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SBAR 의사소통
1.1. SBAR의 정의와 목적
SBAR는 2006년 국제의료기관 평가위원회(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가 의료인들의 의사소통을 향상하기 위해 유일하게 권장한 표준화된 의사소통 방법이다. SBAR는 임상 상황에서 대상자가 처해있는 현재의 중요한 문제와 관련된 상황(Situation), 배경(Background), 평가(Assessment), 제안(Recommendation)을 바탕으로 최소한의 환자정보를 쉽고 간결하면서도 충분히 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의사소통방법으로, 2002년 이후 많은 의료기관들이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SBAR를 공식적인 의사소통방법으로 채택하고 있다."
1.2. SBAR의 구성요소
1.2.1. Situation
Situation은 알려야 할 환자의 상황이나 문제 개요를 의미한다. 즉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간단하게 설명하는 부분이다. 의료현장에서 Situation을 명확히 전달하는 것은 중요한데, 이를 통해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Situation에는 환자의 이름, 등록번호 등 환자 정보와 현재 발생한 문제의 내용이 포함된다. 문제의 시작 시기와 심각도 등도 함께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Situation은 상황에 대한 간단하면서도 핵심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의료진 간 원활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이다.
1.2.2. Background
"SBAR의 구성요소 중 'Background'는 상황 또는 문제의 배경 정보를 의미한다. Background에는 환자의 입원날짜와 진단명, 현재 문제와 관련된 과거력, 관련 검사 결과, 현재 치료 내역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해당 상황이나 문제가 어떤 배경에서 발생하였는지를 의료진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표준화된 의사소통 방법인 SBAR에서 Background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판단을 내리기 위한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2.3. Assessment
SBAR 의 구성요소 중 'Assessment'는 상황 또는 문제에 대해 간호사가 평가한 정보를 의미한다.
Assessment 단계에서는 환자의 신체 이상 증상, 객관적 증상, 활력징후 등을 자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가슴통증은 8점이고, 쥐어짜는 듯한 통증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혈압 140/90mmHg, 맥박 90회/분입니다."와 같이 구체적인 상황을 포함한다. 또한 간호사가 관찰한 문제의 성격(심장, 감염, 신경계, 호흡기 등)과 환자 상태(안정적, 불안정, 악화, 위중 등)에 대한 평가도 포함된다. 이를 통해 의사가 환자 상황을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Assessment 단계는 상황과 배경 정보를 토대로 간호사가 관찰한 환자의 실제 상태와 변화를 의사에게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통해 의사는 환자의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진단 및 치료법을 신속히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Assessment 단계에서 환자의 중요한 징후와 증상을 빠짐없이 보고해야 한다.
1.2.4. Recommendation
Recommendation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