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요곡선 및 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 변수들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 요인
1.1. 소비자 측면의 영향 요인
1.1.1. 소비자(구입자)의 수
1.1.2. 소비자의 소득
1.1.3. 소비자의 기대
1.2. 생산자 측면의 영향 요인
1.2.1. 생산 요소의 가격
1.2.2. 생산 기술의 변화
1.2.3. 판매자의 수
1.2.4. 판매자의 기대
1.3. 기타 요인
1.3.1. 관련 재화의 가격
1.3.2. 소비자의 취향(기호)
2. 시장 균형에 대한 이해
2.1.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의 관계에 따른 균형
2.2.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의 특성에 따른 균형
3. 정부의 역할과 가격 통제
3.1. 가격 상한제와 가격 하한제
3.2. 공적 마스크 가격 설정에 대한 평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 요인
1.1. 소비자 측면의 영향 요인
1.1.1. 소비자(구입자)의 수
소비자(구입자)의 수는 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소비자의 수가 늘어나면 수요량이 증가하여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 소비자의 수가 줄어들면 수요량이 감소하여 수요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포켓몬 빵의 공급이 일정한데 구매하려는 소비자가 많아질 경우 사려는 심리가 강해져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이는 수요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소비자의 수가 줄어들면 수요량이 감소하여 수요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소비자의 수는 수요곡선의 위치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이다.
1.1.2. 소비자의 소득
일반적으로 소득이 늘면 수요가 증가한다. 늘어난 소득으로 인해 재화를 더 많이 살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수요량의 증가를 의미한다. 그러나, 재화에 따라 이러한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소득에 따라 수요가 늘어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일 것이다. 이러한 제품을 정상재라고 한다. 이 경우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량이 증가하면 수요곡선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반면 열등재가 있다. 열등재는 소득이 늘수록 소비량이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낸다. 소득이 적을 때는 어쩔 수 없이 썼을지 몰라도 소득이 늘면서 더 나은 제품을 소비하려 하기 때문일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소득이 늘어나면 대중교통 사용이 줄이고 자가용이나 택시를 이용하는 비중이 늘게 된다. 이 경우 대중교통을 열등재라 할 수 있다.
1.1.3. 소비자의 기대
소비자의 기대는 제품의 미래 가격 변화에 대한 예상에 따라 현재의 소비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소비자가 제품의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기대하면 현재의 소비를 미루게 되는데, 이는 수요 곡선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요인이 된다. 반대로 소비자가 제품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기대하면 구매를 서두르게 되어 수요 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소비자들이 현재 아파트 가격이 향후 하락할 것이라고 기대한다면 아파트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줄어들어 수요 곡선이 좌측으로 이동할 것이다. 이에 따라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이 모두 낮아질 것이다. 반면 소비자들이 유가가 오를 것이라고 예상하게 되면 연료 구매를 서두르게 되어 수요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이 모두 상승할 것이다.
이처럼 소비자의 기대가 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기업은 소비자의 기대심리를 유발하여 수요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정부도 물가 안정을 위해 소비자의 기대를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1.2. 생산자 측면의 영향 요인
1.2.1. 생산 요소의 가격
생산 요소의 가격은 공급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생산 요소에는 노동, 자본, 토지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투입 요소의 가격이 변화하면 공급 곡선이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노동자의 임금이 상승하면 기업의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공급 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동일한 시장가격에서 공급량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반대로 노동자의 임금이 하락하면 생산비용이 줄어들어 공급 곡선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공급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원자재...
참고 자료
이충기, 이남형(2019), 생활속의 경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최남진 저(2018), 한국인의 경제학 기초 (내 생애 최초 경제 기본서), 박영사.
김경환, 손재영 저(2015), 부동산 경제학, 건국대학교출판부.
이준구, 이창용 저(2017), 경제학 들어가기, 문우사.
KDI 한국개발연구원 www.kd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