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간호CASE"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정신간호학 실습 사례 연구
1.1. 대상자 일반 정보
1.2. 현재 병력
1.3. 정신 상태 검진
1.4. 사회-경제적 기능 사정
1.5. 약물치료
1.6. 퇴원 교육
2. 자살 위험성 관련 사례 연구
2.1. 주관적 자료 수집
2.2. 간호진단 및 목표 설정
2.3. 간호수행 계획 및 수행
2.4. 간호평가
3. 신체화 장애 사례 연구
3.1. 대상자 일반 정보
3.2. 문헌고찰
3.3. 간호사정
3.4. 간호진단, 계획, 수행, 평가
3.5. 결론 및 느낀 점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신간호학 실습 사례 연구
1.1. 대상자 일반 정보
대상자는 64세의 기혼 여성으로, 5남 2녀 중 셋째이며 중졸의 학력을 가지고 있다. 종교는 천주교이며 직업은 없는 상태이다. 입원 경로는 타의 입원(보호자 아들 동의)이며, 입원 횟수는 본원 1회, 타병원 20회로 장기간의 입원 경력을 가지고 있다. 입원 동기는 서울 상경 후 옷 공장에서 일하다가 개인 사업을 시작하면서 스트레스를 받았고, 30세 때 아버지가 원인 없이 사망하여 큰 충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증상이 악화되어 고향인 나주로 돌아가 정신병원에서 진단받은 이후 누나가 있는 서울로 와서 병원을 오가며 입퇴원을 반복하였다고 한다. 현재는 6개월 동안 입원 후 외박 형식으로 퇴원했다가 재입원을 반복하고 있다.
1.2. 현재 병력
현재 병력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64세의 남성으로 약 25년 전부터 신체화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주된 증상으로는 2~3일 간격으로 온몸과 눈이 타는 듯한 느낌을 호소하며, 이러한 증상이 심해졌다 약해졌다를 반복한다고 하였다"" 입원 당시 대상자는 ""쓰러질 것 같다", "망막이 터질 것 같다", "일어서지를 못 하겠다", "눈이 침침하다""고 지속적으로 호소하였다"" 이러한 증상은 약 25년 전부터 지속되어온 것으로, 대상자는 1990년부터 요양시설에 입소하여 20년간 입원 치료를 받아왔다"" 2012년 3월에 퇴원 후에는 논산 백레병원 정신과 외래와 이천 소망병원에서 18개월간 입원 치료를 받았다고 한다""
1.3. 정신 상태 검진
대상자의 정신 상태 검진 결과, 외모, 행동, 태도, 언어 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상태가 깨끗하고 자가간호가 잘 되는 것으로 보이며, 입원에 협조적이었고 의료진과 대화할 때에도 잘 이야기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대화 중 지리멸렬한 망상("제가 예식장을 4개를 했어요. 저기 밑에 있는 해바라기 마트도 제꺼예요. 정육점 24개가 있어요.")을 지속적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행동 면에서는 간호사의 권유로 복도를 반복해서 걸었고, 대부분 침상에서 자신의 노트를 펴고 지리멸렬하게 내용을 반복적으로 적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언어는 평소 말씀할 때 말의 속도는 적당하나 소리가 매우 작아 귀 기울이며 들어야 하며, 망상에 관한 주제에 대한 이야기 시 다소 말의 속도가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식 수준은 Alert하며, 일반적인 내용의 질문에 적절히 답하는 등 사고형태에서도 비현실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지만 정상적인 모습을 보였다. 사고내용에서는 과대망상이 관찰되었고, 감정은 표정의 변화가 거의 없으며 감정의 둔화가 나타났다. 기억력, 추상적 사고, 판단력, 지남력 등은 문제가 없었으나, 병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대상자는 자가간호가 잘 되며 기억력, 판단력, 지남력에는 문제가 없지만 사고내용 장애로 인한 과대망상이 대화의 전체를 차지하고 있으며, 자신의 병식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4. 사회-경제적 기능 사정
대상자의 사회-경제적 기능 사정 결과, 과거 개인사업을 하였지만 현재는 무직 상태이며 형제들의 경제적 지원을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상자는 병원비를 현재 형제들이 부담하고 있으며, 경제적 상태는 중간 정도로 파악된다"" 대상자는 환각과 관련된 행동은 사회적으로 적응하기 어려운 상태는 아니나 먼저 대화를 걸거나 대화 시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고 항상 혼자 지내며 환우 분들과 대화를 나누는 모습을 보기 어려워 사회적 고립을 보이고 있다""
1.5. 약물치료
정신질환 환자의 약물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재발을 방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본 사례의 대상자는 오랜 기간 동안 조현병을 앓고 있어 꾸준한 약물 복용이 필수적이다.
대상자는 정신병 증상 치료를 위해 risperidone을 처방받았다. risperidone은 조현병과 연관된 양성증상과 음성증상, 그리고 우울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인 약물이다. 용법은 아침 2mg, 저녁 4mg으로 하루 6mg을 복용하고 있다. 대상자는 risperidone 복용 후 부작용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상자는 파킨슨증상 관리를 위해 benztropine을 처방받았다. benztropine은 특발성 파킨슨증후군이나 항정신병약 투여로 인한 파킨슨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약물이다. 용법은 아침 1mg, 저녁 1mg으로 하루 2mg을 복용하고 있으며, 대상자에게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
참고 자료
김명희 외, 정신건강간호학, 수문사, 2016
김명희, 최남영 공저,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Ⅱ, 은학사, 2017
드러그인포
구로구 정신건강증진센터
https://blog.naver.com/schuhnp/100190938062, beck의 자살생각 척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211572&cid=51000&categoryId=51000, 미르타자핀 30mg
https://blog.naver.com/beanalogue/220717815139, beck의 우울척도
제 7판 정신간호총론, 임숙빈 김선아 외 공저, 2015년 2월 23일 발행, 수문사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성미혜 홍영혜 정향미 외 1명 저, 2008년 2월 29일 발행,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