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건강간호학 사례보고서 조현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조현병의 정의
1.2. 조현병의 특징
2. 원인
2.1. 생물학적 요인
2.1.1. 유전적 요인
2.1.2. 신경화학적 요인
2.1.3. 생리적 요인
2.2. 심리사회적 요인
2.2.1. 심리적 스트레스원
2.2.2. 사회환경, 문화적 요인
3. 증상
3.1. 양성증상
3.2. 음성증상
3.3. 인지증상
3.4. 정서적 증상
4. 진단 기준
5. 치료 및 간호
5.1. 치료적 환경과 안전의 제공
5.2. 치료적 의사소통
5.3. 주요증상 간호
5.3.1. 환각 간호
5.3.2. 망상 간호
5.3.3. 연상의 이완
5.4. 심리적 중재
5.5. 사회적 중재
6. 약물 치료
6.1. 항정신병약물의 작용
6.2. 항정신병약물의 부작용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조현병의 정의
조현병은 지각, 추론적 사고, 사고와 말의 유창성과 생산성, 정서 표현 능력과 동기부여의 손상이 포함된 다양한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기능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이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정신분열병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2012년부터는 병명이 갖는 사회적 편견과 낙인을 바로잡기 위해 조현병이라는 개정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조현이란 사전적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는 뜻으로, 조현병 환자의 모습이 마치 현악기가 정상적으로 조율되지 못했을 때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보이는 것과 같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이는 병으로 인한 정신의 부조화를 치료를 통해 조화롭게 하면 현악기가 좋은 소리를 내듯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는 긍정의 의미를 담고 있다."
1.2. 조현병의 특징
조현병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조현병은 지각, 추론적 사고, 사고와 말의 유창성과 생산성, 정서 표현 능력과 동기부여의 손상이 포함된 다양한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기능 이상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증상의 심각도와 기간에 따라 스펙트럼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정신분열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2012년부터 병명이 갖는 사회적 편견과 낙인을 바로잡기 위해 조현병이라는 개정된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조현병은 단일 원인에 의한 동질적 질환이 아니라 유전적 소인, 생화학적 기능부전, 신체적인 요인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고, 다양한 증상을 갖는 증후군 또는 질병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정신증에 속하는 대표적인 장애로서 현실 검증력이 손상되어 비현실적인 지각과 비논리적인 사고를 나타내며 혼란스러운 상태에 빠져들게 된다."
2. 원인
2.1. 생물학적 요인
2.1.1. 유전적 요인
조현병의 유전적 요인은 매우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조현병 환자 형제의 조현병 평생 유병률은 10% 정도이고, 한쪽 부모가 조현병인 경우 그 자녀의 발병률은 13%로 높게 나타난다. 또한 일란성 쌍둥이에 비해 이란성 쌍둥이의 발병률이 4배 정도 낮은 것으로 보아 유전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러 염색체의 유전자가 복잡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여 조현병에 취약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즉, 유전적 요인이 조현병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조현병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한 입양 연구에서도 조현병 환자의 생물학적 부모로부터 출생한 자녀가 일반 가정에 입양되어도 여전히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다양한 연구 결과들은 유전적 요인이 조현병의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뒷받침하고 있다. 따라서 조현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유전적 요인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1.2. 신경화학적 요인
신경화학적 요인은 조현병의 발병 원인 중 주요한 부분으로, 특히 도파민 이론이 널리 알려져 있다. 도파민 이론에 따르면 도파민의 활성 과다로 인해 조현병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파민 과잉활동은 신경말단에서 도파민의 생성이나 유리 증가, 수용체의 민감성 증가, 도파민 수용체의 과잉, 또는 이런 기전들이 서로 맞물려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1세대 항정신병약물로 알려진 chlorpromazine과 같은 약물들이 뇌에서 도파민(D2) 수용체의 활동을 막아 도파민 활성화를 제한함으로써 조현병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GABA 등의 다른 신경전달물질과 프로스타글란딘, 엔도르핀과 같은 신경조절물질의 비정상이 조현병과 관련되는 것으로 연구되어 왔다. 이처럼 조현병의 병인에는 신경화학적 요인이 깊이 관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조현병의 진단 및 치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2.1.3. 생리적 요인
