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 사정
1.1. 일반사항
'1.1. 일반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대상자는 75세 남성 내과사례7님이며, 2019년 7월 2일에 외래를 통해 내원하였다. 진단명은 active pulmonary TBC이다. 대상자의 입원경로는 외래이며, 이동방법은 보행과 휠체어를 병행하고 있다. 정보 제공자는 보호자이다. 재정상태는 자료가 없어 확인할 수 없다. 사정일은 2019년 7월 3일이다.
대상자의 현병력을 살펴보면, 2019년 5월 8일 ICH, thalamus, Lt with Rt hemiplegia로 본원에 입원하였고, 이후 재활치료를 받기 위해 2019년 6월 15일에 재활병원으로 전원하였다. 2019년 6월 27일부터 발열이 발생하여 이번에 다시 내원하였다. 주 증상은 기침, 가래, 오한 및 발열이다.
과거력을 보면, 고혈압과 2019년 5월 8일에 진단받은 ICH, thalamus, Lt로 인한 우측 편마비가 있다. 입원 전 복용하던 약물은 고혈압약(아다핀오스모정, 후루덱스, 카나브, 네비레트)이다.
가족력은 특이 사항이 없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볼 때, 75세 남성 내과사례7님이 2019년 7월 2일 외래를 통해 내원하였으며, 활력징후와 주증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1.2. 건강력
내과사례7님의 건강력은 다음과 같다.
내과사례7님은 75세 남성으로 과거력상 고혈압을 진단받은 적이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아다핀오스모정, 후루덱스, 카나브, 네비레트 등의 약물을 복용 중이다. 2019년 5월 8일에는 ICH, thalamus, 좌측에서 우측 반마비가 발생하여 본원에 입원한 경력이 있다. 이후 재활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으나 2019년 6월 27일부터 열이 나타나 다시 본원에 내원하였다.
또한 2012년경 통풍 진단을 받았다고 하나 정확한 진단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 이외에 B형 간염, 폐결핵의 과거력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족력상 특이 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처럼 내과사례7님은 고혈압, 통풍, B형 간염, 폐결핵 등의 다양한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과거력
'과거력'을 살펴보면, 대상자는 2019년 5월 8일 뇌내출혈(ICH, thalamus, Lt)로 인한 우측 편마비로 본원에 입원한 병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2012년경 통풍으로 진단받았으나 확실하지 않다고 하였으며, 2019년 7월 2일 발열로 본원에 재입원하여 활동성 폐결핵으로 진단받았다"".
고혈압 및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없었으나 고혈압 약물(아다핀오스모정, 후루덱스, 카나브, 네비레트)을 복용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타 다른 질병이나 건강문제는 없었다"".
1.4. 가족력
가족력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족력을 살펴보면, 김00 씨의 가족 중에는 당뇨병, 고혈압, 결핵, 간염, 심장질환, 암 등의 병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그의 가족 구성원들은 특별한 만성 질환이나 유전성 질병을 앓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김00 씨의 현재 건강상태와 향후 예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5. 간호 진단
첫 번째 간호 진단은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이다. 이 진단은 대상자가 객담 배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낸다. 대상자는 기침, 객담 과다 배출,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객관적 검사 결과에서도 폐렴 소견이 관찰되어 이를 뒷받침한다.
두 번째 간호 진단은 "병원의 낯선 환경과 호흡곤란과 관련된 불안"이다. 대상자는 익숙하지 않은 병원 환경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호흡곤란으로 인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상자의 활력징후가 불안정해지고, 불안척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간호 진단을 통해 대상자의 주요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기도청결 문제와 불안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간호 계획 및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6. 신체 검진
환자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피부는 따뜻하고 건조한 상태이며, 색깔도 정상적인 것으로 관찰된다. 머리와 두피에는 특이 소견이 없고, 눈동자의 움직임도 정상이다. 양측 동공은 동일한 크기이며 빛에 대한 반응도 정상이다. 청력과 관련된 증상도 없다. 콧물이나 코막힘 등의 증상은 없으며 구강 점막도 정상 소견을 보인다. 경부 임파선이나 종창 소견도 관찰되지 않는다. 흉부 청진 결과, 양측 폐야에서 거친 호흡음과 함께 천명음이 청진되며 호흡 시 보조 근육의 사용이 관찰된다. 심음은 규칙적이며 심잡음은 들리지 않는다. 복부는 편평하고 부드러우며 장음도 정상적으로 들린다. 사지의 관절 운동 범위와 근력은 정상이며 부종도 없다. 신경학적 검진에서 의식 수준은 명료하고 사지 운동 기능도 정상이다."
2. 약물 분류
2.1. 기관지 확장제
기관지 확장제는 기관지의 수축을 늦추어 기도를 확장시켜 호흡을 용이하게 하는 약물이다. 주요 작용기전은 기관지 평활근의 β₂-adrenoceptor를 자극하여 cyclic AMP를 증가시켜 기도의 수축을 억제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기관지 확장제로는 Ventolin (Salbutamol), Serevent (Salmeterol), Spiriva (Tiotropium) 등이 있다.
Ventolin은 단시간 작용하는 β₂-agonist로 천식, COPD 등의 급성 증상 완화에 사용된다. 기관지 평활근의 β₂-수용체를 자극하여 cAMP 증가와 세포내 유리 칼슘 감소를 유도, 기관지 확장 효과를 나타낸다. 주로 흡입제 형태로 사용되며, 과량 투여 시 빈맥, 근육 떨림, 두통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Serevent는 지속성 β₂-agonist로 천식과 COPD의 예방 및 증상 조절에 사용된다. 장기간 사용 시 내성이 발생할 수 있으나, 사용량을 줄이거나 휴약기를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