동인구는 52,367명(67.7%),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5,780명(20.4%)으로, 노령화 지수가 208.81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 노령화 지수인 157.8, 대구광역시 145.6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중구의 인구는 지속적인 감소와 함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보건의료 정책 수립 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3. 건강행태
건강행태 측면에서 대구광역시 중구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음주율의 경우, 2015년 61.3%에서 2020년 51.1%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대구광역시의 음주율 51.1%와 유사한 수준이다.
한편 흡연율의 경우 2015년 21.2%에서 2020년 19.4%로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대구광역시 전체 흡연율 29.1%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건강생활실천율 또한 2015년 34.1%에서 2019년 32.6%로 소폭 감소하다가 2020년 29.1%까지 낮아졌는데, 이는 대구광역시 전체 건강생활실천율 32.5%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비만유병률의 경우 2018년 31.3%에서 2019년 32.5%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대구광역시 전체 비만유병률과 유사한 수준이다.
이처럼 대구광역시 중구의 건강행태는 전반적으로 대구광역시 전체 평균과 유사한 수준이지만, 일부 지표에서는 다소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건강생활실천율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고 볼 수 있다.
1.4. 환경수준 및 자원수준
대구시 중구의 환경수준 및 자원수준은 다음과 같다.
대구시의 상하수도 보급률은 각각 100%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내어 모든 시민이 수돗물을 공급받고 있으며, 하수도 보급률은 '13년 92.1%이후 '19년 98.7%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공공하수도서비스 수혜인구비율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다. 대구시는 2018년에 "물관리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되었으며, 세계 최고수준의 수질관리와 선제적 녹조 대응 등 지속적으로 수자원 관리에 힘써왔다.
쓰레기 관리 측면에서는 대구 중구의 면적 대비 생활쓰레기 발생량이 8개 구·군중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법 투기와 음식물·재활용품 분리배출이 미흡한 문제가 있어 청소 담당 인력의 업무 부담이 큰 편이다. 중구청은 불법 투기 쓰레기에 대한 기동반을 운영하고 있지만, 전량 처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자원회수센터(재활용품 선별장) 또한 자치단체가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시설이 없어 이 부분에서의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환경오염물질 배출 업소 측면에서는 중구 내 전체 배출 업소 중 약 43%가 수질 배출 업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환경은 환경기준에 적정한 수준이었으나 오존은 2013년 대비 0.004ppm 증가하였다.
이처럼 대구 중구는 수자원 관리와 환경 보호 측면에서는 비교적 양호한 편이나, 폐기물 관리와 배출 업소 관리에 있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볼 수 있다.
2. 지역사회 간호문제
2.1. 인구활동
지역사회 간호사정 결과, 대...
참고 자료
최신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수문사 ,2021
지역사회간호학, 강향숙, 퍼시픽북스, 2015
대구광역시 중구청(https://www.jung.daegu.kr/)
대구광역시 중구청 중구보건소(https://www.jung.daegu.kr/new/healthcenter/pages/main/)
대구광역시 동구보건소(https://www.dong.daegu.kr/health/page.htm?mnu_uid=1617&)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https://knhanes.kdca.go.kr/knhanes/sub01/sub01_05.do#none)
경북대학교병원, 권역심뇌혈관 질환센터
https://www.dgccvc.or.kr:7445/bbs/board.html?page=board&start=40&mode=&field=&keyword=&code=com_01&inc=0&category=&auto_reload=20220428135235)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건강통계(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pblcVis/details.do?ctgrSn=34)
2020년 대구광역시 고령자 통계, 동북지방통계청
[대구광역시]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대구시 중구]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2020년 지역사회건강통계집-대구광역시 중구
2020년 제60회 대구광역시 통계연보
2020 중구 통계연보
https://www.jung.daegu.kr/new/pages/administration/page.html?mc=169&gubun=%ED%86%B5%EA%B3%84)
2019 국민건강통계, 질병관리청
지역사회 건강조사, https://www.daegu.go.kr/health/index.do?menu_id=00935800
고혈압,당뇨병 등록관리사업 추진현황, 주간 건강과 질병 ;14(21): 2021
당뇨병 인지율,치료율,조절률 수준 및 추이, 2005~2018, 주간 건강과 질병; 12(45): 2019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소개 및 효과, 국민건강보험공단(송은주,김영은,지선미), 대한내과학회;96(1), 2021
서울특별시 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사업 민간위탁동의안 심사보고서, 보건복지위원회, 2020
병원 기반 등록관리가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질병관리 수준에 미치는 영향, 질병관리본부, 경북대학교
2019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 보건복지부 질병관리 본부
당뇨병 가이드라인 일차의료용 요약정보, 대한의학회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증진 종합계획(https://www.khealth.or.kr/healthplan), 성과지표 HP DB
한국생명존중 희망재단(https://kfsp-datazoom.org/), 한국 자살현황
대구 경북 고용노동여건 분석자료집,2020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평가체계 개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8, 보건복지부
제제별보기 e-지방지표 (웹사이트) (2021.09.23.)
URL: https://kosis.kr/visual/eRegionJipyo/themaJipyo/eRegionJipyoThemaJipyoView.do
대구광역시 중구 (웹사이트) (2021.09.23.)
URL: https://www.jung.daegu.kr/new/pages/happiness/page.html?mc=0057
대한비만학회 (웹사이트) (2021.09.23.)
URL: http://general.kosso.or.kr/html/?pmode=obesityCure
대구광역자살예방센터 (웹사이트) (2021.09.23.)
URL: https://dgmhc.or.kr/mind/index.php?gt=stats/stats13
대구광역시 (웹사이트) (2021.09.23.)
URL: https://www.daegu.go.kr/index.do
지역보건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law.go.kr)
대구시 중구 보건소 홈페이지
최신 지역사회간호학 1 , 수문사
한국 문화사 > 제 4장 과학 기술과 일상 생활의 변화 > 4. 우리나라의 의학 발전과 보건 의료 체계 > 광복 이후 의학 발전과 현대적 의료 제도의 성립
보건소의 기능 및 조직의 재편성 방안, 김진순 (한국보건사회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