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장애인 보조공학 장치
1.1. 보조공학 장치 분류
보조공학 장치는 장애인들의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기들로 구성되어 있다. 보조공학 장치는 크게 시각, 청각, 지체, 언어 등의 장애 유형별로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장치로는 점자정보단말기, 확대독서기, 점자프린터 등이 있다. 점자정보단말기는 시각 장애인들이 전자 점자와 음성을 통해 문서의 출력과 인터넷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이다. 확대독서기는 저시력인이 문자를 읽을 수 있도록 확대시켜 주는 장치이며, 점자프린터는 점자 또는 그림을 종이 위에 양각으로 출력하는 컴퓨터의 출력 장치이다.
청각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장치로는 화상 전화기, 골도 전화기, 수화번역기 등이 있다. 화상 전화기는 모니터를 통해 상대방의 얼굴을 보며 통화할 수 있는 발전된 형태의 전화기이며, 골도 전화기는 소리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여 두뇌로 전달하는 전화기이다. 수화번역기는 청각 장애인의 수화를 인식하고 이를 언어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가진 기기이다.
지체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장치로는 SCEWO, Tek RMD, 가스링 핸드 컨트롤, 안경 마우스 등이 있다. SCEWO는 경사로가 없는 곳에서도 계단 앞에 자동으로 경사로를 만들어 이동할 수 있는 장치이며, Tek RMD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서도 앉거나 일어설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가스링 핸드 컨트롤은 엑셀과 브레이크의 기능이 나눠져 있어 한 손만으로도 조작이 가능한 장치이고, 안경 마우스는 얼굴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무선 마우스이다.
언어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장치로는 보이스탭, 팔찌형 의사소통기 등이 있다. 보이스탭은 자신의 의사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없는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보조기기이며, 팔찌형 의사소통기는 언어 학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보조기기이다.
이처럼 보조공학 장치는 장애인들의 사회활동 및 자립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장애 유형별로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1.2. 보조공학 장치 기능 및 특징
보조공학 장치는 장애인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해주는 다양한 기능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점자정보단말기는 시각 장애인들이 전자 점자와 음성을 통해 문서의 출력과 인터넷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휴대용 정보통신 기기이다. 9개의 버튼이 달린 점자 입력 키보드와 32칸의 점자 표시가 가능한 점자 출력 패드,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을 갖추고 있어 개인용 컴퓨터(PC)에 연결해서 문서 작성과 데이터 교환, 인터넷 검색 등을 할 수 있다.
확대독서기는 시각 장애인과 저시력인의 독서를 돕기 위해 활자를 카메라로 찍은 후 확대시켜 모니터를 통해 보여주는 기계이다. 저시력인이 문자를 읽을 수 있도록 확대시켜 주며, 배율 및 대비 조절과 색상 변경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점자프린터는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장치로, 점자 또는 그림을 종이 위에 양각으로 출력하는 컴퓨터의 출력 장치이다. 개인용 점자 프린터와 인쇄용 점자 프린터가 있으며, 초기 단면 출력 방식에서 양면 출력이 가능한 제품이 개발되었고, 연속 용지뿐만 아니라 낱장 용지도 사용할 수 있다.
SCEWO는 경사로가 없는 곳에서 큰 불편함을 겪던 지체장애인들을 위해 만들어진 장치이다. 평지에서는 전동 휠체어와 별반 다르지 않지만, 계단 앞에 가면 센서를 통해 계단임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경사로를 만들어주어 계단이 있는 곳에서도 휠체어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Tek RMD는 지체 장애인들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앉거나 일어설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무선 조종으로 누운 상태에서도 쉽게 일어날 수 있고, 앉아 있는 상태에서도 휠체어의 등받이를 몸에 고정시킨 후 휠체어를 조종할 수 있다. 일반 휠체어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좁은 공간도 쉽게 이동할 수 있다.
OrCam MyEye는 시각 장애인을 위해 만들어진 보조공학장치로, 텍스트에 손을 가져다 대면 카메라가 손의 움직임을 포착해서 해당 텍스트를 인식하고 읽어준다. 따라서 책이나 신문 등의 텍스트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벽, 간판 등의 텍스트까지도 손을 가져다 대기만 하면 바로 읽을 수 있게 된다.
Dot watch는 시각 장애인을 위해 만들어진 점자 스마트 워치이다. 수시로 달라지는 점의 개수로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문자메시지까지 점자로 변환해 읽을 수 있다. 촉각 모드로 시간을 쉽고 빨리 읽을 수 있고, 점자 모드로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전화나 문자메시지까지도 이용할 수 있다.
UNI는 청각 장애인들을 위해 만들어진 기기로, 태블릿 PC 하나로 청각장애인은 수화를 배우지 않은 사람과 불편함 없이 소통할 수 있다. 청각장애인의 수화를 인식하고 이를 언어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미세한 동작까지도 인지할 수 있는 립 모션 기능을 탑재했다.
가스링 핸드 컨트롤은 지체 장애인들을 위한 보조장치로, 엑셀과 브레이크의 기능이 나뉘어 있어 한 손만으로도 핸들 조향과 엑셀을 작동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차량에 설치가 가능하며,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직장에 다니는 장애인에게 무상으로 지원하고 있다.
네비게이션 신호기는 청각/언어 장애인이 운전 또는 도보로 이동할 때 네비게이션에서 방향 등 음성 메시지를 안내하면, 블루투스 진동 알림기에서 진동과 조명으로 알려주어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인테그라마우스 플러스는 사지 사용이 어려운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들을 위한 보조공학 장치로, 입술로 작동하며 컴퓨터 윈도우와 스마트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마우스 피스를 머리로 움직이는 방식이 아닌, 입으로 물고 입술을 약간 움직이면 작동한다.
보청기는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보조공학 장치로, 소형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소리를 모으거나 증폭시켜 잘 들리게 한다. 소리 크기를 작게 듣는 노인들이나 청력을 손실한 사람, 질병이나 사고, 소음 등으로 인해 난청을 겪는 대상에게 사용된다.
안경 마우스는 상지의 절단, 마비, 관절 등의 장애가 있어 손으로 일반 마우스 사용이 어려운 지체/뇌병변 장애인이 착용하여 사용하는 무선 마우스이다. 블루투스 연결 방식으로 얼굴에 착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