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궁경부암의 정의와 특징
1.1. 자궁경부암의 정의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이다. 자궁경부암은 자궁경부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하며, 주로 편평상피세포암과 선암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된다. 편평상피세포암은 자궁경부암의 90-95%를 차지하며, 선암은 5-10%를 차지한다. 최근에는 선암의 발생 빈도가 편평세포암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예후 또한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경부암은 전암 단계에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의 진행이 7-10년 정도로 길어 조기 진단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1.2. 자궁경부암의 분류
자궁경부암은 크게 편평상피세포암, 선암, 선편평상피세포암, 소세포암 등의 기타 암으로 분류된다.
편평상피세포암은 자궁경부암의 90~95%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유형이다. 이 중 침윤성 편평상피세포암은 침윤암 중 가장 흔한 형태로, 각화성 대세포형, 비각화성 대세포형, 소세포형(미분화 편평상피세포암과 소세포퇴화암) 등으로 세분화된다.
선암은 자궁경부암의 5~10%를 차지하며, 최근 그 발생빈도가 편평세포암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선암은 편평세포암에 비해 정확한 진단이 어려워 자궁경부 원추형 생검이 요구된다. 상피내 선암은 침윤성 선암의 전구자로 생각되며, 상피내 또는 침윤성 편평세포암은 자궁경부 선암의 30-50% 발생에 관여한다.
선편평상피세포암은 악성선종의 일종으로 가장 잘 분화된 형태의 암이다. 융모선유두상 선종은 주로 경구피임제를 사용하는 여성이나 임신여성 등 젊은 여성에서 발생하며, 종양이 매끄럽고 경계가 분명하며 잘 분화되어 있다. 이 종양은 경부 원추형 생검 후에는 재발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소세포암은 자궁경부암의 5% 미만을 차지하나 매우 공격적이고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3. 자궁경부암의 호발부위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주로 발생하는데, 특히 편평상피세포와 원주상피세포가 만나는 부위인 편평원주상피접합부에서 호발한다. 이 부위는 세포 분열이 활발한 곳으로, 자궁경부암의 발생 위험성이 높다. 편평상피암은 자궁경부암의 90~95%를 차지하며, 자궁경부의 외피에서 주로 발견되므로 전암성 병변을 쉽게 발견하고 치료할 수 있다. 반면 선암은 자궁내경부관에 위치하여 정기적인 세포 검사 도중 항상 성공적으로 채취되지 않아 잘못 분류되거나 진행되어 발견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볼 수 있다..
2. 자궁경부암의 원인 및 위험요인
2.1.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은 자궁경부암의 가장 유력한 원인이다. 약 90% 이상의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HPV)가 발견된다는 연구결과에 따르면, HPV 감염이 자궁경부암 발생의 선행 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 HPV는 대부분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두 가지 유형(16형, 18형)이 자궁경부암 발생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고위험군 HPV 유형은 세포의 유전자 변형을 일으켜 암 전구병변을 유발하고, 궁극적으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HPV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자궁경부암 예방에 매우 중요하며, HPV 백신 접종이나 정기적인 자궁경부 세포검사를 통한 조기 발견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자궁경부암의 발병기전과 고위험 HPV의 역할을 고려할 때, HPV 감염 예방과 관리는 자궁경부암 예방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2.2. 성매개 질환
자궁경부암의 주요 위험요인 중 하나는 성매개 질환이다. 매독, 임질, 트리코모나스 감염과 하부생식기의 클라미디아 감염 혹은 단순포진바이러스 감염이 있는 여성에게 자궁경부암 발병률이 더 높다"". 특히 매독과 임질 등의 성매개 질환은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자궁경부암 발생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성관계 시 음경의 위생 상태가 나쁘거나 포경수술을 하지 않은 남성과 성교할 경우에도 자궁경부암 위험이 증가한다"". 이는 음경의 부위에 잔존하는 치즈 같은 물질이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3. 결혼과 성교 양상
자궁경부암의 발생에는 결혼과 성교 양상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첫 성교 연령이 낮을수록, 성파트너가 많을수록 자궁경부암의 발병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여성의 결혼 상태에 따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