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 중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5가지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 중 자신과 자신의 배우자(혹은 가장 가까운 사람)의 의사소통 유형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에 관련된 가족문제나 관계문제의 사례를 서술해보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2.1. 회유형
2.2. 비난형
2.3. 초이성형
2.4. 산만형
2.5. 일치형
3. 나와 배우자의 의사소통 유형 분석
3.1. 나의 의사소통 유형
3.2. 배우자의 의사소통 유형
4.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이 가족문제나 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4.1. 사례 분석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사티어는 가족구성원간 의사소통 과정을 중시하면서 의사소통 유형에 문제가 있는 가족은 역기능적 가족관계로 고통받을 수 밖에 없다고 보았다. 또한 사티어는 인간의 의사소통 유형을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산만형, 일치형으로 분류하면서 일치형을 제외한 모든 의사소통 유형을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으로 정의한 바 있다. 이를 참고로 본 과제에서는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 중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5가지가 무엇인지 설명하고 이 중 자신과 자신의 배우자(혹은 가장 가까운 사람)의 의사소통 유형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에 관련된 가족문제나 관계문제의 사례를 서술해보겠다.
2. 사티어의 의사소통 유형
2.1. 회유형
회유형은 다른 사람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는 특징이 있다. 즉, 아첨꾼에 속하는 것이 바로 회유형이라는 뜻이며, 회유형에 속한 사람은 언제나 다른 사람의 눈치를 살피면서, 상대방의 기분을 맞춰주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비굴하고 의기소침한 정서를 경험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이들은 타인과의 상호작용 상황은 존중하며 자신의 가치나 진정한 감정은 무시한다. 그들 자신의 힘을 타인에게 넘겨주고 타인의 모든 요구를 거의 수용한다. 그들 자신을 부인하고 타인에게 자신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회유형의 특징은 대부분 사교성이 매우 겸손하며 착한 행동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들은 생존의 위협이나 거절당한 느낌이 있을 때, 자신의 내적 감정 및 생각을 무시하고 타인의 비위에 맞추려고 한다. 따라서 다른 사람의 의견에 동조하고 비굴한 자세를 취한다. 정작 자신 스스로를 잘 돌보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요청하지 못한다.
2.2. 비난형
비난형은 자신이 느끼는 불만이나 좌절을 타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방식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이러한 사람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며, 문제 해결보다는 타인에게 책임을 묻는 데 초점을 맞춘다. 예를 들어, 부모가 자녀의 성적 부진을 자녀의 태도 탓으로 돌리며 비난할 경우, 자녀는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기보다 부모와의 감정적 거리를 느끼게 된다. 비난형은...
참고 자료
가족치료, 저자 제석봉, 출판 정민사, 2014.09.15.
백병옥, 일반계 고등학생의 Stir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2013
김선혜, “버지니아사티어의 경험적가족치료모델을 통한 가족의 의사소통 증진방안연구”, 안양대, 2010
이성희 저, 가족상담 및 치료, 창지사, 2021
가족복지론, 손병덕·황혜원·전미애 저, 학지사,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