바이러스 감염은 조현병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생 전 인플루엔자에 노출된 경우 조현병의 발생률이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임신기나 출산기 합병증, 엽산 결핍 등의 임신기 영양결핍, 저산소증, 임부의 감염 등이 조현병 발생과 관련될 수 있다. 출생 당시 부모의 연령 또한 조현병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임신 당시 아버지의 나이가 35세 이상인 경우, 늦은 겨울이나 이른 봄에 태어나는 것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조현병 환자들의 뇌에서는 신경회로 간 소통 붕괴를 초래하여 조현병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구조적 이상이 발견되고 있다. 컴퓨터 단층 촬영, 자기공명영상, 양전자방출 단층촬영 등의 뇌영상기법을 통해 일부 조현병 환자들의 뇌에서 측뇌실 확대, 제3뇌실의 팽창, 뇌실의 비대칭, 뇌피질·전두엽·편도체·소뇌 등의 위축, 피질 두께 감소, 각 부위 간 연결 감소 등의 구조적 이상이 발견되고 있다."
한편 조현병과 일부 신체질환과의 연관성도 보고되고 있다. 몇몇 연구에서는 조현병과 측두엽 간질, 무도병, 출생 시 외상, 성인기 뇌손상, 알코올 남용, 뇌종양, 뇌혈관 손상, 전신성 홍반성 낭창, 점액수종, 파킨슨병, 윌슨병 등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2.2. 심리사회적 요인
2.2.1. 심리적 스트레스원
심리적 스트레스원은 조현병의 발병과 증상 악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조현병은 흔히 대학 진학 등의 발달 위기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나는데, 이때 스트레스는 코티솔 분비를 증대시켜 뇌의 발달을 방해하고 개인의 취약성을 높이게 된다. 비록 스트레스가 조현병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유전적 취약성을 가진 개인들의 증상 촉발과 악화, 재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현병 환자들은 경제적 어려움, 가족관계의 갈등, 대인관계 문제 등 다양한 심리적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어 있...
참고 자료
최미영, 2023년 2학기 정신건강간호학실습2 지침서, 메디컬에듀케이션
한금선 외, 정신건강간호학 하, 개정6판, 수문사
김성재 외,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약학정보원, 조현병의 모든 것 이해하기
국가정신건강포털, 조현병, https://www.mentalhealth.go.kr/portal/disease/diseaseDetail.do?dissId=26
MSD 매뉴얼 일반잉용, 조현병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A0%95%EC%8B%A0-%EA%B1%B4%EA%B0%95-%EC%9E%A5%EC%95%A0/%EC%A1%B0%ED%98%84%EB%B3%91-%EB%B0%8F-%EA%B4%80%EB%A0%A8-%EC%9E%A5%EC%95%A0/%EC%A1%B0%ED%98%84%EB%B3%91
서울아산병원, 조현병,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8
서울대학교병원, 조현병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8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19928&cid=51004&categoryId=51004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35XXXH00228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4492&cid=60261&categoryId=60261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091766&cid=40942&categoryId=3278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943996&cid=41989&categoryId=41989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A0%95%EC%8B%A0-%EA%B1%B4%EA%B0%95-%EC%9E%A5%EC%95%A0/%EC%A1%B0%ED%98%84%EB%B3%91-%EB%B0%8F-%EB%A7%9D%EC%83%81-%EC%9E%A5%EC%95%A0/%EC%A1%B0%ED%98%84%EB%B3%91#v28484916_ko
https://ko.wikipedia.org/wiki/%ED%99%98%EA%B0%81
http://child.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56
임숙빈 외 6명,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17년, p294~p.297, p299~p300, p305, p317, p308~p309, p319~p320, p325~p.327, p330~p.331
김선아 외(2020),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판), 현문사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1(9판),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