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급성 기관지염"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문헌고찰
1.2.1. 해부생리
1.2.2. 원인
1.2.3. 임상증상
1.2.4. 치료
1.2.5. 간호
2. 본론
2.1. 약물치료
2.2. 간호과정
2.2.1. 과도한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2.1.1. 간호사정
2.2.1.2. 간호진단
2.2.1.3. 간호목표
2.2.1.4.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2.2.1.5. 간호수행
2.2.1.6. 간호평가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급성기관지염은 기관지에 생긴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어린이나 노인에서 가장 빈발하며 겨울과 환절기에 발생률이 높다. 기관지염의 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에는 심하면 폐렴으로 악화될 수 있으므로 초기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응급실 실습을 하며 급성기관지염으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는 매일 있었고, 대부분이 노인환자였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한 노인과 아동에게 호발하고, 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그들에게 치명적인 합병증을 가져올 수 있는 선행질병이 될 수 있어 이 질병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1.2. 문헌고찰
1.2.1. 해부생리
상부기도는 코, 부비동, 인두, 후두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기도는 기관, 기관지, 세기관지, 폐로 구성되어 있다. 기관은 식도 앞에 있으며, 후두의 윤상연골 하부에서 시작하여 가슴앞쪽에서는 흉골각에서, 뒤쪽에서는 제4흉추에서 좌우 기관지로 갈라진다. 이 지점을 기관지 분기점이라고 한다. 기관은 6~10개의 C모양 연골로 구성되어 있다.
폐는 흉곽 내에서 가장 큰 기관으로, 가볍고 스펀지 모양의 탄력성 있는 원추형 기관이다. 폐 아래에 있는 횡격막은 복강과 흉곽을 분리하며, 늑간근과 함께 중요한 호흡근 역할을 한다. 폐는 폐포와 폐포관, 세기관지, 기관지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 폐는 3엽, 좌측 폐는 2엽으로 나뉜다.
기관지는 좌,우 폐로 나뉘며 우측 기관지는 좌측보다 짧고 굵으며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이물질이 쉽게 들어가고, 기관삽관을 할 때도 우측으로 잘못 들어가기 쉽다. 기관지의 상피세포는 섬모가 있어서 하부기도에서 기관쪽으로 점액을 밀어낸다.
폐포관은 호흡세기관지에서 나오고 포도송이 모양의 관이다. 폐포 바깥쪽에서 많은 모세혈관 망이 접촉하고 있어 가스교환이 쉽게 된다. 건강한 성인의 경우 폐모세혈관으로 둘러싸인 약 3억개의 폐포가 있다. 폐포는 편평세포조직으로 된 고무풍선 모양의 얇은 막으로 가수교환에서 가장 중요하다. 폐포벽의 분비선에서는 폐포의 표면장력을 감소시키는 표면활성제를 생산한다. 표면활성제는 폐포 내 용액의 표면장력을 저하시키는 물질이고, 표면장력은 분자들끼리 서로 당기는 힘으로서 안쪽으로 잡아당기는 힘이다. 그 결과 폐는 표면활성제에 의해 허탈되지 않는다.""
1.2.2. 원인
원인은 주로 바이러스(rhinovirus, adenovirus, influenza A,B)에 의한 감염이며, 그 외 세균(Streptococcus pneumoniae,Hemophilus influenza, Mycoplasma pneumoniae), 효모균, 곰팡이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하부기도를 직접 침입하여 기관지 상피세포의 손상을 일으키며, rhinovirus는 염증매개물을 통한 간접적인 기전을 통해 기침을 유발한다. 또한 흡연, 암모니아, 대기오염 등의 환경적 요인도 급성기관지염의 증상을 악화시키고 기도의 영구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1.2.3. 임상증상
급성 기관지염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기도의 염증으로 인해 혈류가 증가되어 객담 생산이 많아지고, 기침·흉골 하부의 작열감 등이 나타난다. 객담은 초기에는 묽지만 감염이 진행...
참고 자료
황옥남 외, 제 7판 성인간호학 하권(2018), 현문사(서울)
양선희 외, 제 2판 기본간호학1(2017), 현문사(서울)
양선희 외, 제 2판 기본간호학2(2017), 현문사(서울)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2017), NANDA
박은영, 송미령, 류은정, 고영, 오현진, 부선주 외(2017) 간호진단, 중재 빛 결과 가이드
온라인 의약도서관, 약물, https://nedrug.mfds.go.kr/index
서울아산병원, 검사, 약물, http://www.amc.seoul.kr/asan/main.do
서울아산병원. 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 질환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급성 기관지염. 지식백과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2 9판개정 (2021.2). 수문사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상세정보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481~483, 549~550
김세규 외(2009),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질환별 임상간호학 호흡기질환4, 정담
김금자 외(2012),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p127~128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2012),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p119~124
http://www.druginf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