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의 신앙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세계종교의 이해
1.1. 이슬람교의 세계관과 역사
1.1.1. 이슬람교의 신념과 세계관
1.1.2. 이슬람교 역사
1.2. 자이나교, 시크교, 바하이 신앙의 세계관과 역사
1.2.1. 자이나교
1.2.2. 시크교
1.2.3. 바하이 신앙
1.3. 일본 종교의 이해
1.3.1. 일본 신도
1.3.2. 불교, 창가학회
1.3.3. 천리교
1.4. 신종교의 이해
1.4.1. 바하이 신앙, 대순진리회
1.4.2. 기적 수업, 하레크리슈나 운동
1.4.3. 라엘리안 무브먼트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세계종교의 이해
1.1. 이슬람교의 세계관과 역사
1.1.1. 이슬람교의 신념과 세계관
이슬람교의 신념과 세계관은 다음과 같다. 이슬람교는 전 세계적으로 기독교 다음으로 신자 수가 많은 종교로, 전체 종교인들의 20%가 이슬람교 신자라고 한다. 이슬람교는 무함마드에 의해 창시되었으며, 무함마드는 알라신을 섬긴다고 믿었다. 이슬람교에서는 죄를 지은 자들은 심판의 날에 죄에 따라 처벌받으며, 선한 일을 한 사람들은 천국으로 가게 된다고 믿는다. 이는 기독교의 관념과도 유사하다.
이슬람교에서는 "샤하다", "살라트", "사움", "자카트", "순례" 등 5개의 기둥을 제시한다. 샤하다는 신앙고백으로, 알라신을 믿고 무함마드가 그의 사자라는 것을 외치는 것을 의미한다. 살라트는 하루 다섯 번 기도하거나 예배를 드리는 것을 뜻하며, 사움은 라마단 달 한 달 동안 낮 시간 동안 금식하는 것을 말한다. 자카트는 소득의 40분의 1을 의무적으로 내는 것이며, 순례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를 순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슬람교에서는 결혼관에 있어서 일부일처제와 일부다처제를 허용하고 있다.
이처럼 이슬람교는 엄격한 신념과 실천을 요구하는 종교이지만, 종종 일부 극단주의적 집단에 의해 이슬람교가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종교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는 편견에 불과하며, 이슬람교의 본질은 평화와 관용, 신의 섭리에 순응하는 것이다.
1.1.2. 이슬람교 역사
한편, 이슬람교는 무함마드에 의해 창시되는데, 이는 어릴 때, 부모를 여의고 살아가면서 결혼도 하고 자녀도 6명이나 둔다. 그러다, 무역하면서 세상의 부조리함을 절감하며 어느 날, 깨달음을 얻어 동굴 속에서 천사 가브리엘로부터 계시를 받는다. 그래서 경전을 쓰게 되는데 이게 꾸란이다. 이후, 무함마드는 이슬람교를 이루어 교세를 확장해 나가는데, 죽은 이후에도 시아파, 수니파로 나뉘어 교세는 지속된다.
1.2. 자이나교, 시크교, 바하이 신앙의 세계관과 역사
1.2.1. 자이나교
자이나교는 기원전 30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서 깊은 인도 종교이다. 자나교라고도 불리는 자이나교는 불교와 마찬가지로 비정통(非正統) 브라만교에서 발생한 출가주의(出家主義) 종교이다. 자이나교의 교조는 마하비라(Mahavira)로, 그는 별명 '지나(Jina: 승자)'라 불리는데, 이로부터 자이나교라는 명칭이 생겨났다.
자이나교 신앙의 세계관은 이원론적 체계를 특징으로 한다. 세계를 생명체와 비생명체의 두 범주로 구분하는데, 생명에 해당하는 지바와 비생명적 실체인 아지바로 이루어진다고 본다. 그리고 외적 대상의 영향으로 생명체 내에 업(業)이라는 물질이 개입되어 생명을 속박하게 된다고 믿는다. 따라서 자이나교에서는 참회와 고행을 통해 업을 제거하고 해탈에 이르는 것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삼는다.
자이나교의 실천론적 핵심 덕목은 불살생(不殺生, ahimsa)이다. 생명체에 대한 절대적인 존중과 보호를 강조하며, 이를 위해 엄격한 금욕과 채식주의를 실천한다. 또한 진실성, 비소유, 순...
참고 자료
김환영, 2017, 정치학 박사종교 이야기 불교의 ‘쌍둥이 종교’
권경임 외(2003), 시민사회와 종교사회복지, 학지사.
김미숙, 2003. “한국 종교계의 사회복지 역할과 활성화 방안”, 한국종교사회복지포럼.
박성호, 2005, 한국의 종교와 사회복지, 제이엔씨.
이선우, 2002. 민간부분의 사회복지와 종교기관, 보건사회연구지.
이태수, 2004. 한국사회복지의 동향과 종교사회복지의 방향, 종교사회복지의 동향강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