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해결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직부패의 문제와 해결방안
1.1. 공직부패의 개념과 유형
1.2. 공직부패의 원인 분석
1.2.1. 제도적 요인
1.2.2. 사회·문화적 요인
1.2.3. 환경적 요인
1.3. 공직부패 방지를 위한 정책 대안
1.3.1. 제도 개선
1.3.2. 청렴 교육 강화
1.3.3. 투명성 제고
1.4. 국내외 사례 비교 및 시사점
1.5. 참고문헌
2. 저출산 문제와 인구정책
2.1. 저출산의 원인 및 현황
2.2. 국내외 출산 장려 정책 사례
2.2.1. 프랑스의 출산 지원 정책
2.2.2. 일본의 인구정책
2.3. 한국 정부의 저출산 대응 정책
2.3.1. 기존 정책의 한계와 문제점
2.3.2. 새로운 정책 방향 모색
2.4.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대응방안
2.5. 참고문헌
3. 학교폭력 실태와 예방대책
3.1. 학교폭력의 현황 및 실태
3.2. 학교폭력의 원인 분석
3.2.1. 학교 환경적 요인
3.2.2. 개인적 요인
3.2.3. 가정적 요인
3.2.4. 사회문화적 요인
3.3. 학교폭력의 영향과 결과
3.4. 해외 학교폭력 예방 정책 사례
3.5. 한국의 학교폭력 예방 및 대응 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직부패의 문제와 해결방안
1.1. 공직부패의 개념과 유형
공직부패의 개념과 유형은 다음과 같다.
공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공직으로서 주어지는 권한과 영향력을 사리사욕을 위하여 부당하게 행사함으로써 규범적인 공무수행의 의무를 일탈하는 행태가 공직부패이다. 공직부패의 개념은 보는 시각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명확히 정의하기는 어려운 일이지만, 일반적으로 공직부패란 공무원이 직권이나 행정수단·관리자원 등을 사적으로 이용하거나 사물화에 의하여 부정한 이익·보상을 취하는 공익에 반하는 행위를 말한다. 부패는 사회적·문화적·제도적 현상이기 때문에 각 나라의 정치제도, 사회문화적 특성, 그리고 국민의 가치관 등을 반영하므로 개념을 정의하기 쉽지 않다.
부패의 유형을 보면, 독재형, 족벌형, 엘리트 카르텔형, 시장로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독재형은 한 사람의 부패한 사람과 그를 따르는 사람들이 법적인 제약을 거의 받지 않고 공권력을 휘두르는 형태이다. 족벌형은 여러 명의 힘 있는 사람들과 그들을 따르는 사람들에 의해 지배되는 유형이다. 엘리트 카르텔형은 사회에서 상층부 사람들이 넓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전리품을 나누어 기득권을 지키는 형태이다. 시장로비형은 성숙한 민주시장 경제에서 나타나는 유형으로, 특정 결정을 이끌어내기 위해 뇌물을 제공하는 형태이다.
이 중 우리나라의 부패 유형은 엘리트 카르텔형으로, 정치인, 고위 관료, 언론 소유주, 군부 지도자, 대기업들이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부패를 유발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수많은 부패 사례가 지속되고 있는 이유는 엘리트들의 이러한 카르텔 구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1.2. 공직부패의 원인 분석
1.2.1. 제도적 요인
공직부패의 제도적 요인은 과도한 정부의 기능, 복잡하고 어려운 규제, 절차의 모호성, 불투명성 등에 기인한다.
정부의 규모와 범위가 팽창함에 따라 부패의 기회가 증가한다. 국가가 시민에게 미치는 영향력이 클수록 부패의 통로도 다양해지고 부패에 대한 접근이 쉬워진다. 특히 재원 배분에 대한 의사결정 권한이 커질수록 부패의 기회가 증가한다.
또한 피 규제 대상이 준수하기 어려운 행정규제, 모호하고 불명확한 행정 기준과 절차, 행정처리결과와 관련된 불투명성 등이 공무원의 부패를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공무원은 이러한 상황에서 개인의 사적 이익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그 밖에도 직업 공무원제의 미비, 낮은 보수 수준 등도 공직부패의 제도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직업 공무원제가 미흡하고 보수 수준이 낮은 경우, 공무원의 부패 유혹이 증가하게 된다.
1.2.2. 사회·문화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은 부패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한국 사회의 전통적인 문화와 가치관이 현대 행정 운영의 원리와 잘 맞지 않기 때문에 부패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연고주의, 의리의식, 낮은 시민의식 등이 공과 사의 구분을 어렵게 하여 부패를 초래한다.
연고주의는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기능을 해왔다. 혈연, 학연, 지연 등의 연고 관계가 법률과 규칙을 무시하고 집단의 이익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부정적인 모습으로 나타나, 정부 기관의 물자 구매, 세금 부과, 인·허가 및 단속, 검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부패를 유발한다.
또한 의리, 도덕적 의식 등의 전통적 가치 역시 부패와 관련이 있다. 공직자가 평소 알고 지내는 사람의 부탁을 의리나 정 때문에 거절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합리적인 법과 제도, 절차에 위배되는 부패행위로 이어질 수 있다.
