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응급 키트(Emergency Cart)
1.1. 응급 키트의 정의와 구성
응급 키트(Emergency Cart)는 갑작스러운 응급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을 위해 필요한 의료기구와 약물을 보관하고 있는 병원 내 장비이다.
응급 키트는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처치를 가능하게 하며, 각 병원 및 병동의 특성에 따라 그 구성이 다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응급 키트는 상단에 제세동기가 비치되어 있고, 그 아래에는 여러 개의 서랍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랍에는 응급 약물, 기관삽관 장비, 수액 및 투약 관련 물품, 진단 및 처치 물품 등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또한 응급 키트 본체에는 바퀴가 달려있어 응급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응급 키트의 구성은 병원마다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모든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필수적인 물품들이 구비되어 있다. 응급 키트 내부의 물품들은 매일 점검되고 관리되어, 언제든 사용할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 응급 키트는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서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1.2. 응급 키트의 구조
응급 키트는 응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과 기구들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카트이다.
응급 키트의 구조는 크게 서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서랍마다 용도에 맞는 물품들이 보관되어 있다. 가장 위쪽의 서랍에는 응급 약물이 보관되어 있고, 그 아래의 서랍들에는 채혈, 투약, 수액 주입, 의식 사정, 응급 처치 등에 필요한 물품들이 보관되어 있다.
두 번째 서랍에는 크기별 주사기와 정맥 catheters, ABGA 주사기, 3-way 라인, 수액세트, 다양한 검체 용기, EKG 전극 등이 보관되어 있다. 세 번째 서랍에는 기관내삽관에 필요한 튜브, 후두경, 멸균 장갑 등이 보관되어 있다. 네 번째 서랍은 가장 높이가 높은 서랍으로 BVM, 산소 마스크, 흡인 튜브 등 산소 공급 장치가 보관되어 있다.
응급 키트의 옆면과 뒷면에는 생리식염수, 5% 포도당 수액 등 자주 사용되는 수액과 산소 탱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이와 같이 응급 키트는 응급 상황에서 필요한 물품들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1.3. 응급 키트 내 약물
1.3.1. 교감신경작용제
응급 키트 내 교감신경작용제는 응급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감신경작용제는 주로 혈관수축제로 작용하여 심근수축력과 심박동수를 증가시키고, 말초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이를 통해 쇼크나 저혈압과 같은 응급상황에서 심장기능과 순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대표적인 교감신경작용제로는 에피네프린(epinephr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도파민(dopamine), 도부타민(dobutamine) 등이 있다. 이들은 각각 용도와 작용기전, 부작용 등이 상이하다.
에피네프린은 심폐소생술 중 주요 약물로 사용되며, 관상동맥관류압과 뇌관류압을 증가시켜 생존율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보통 3-5분 간격으로 1mg씩 정맥주사하며, 경우에 따라 기관내 주사도 가능하다. 다만 중탄산나트륨과 동시 투여하면 에피네프린이 불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노르에피네프린은 저혈압이나 쇼크 상황에서 혈압을 상승시키는데 사용된다. 보통 5% 포도당이나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0.5-1mL/분의 속도로 점적 정맥주사한다. 부작용으로 고혈압, 부정맥, 말초 혈관 수축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도파민은 심근수축력 및 심박동수를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높이고, 신장 및 내장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상승시킨다. 저용량에서는 신장혈관 확장작용이, 고용량에서는 혈관수축작용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보통 2-5μg/kg/min으로 시작하여 최대 20μg/kg/min까지 투여할 수 있다.
도부타민은 심근의 베타1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심근수축력과 심박동수를 증가시켜 심박출량을 높인다. 심장질환이나 수술 후 저심박출량 상태에서 단기 치료에 쓰인다. 체중당 2.5-10μg/min으로 점적 정맥주사한다. 고용량 투여 시 부작용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