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무력감 치료적계획"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간호 사정
1.1. 주관적 자료
1.2. 객관적 자료
2. 간호 진단
2.1. 정의
3. 간호 목표
3.1. 장기 목표
3.2. 단기 목표
4. 진단적 계획
4.1. 이론적 근거
5. 치료적 계획
5.1. 이론적 근거
6. 교육적 계획
6.1. 이론적 근거
7. 간호 평가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간호 사정
1.1. 주관적 자료
"대상자는 "왜 사는지를 모르겠어요.", "몰라요.. 기력도 없고 아무것도 하기가 싫네요.", "별로 안 하고 싶은데요.", "에휴.. 늙으니 매사에 무용지물이지."라며 삶에 대한 무기력감과 우울감을 호소하고 있다"""대상자는 자신의 질병 진행과 예후에 대해 불확실함을 표현하며, "점점 의지가 없어지고 힘이 없어지네요.", "정상적인 부모로써 삶을 살아가고 싶어요, 아이에게 너무 미안해요.", "이 생활이 언제쯤 끝날 수 있을지 막막해요."라고 말하고 있다""
1.2. 객관적 자료
(1) 진단명 :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
환자는 우울장애 진단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장애는 지속적인 우울감, 흥미 저하, 무기력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정신 질환이다.
(2) 무력감 척도(Powerlessness Scale) 점수가 51점/64점으로 측정됨.
무력감 척도 점수가 51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환자가 상당한 수준의 무력감을 느끼고 있음을 의미한다.
(3) 자신에 대한 무가치감으로 인한 삶에 대한 에너지 상실을 호소함.
환자는 자신에 대한 무가치감으로 인해 삶에 대한 에너지 상실을 호소하고 있다. 이는 우울감과 무력감이 환자의 삶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4) depressive mood 보이며 대부분의 시간동안 침상에 누워 활동하는 모습임.
관찰 결과, 환자는 우울한 기분을 보이며 대부분의 시간을 침상에 누워서 보내는 등 활동이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울감과 무력감으로 인한 행동 저하를 반영한다.
(5) 대화 시 eye contact 잘 되지 않으며 모든 활동에 적극성이 없으며 무력함.
대화 중 환자는 눈 맞춤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모든 활동에서 적극성이 없으며 무력해 보이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환자의 무력감과 우울감이 대인 관계와 활동에서도 드러나고 있음을 나타낸다.
(6) 일상생활의 활동 시 움직임이 거의 없고 다른 사람에게 의존함.
환자는 일상생활 활동 시 움직임이 거의 없고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적 기능 저하와 무력감으로 인해 자립적인 일상생활이 어려워진 상태임을 보여준다.
...
참고 자료
양선희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 1, 2, 현문사
고자경 외 공저(2017). 성인간호학 1, 2, 퍼시픽북스
박은영 외 공역(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박금주 외 공저(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축문화사
Herdman 외 공저(2018).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2020). 학지사메디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