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대장암의 정의
대장암은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을 말한다. 발생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면 결장암, 직장에 생기면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혹은 결장직장암이라고 한다. 대장의 대부분이 결장이기 때문에 맥락에 따라 대장이라는 말로 결장만을 뜻할 때도 간혹 있다."
1.2. 대장암의 발생 메커니즘
대장암의 발생 메커니즘은 복잡하지만 일반적으로 정상 대장 점막 세포가 점진적으로 이상 변화를 거쳐 암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정상 대장 점막 세포가 선종성 용종(폴립)으로 변화하는데 이 과정에는 약 7~10년이 소요된다"". 이렇게 형성된 선종성 용종은 다시 3~8년에 걸쳐 암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주요 역할을 하는 것은 유전자 변이이다"". 정상 세포에서 발생한 유전자 변이가 세포분열과 증식을 촉진하여 선종성 용종으로 발전하게 만든다"". 이후 추가적인 유전자 변이가 일어나면 암 세포로 발전하게 된다"".
대표적인 유전자 변이로는 APC, KRAS, p53 유전자의 변이가 있다"". APC 유전자 변이는 용종 발생 초기에, KRAS 유전자 변이는 선종이 암으로 진행하는 단계에, p53 유전자 변이는 암으로 진행하는 마지막 단계에 관여한다"".
이 밖에도 다양한 유전자 및 신호전달 체계의 변화가 대장암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WNT, EGFR, TGF-β 신호전달 체계의 이상이 대장암 발생과 연관된다"".
이처럼 대장암은 여러 단계의 유전자 변이와 세포 신호전달 체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2. 위험요인
2.1. 유전적 요인
대장암의 유전적 요인은 크게 가족성 용종증과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으로 나뉜다. 가족성 용종증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20~30대에 잘 나타나며, 95%의 환자가 45세 이전에 발병한다. 이 질환은 대장에 수백 개에서 수천 개의 선종이 발생하여 설사, 복통, 직장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의 경우, 대장암을 포함한 각종 암에 걸릴 위험성이 많은 질환이다. 이 질환은 젊은 나이에 발병하고 가족성 용종증보다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린치라는 사람의 이름을 따서 린치 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대장암의 유전적 요인은 가족성 용종증과 유전성 비용종증 대장암으로 나뉘며, 이들은 젊은 나이에 발병하고 높은 발병률을 보인다."
2.2. 환경적 요인
2.2.1. 식이 패턴
식이 패턴은 대장암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동물성 지방의 과도한 섭취, 섬유질 섭취 부족, 칼슘 및 비타민 D 부족, 고온에서의 조리 등이 대장암 발생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먼저 동물성 지방의 과도한 섭취가 대장암 발생을 증가시킨다. 육류, 특히 붉은 고기를 많이 섭취하면 간에서 콜레스테롤과 담즙산의 생성과 분비가 늘어나게 된다. 이렇게 증가된 담즙산은 대장 내에서 세균에 의해 분해되어 발암물질을 생성하고 대장 점막 세포를 손상시켜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또한 섬유질이 풍부한 과일, 채소 섭취가 부족한 경우에도 대장암 발생이 증가한다. 섬유질은 음식물이 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단축시켜 발암물질과 장 점막의 접촉시간을 줄이고 장 내 발암물질을 희석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칼슘과 비타민 D의 부족도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칼슘은 이온화된 지방산이나 담즙산 등과 결합하여 용해되지 않는 칼슘염을 형성하여 대장 점막의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비타민 D 농도가 충분하면 대장암 사망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지막으로 육류를 굽거나 튀기는 조리 방법 또한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 높은 온도에서 육류가 조리될 때 발생하는 발암물질이 대장암 발생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대장암 예방을 위해서는 동물성 지방 섭취를 줄이고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며, 칼슘과 비타민 D를 적절히 섭취하고 육류 조리 시 고온 가열을 피하는 등 건강한 식이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2.2.2. 생활 습관
운동 부족은 대장암의 주요 위험요인 중 하나이다. 신체활동이나 운동은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하게 만들어 대변이 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대변 내 발암물질과 장 점막이 접촉할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