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장수 제품 '서울 장수막걸리'
1.1. 제품 소개
장수 제품 '서울 장수막걸리'의 '제품 소개'는 다음과 같다.
장수 생 막걸리는 효모균이 그대로 살아 있어 자연 발효에 의한 탄산과 어울려 전통탁주에서 느껴지는 감칠맛과 청량감이 뛰어나고 영양이 풍부한 전통주이다. 백미를 사용하여 장기저온숙성생산 하므로 특유의 부드러운 맛과 보전성이 탁원하고 트림과 숙취도 거의 없는 고품질의 막걸리이다. 맛, 영양, 편의성 등 모든 면에서 우수한 전통주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2. 상황 분석
1.2.1. SWOT 분석
'서울 장수막걸리'의 SWOT 분석은 다음과 같다.
강점(Strengths)으로는 타사에 비해 소비자의 높은 인지도, 생 막걸리 특유의 달고 깊고 톡 쏘는 시원한 맛, 국가 인증 명품주 마크 획득, 8개국에 대한 수출을 통한 해외 유통시장의 확보 등이 있다.
약점(Weaknesses)으로는 저가 이미지, 타사의 프리미엄 시장 진입을 타깃으로 한 막걸리 제품에 비해 낮은 제품 디자인, 라인업 부재로 인한 낮은 마진율, 협동조합 구조로 인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부족, 규모의 경제 실현을 위한 전문 인력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다.
기회요인(Opportunities)에는 해외시장(일본)에서의 막걸리 인지도 향상으로 인한 한국 전통주(프리미엄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 인식, 국내 소비자들의 막걸리 이미지 향상으로 인한 높은 판매 가능성,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한 막걸리의 웰빙 재료 이미지, 다양한 정통 재료 사용에 따른 타 주류 대비 낮은 거부감, 여성 소비자들의 인지도 개선(건강 이용), 많은 경쟁사들의 시장 진입을 통한 시장규모 증대 등을 들 수 있다.
위협요인(Threats)으로는 막걸리의 뒷맛이 좋지 않다는 소비자들의 선입견, 소주, 맥주에 비해 높은 생산비(낮은 마진율), 막걸리 제조 업체 출현으로 인한 시장 경쟁 심화, 옛날 술이라는 낡은 이미지 팽배, 막걸리 회사 설립 규제 완화에 따른 경쟁 심화 등이 지적되고 있다.
1.2.2. 시장 점유율
막걸리의 시장점유율 2008년 통계에 따르면 한국 술 시장은 출고가 기준으로 8조6224억원 규모이다. 그중에서 맥주가 3조5680억원으로 42.7%, 희석식소주가 2조8803억원으로 33.4%를 차지했지만, 탁주인 막걸리는 고작 1471억원으로 1.7%에 불과했다. 하지만 막걸리 매출은 2005년 1330억원, 2007년 1427억원을 기록하며 점차 증가하였고, 2009년엔 2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되었다.
'장수막걸리'의 시장점유율은 전국 막걸리 시장의 40% 정도이다. 특히 서울 시장의 80%, 수도권 시장의 70%를 점유하며 성과를 내고 있다. 장수막걸리는 2008년 663억원 매출, 2009년에는 1135억원 매출을 기록하였고, 2010년에는 1500억원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보였다.
1.3. 마케팅 전략
1.3.1. 해외 시장 진출
서울탁주제조협회의 '장수막걸리'가 올해 일본에 이어 내년부터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