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족신화에 대한 이해
1.1. 가족신화의 정의
가족신화(family myth)는 모든 가족 구성원들이 의심 없이 공유하는 무조건적인 믿음과 신념, 기대를 말한다"" 가족 내의 공통된 욕구와 삶의 양식, 경험의 공유에 대한 신념이다. 가족은 공통된 믿음 속에서 단합된 모습을 보이며, 서로 자발적으로 협력하고 사랑을 주고받으며, 가족 내 이타적 사랑은 반드시 있으며, 가족 내 의사결정이 조화롭고 민주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라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가족관계는 사회관계와 다르게 무엇보다 이타적이고 협동적이라고 믿으며, 가족은 냉정한 경쟁사회로부터 벗어난 안식처와 같은 경쟁과 갈등이 존재하지 않는 장소라고 기대한다""
1.2. 가족신화의 특징
1.2.1. 화합의 가족 신화
화합의 가족 신화는 자신에 대한 목가적인 이미지를 구축한 가족이 해당된다. 이들 가족은 모든 구성원 사이에 균형과 단결, 그리고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자신들에게 확신시키려고 일련의 행동을 발전시킨다. 또한 이러한 신화는 가족 안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이게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유형의 가족은 다른 사람들 앞에서 이런 이미지를 만들어 내며, 다른 사람의 어떤 조사 및 판단을 막기 위해 은폐하고 완벽한 조화를 보이고 싶은 죄책감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러한 가정들이 보통 우울증 또는 지루함을 경험하고 강력하게 해결되지 않은 적대감을 경험하게 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2.2. 사과와 배상에 대한 가족 신화
사과와 배상에 대한 가족 신화는 좀 더 깊은 문제들을 수반하므로 더욱 더 복잡하다. 이 경우 불행과 가족 문제에 대한 책임은 가족 중 1명 이상에게 있다. 이 사람들은 살아있을 수도 있고 죽은 사람일 수도 있다. 때로 가족이 아니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누군가가 비난을 받을 수 있다. 이것의 가장 명백한 예는 바로'희생양'이다. 이 사람은 가족 안에서 존재하는 문제들에 대해서 다른 사람들을 탓하는 사람이다. 그렇게 되면 이것은 가족의 다른 구성원들에게 책임감을 덜어주게 되고, 투영은 이러한 신화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이룬다. 이 경우 집단 투영이 된다.
1.2.3. 구원의 신화
구원의 신화는 가족 구성원들이 "신화적인 구세주"의 형상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다른 모든 사람이 특정한 문제 또는 일반적인 문제에 직면하면서부터 구속적인 개입을 기대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른 가족 구성원들은 이 구세주가 가족이 요구하는 것을 제공 또는 작동하지 않는 것을 알아낼 힘을 갖고 있다고 믿는다. 신화적 구세주는 가족 구성원 중에서 1명이 될 수도 있지만, 반면에 외부의 누군가가 될 수도 있다. 실례로 가족이 치료 과정에 있는 경우 가족이 심리학자에게 이 역할을 맡기는 것은 매우 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