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노인구강보건교육자료개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구강보건사업의 필요성
1.1.1. 지속적인 구강건강 수준의 향상
1.1.2. 구강질환에 따른 개인 및 사회적 부담 가중
1.1.3. 국민 구강건강 불평등
1.1.4. 인구 고령화에 따른 구강건강관리
1.1.5. 구강건강과 정신건강의 밀접한 연관성
1.2. 구강보건사업 정책방향
1.2.1. 기본방향
1.2.2. 성과지표
2. 본론
2.1. 구강보건 교육 및 홍보
2.1.1. 목적
2.1.2. 근거법령
2.1.3. 사업대상
2.1.4. 사업추진방법
2.2. 불소용액양치
2.2.1. 목적
2.2.2. 근거법령
2.2.3. 사업대상
2.2.4. 사업기간
2.2.5. 사업추진방법
2.3. 노인 불소도포 및 스케일링
2.3.1. 목적
2.3.2. 근거법령
2.3.3. 사업대상
2.3.4. 사업수행인력
2.3.5. 사업추진방법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구강보건사업의 필요성
1.1.1. 지속적인 구강건강 수준의 향상
우리나라의 12세 아동이 경험한 평균 우식치아(충치) 개수는 1.84개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평균 1.2개보다 많은 수준이다. 그러나 치아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여러 지표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영구치 우식증은 만 6세부터 증가하여 20세 무렵에 이르면 경험률이 90%를 상회하는 등 대다수의 국민들이 경험하므로, 우식 발생 전에 예방적 개입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1970~1980년대에 칫솔질 등 개인 구강건강관리가 보편화됨에 따라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의 치주질환 유병률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였으나, 2013년부터 치주질환 유병률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치주질환 예방을 위한 지속적 개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1.1.2. 구강질환에 따른 개인 및 사회적 부담 가중
'구강질환에 따른 개인 및 사회적 부담 가중'이다.
'18년 요양기관종별 요양급여비용을 보면, 다른 기관에 비해 치과가 차지하는 요양 급여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 구강질환의 경우 타 질환에 비해 국민건강보험 보장률이 낮으므로, 비급여 구강질환에 대한 치료비 부담으로 국민 개개인이 느끼는 부담감이 크다. 이는 구강질환에 따른 개인적 부담이 가중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강질환에 따른 사회적 부담도 크다. '18년 노인(65세 이상) 외래 다빈도 질병 발생 순위별 요양급여 실적 진료 인원에 따르면, 구강관련 질병인 치은염 및 치주질환(약 259만명, 2위),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 장애(약 105만명, 10위) 2개 질병이 10순위 내에 포함되어 있다. 이는 구강질환이 사회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구강질환에 따른 개인 및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1.1.3. 국민 구강건강 불평등
인구 집단 간 양극화의 심화는 상대적으로 보장성이 취약한 치과의료 이용의 격차를 초래하여 구강건강 불평등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만19세 이상 성인의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치아우식 유병률의 차이가 나타나는데, 월 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영구치 우식 유병률이 높은 경향(소득 4분위 상(22.7%), 하(37.7%))을 보인다. 또한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치과 미충족 의료율이 높은 경향(소득 4분위 상(27.9%), 하(37.6%))을 보이는 등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치과 미충족 의료율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1.1.4. 인구 고령화에 따른 구강건강관리
인구 고령화에 따른 구강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65세 이상 노인의 절반가량이 다수의 치아를 상실하여 씹기 불편 등을 겪고 있으며,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과 경제적 부담 경감을 위해 노인 구강질환 예방 사업이 필수적이다. 정부에서는 2002년부터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틀니제공사업과 불소도포, 스케일링 제공 사업을 점차 확대해 왔으나, 인구고령화로 인해 급증하는 수요를 감안하여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2018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약 745만 5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14.4%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5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의 저작불편 호소율은 43.3%, 20개 이상 치아보유율은 54.7%, 의치필요자율은 22.7%, 치주질환 유병률은 48.5%로 나타났다. 반면 구강검진율은 21.7%에 그쳐 노인에 대한 구강건강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2018년 노인(65세 이상) 외래 다빈도 질병 발생 순위별 요양급여 실적을 보면, 치은염 및 치주질환과 치아 및 지지구조의 기타 장애가 상위 10순위 내에 포함되어 있어, 노인 구강질환이 의료체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 구강건강관리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는 저소득층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구강질환 예방 및 치료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구강건강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제고와 자가관리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및 홍보 사업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참고 자료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
한국 건강증진 개발원
대한구강보건협회
생활건강 중앙대 약대 교양교재편찬위원회 저 | 신일상사
구강길라잡이
대전광역시 교육청
2020 지역사회 건강통계, 2020,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울시 구강보건정책 연구, 2013, 서울특별시 공공보건의료 지원단
제 1차(2017~2021) 구강보건사업 기본계획, 2017, 보건복지부
양천구 지역보건 의료계획 1차년도(2019년) 시행계획, 양천구 보건소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1차년도(2019년) 시행결과 및 2차년도(2020년) 시행계획
제4기(19~22) 지역사회보장계획의 2021년도 연차별 시행계획, 2020, 양천구청
제7기 양천구 지역보건 의료계획(2019~2020), 2018, 양천구 보건소
2020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구강보건),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그이와의 동행(2019년 구강보건사업 성과 사례집). 2020. 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15 지역사회 구강보건사업 우수사례집 선DO
제1차(2017~2021) 구강보건사업 기본계획, 2017, 보건복지부
양천구 주요업무계획, 2021, 양천구청
서울시 구강보건현황과 정책과제 분석
지역사회 노인에서의 저작불편감 예측요인, 문설화 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 28 No. 3, 302-312, September 2017
구강보건사업 세부·시행계획 운영현황 사업보고서(2018-2020), 2020, 한국건강증진개발원
2020년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안내(구강보건)/보건복지부 한국건강증진개발원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52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