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아주 작은 습관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1.1. 습관의 복리 작용
습관의 복리 작용이란 매일 1퍼센트씩 조금씩 발전해 나가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매우 중요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작은 변화가 쌓여서 큰 결과로 이어지는 것이다.
저자는 "매일매일 1퍼센트씩 나아가는 것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라고 말한다. 수학적으로 계산해보면, 1년 동안 매일 1퍼센트씩 개선되면 그 결과는 처음보다 37배 더 좋아지게 된다. 반대로 1년 동안 매일 1퍼센트씩 퇴보하면 거의 제로 수준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처럼 작은 차이가 시간이 흐르면 엄청난 차이로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를 "낙담의 골짜기를 견뎌라"라고 표현한다. 처음에는 변화가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좌절하기 쉽지만, 꾸준히 1퍼센트씩 개선해나가다 보면 언젠가 커다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작은 행동과 습관의 변화가 시간이 지나면서 복리로 작용하여 놀라운 성과로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습관의 복리 작용은 일상생활 속에서 작은 진전을 지속적으로 쌓아가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당장은 미미해 보이는 변화일지라도 그것이 장기적으로 쌓여서 큰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작은 노력의 힘을 믿고 꾸준히 실천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1.2. 목표보다는 시스템
목표보다는 시스템이 중요하다는 점은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고 있는 부분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에 초점을 맞추곤 한다. 그러나 저자는 목표보다는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시스템이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목표는 우리가 얻어내고자 하는 결과이며, 시스템은 그 결과로 이끄는 과정이다. 성공한 사람과 실패한 사람의 차이는 목표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작은 개선들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구축했는지 여부이다. 목표 달성은 일시적인 변화일 뿐이며, 근본적인 원인을 다루지 않고 증상만 치유하는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따라서 목표를 높이기보다는 시스템의 수준을 올리는 것이 더 중요하다. 정기적인 실행과 일상적인 행동이 강력한 힘의 근원이 된다. 목표를 크게 세우기보다는 시스템을 견고히 구축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 궁극적으로 과정에 전념하는 것이 발전을 결정하며, 결과보다는 과정을 좋아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핵심이다.
1.3. 결과가 아닌 과정을 좋아하기
결과가 아닌 과정을 좋아하기"란 목표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그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과정 자체를 즐기는 태도를 의미한다. 저자는 결과에 얽매여 있으면 행복을 제한하게 된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결과를 얻었다고 해서 반드시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과정을 즐기는 사람은 언제 어디에서나 만족할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에 따르면, 결과에 집착하는 것과 과정을 즐기는 것은 서로 다른 뇌 활성화 패턴을 보인다고 한다. 결과에 집착하는 사람들의 경우 보상 중추인 복내측전전두엽이 활성화되지만, 과정을 즐기는 사람들의 경우 쾌락 중추인 내측전전두엽이 활성화된다. 즉, 목표 달성보다는 그 과정에서 오는 만족감이 더 크다는 것이다.
또한 저자는 목표와 장기적 발전은 다르다고 강조한다. 과정(시스템)에 전념하는 것이 발전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건강한 체중을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보다는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이라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다. 왜냐하면 목표는 일시적인 변화일 뿐이지만, 시스템은 지속적인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과보다는 과정을 좋아하는 태도를 갖는 것이 궁극적으로 성공과 행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핵심 주장이다.
1.4. 행동 변화의 3단계: 결과, 과정, 정체성
행동 변화의 3단계: 결과, 과정, 정체성이다.
결과는 우리가 얻어내고자 하는 것으로, 목표를 말한다. 이는 일시적인 변화이며 임시방편에 불과하다. 목표는 행복을 제한하고 제약할 수 있으므로 결과보다는 과정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정은 우리가 해나가는 것으로, 시스템을 의미한다. 성공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의 차이는 지속적으로 작은 개선들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시행한 것이다. 목표 달성 보다는 과정에 전념하는 것이 장기적인 발전을 결정한다.
정체성은 우리가 믿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무엇이 되고 싶어 그에 관련된 습관을 시작하지만, 그 습관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자기 정체성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자신이 어떤 사람이라고 믿는지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정체성 중심의 습관을 세워야 한다. 자신의 자아상과 믿음들을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확장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1.5. 정체성 중심의 습관 세우기
우리는 무언가가 되고 싶어 그와 관련된 습관을 시작한다. 하지만 그 습관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