더불어 낮은 시민의식과 공동체 의식도 부패의 원인이 된다. 폭력이 그다지 제지 받지 않는 분위기에서는 부패 행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한국 사회의 전통적 가치관과 문화적 특성이 부패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1.2.3. 환경적 요인
환경적 요인은 권위주의적 독재 정권과 관련이 있다. 권력이 집중되어 있는 상태에서 근대화로 인한 정부 역할의 증대는 기업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넘어야 할 산이 된다. 새로운 정책이나 법규들이 기업 활동의 제약요인이 되면서 정부에 의지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정부와 기업 간의 부패거래가 발생한다. 국가권력이 집중화되어 권력자의 힘이 커질수록 권력과 부패의 거래는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 권위주의에 젖은 공무원은 국민에게 독선적이며 권력 남용적인 성향을 지니기 때문에 부패 발생 소지가 크며, 권위주의는 권력 지향적 속성을 갖기 때문에 권력을 쟁취하기 위해 부패행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권위주의 문화는 패거리 집단을 형성하기 때문에 조직적 부패를 유발한다. 이러한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부패가 만연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1.3. 공직부패 방지를 위한 정책 대안
1.3.1. 제도 개선
제도 개선은 공직부패 방지를 위한 중요한 정책 대안이다. 공직부패의 원인 중 하나인 제도적 요인을 개선함으로써 부패 발생의 기회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과도한 정부 기능을 축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부의 규모와 권한이 클수록 부패에 대한 접근성과 기회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고 민간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부패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하고 모호한 행정 규제와 절차를 개선해야 한다. 피규제자가 준수하기 어려운 행정규제와 불명확한 기준은 공무원의 재량권 남용을 초래하여 부패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행정 절차를 단순화하고 기준을 명확히 함으로써 부패 요인을 제거해야 한다.
그리고 직업 공무원제도의 강화가 필요하다. 신분과 보수가 보장되지 않는 공무원은 부패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공무원의 신분과 보수를 안정화하여 청렴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공무원 인사제도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제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부패 관련 법과 제도의 실효성 제고가 중요하다. 부패 행위에 대한 처벌 기준을 명확히 하고 엄중히 적용함으로써 부패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억제력을 강화해야 한다.
이와 같이 제도 개선은 공직부패 방지를 위한 핵심적인 정책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제도적 요인들을 개선하여 공직사회의 청렴성을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1.3.2. 청렴 교육 강화
청렴 교육 강화는 공직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대안 중 하나이다. 공직자의 청렴성은 국가 및 사회의 신뢰를 확보하는 기반이 되므로, 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첫째, 공직자에 대한 청렴 교육을 의무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대부분의 공직자들은 부패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낮은 편이다. 일반 국민의 경우 공무원들이 부패하다고 인식하는 비율이 50%에 달하지만, 공무원 자신들의 경우 이러한 인식은 불과 4%에 불과하다. 이는 공직사회 내부에서 부패에 대한 무감각성과 무관심이 팽배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모든 공직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청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부패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청렴 교육의 내용과 방식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단순한 법규 교육이나 사례 전달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부패의 원인과 폐해, 청렴의 중요성, 청렴 실천 방법 등에 대한 깊이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토론, 사례 연구, 롤플레잉 등 다양한 교육 방식을 도입하여 참여와 실천을 유도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공직자 개개인의 청렴 마인드를 내재화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청렴 교육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교육 과정과 성과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 청렴 교육이 형식적으로 이루어지거나 교육 내용과 실제 행동 간 괴리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렴 교육의 설계 및 운영 과정, 교육생의 만족도 및 행동 변화 등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종합해볼 때,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청렴 교육 프로그램의 마련은 공직부패를 예방하고 청렴한 공직사회를 구현하는 데 핵심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를 ...
참고 자료
김규정, “행정학원론”, 법문사, 1998.
김수암, “북한부패와 인권의 상관성”, 통일연구원(KINU), 2012
손호철,“공직 부패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국내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지성식, "公職 不正腐敗 防止對策에 관한 硏究." 국내석사학위논문 水原大學校 行政大學院, 2001.
이영균,“공무원 부패의 원인과 방지전략에 관한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8권3장, 2004
고대유, 김정식, “조직침묵이 구성원의 부패의향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4권4장, 2020
장일순, “한국사회의 뇌물행위에 대한 사회학적 원인분석”, 사회과학논총.경희대학교, 1992
전수일, “관료부패론” 선학사, 1996.
이호규, 고대유. “공직부패 발생 요인과 저감 방안 모색”, 한국정책연구, 22권 2장, 2022
이천현, “한국의 민간부패 현황과 제도적 개선 방안‘, 형사정책연구, 26권2장, 2015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연금과 일자리를 중심으로 (박길성 2011)
정책증거(policy evidence)의 시차에 관한 연구: 산아제한정책사례의 적용 : A Study on Time Difference in Policy Evidence: A Focus on Birth Control Policy ( 윤영근 2013 )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의 정책방향과 과제 ( 오영호 2013 )
구도완 외14인(2017),한국사회문제, ‘교육문제’(김종엽)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진경, 김헤라 공저,『학교폭력예방의 이론과 실제』,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성기선, 유성상, 이해주 공저(2015), 교육사회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창군, 김계령(2010),학교폭력의 원인과대처방안, 법학연구 제38집.
문영희(2013),학교폭력의 예방을 위한 대처방안, (사)한국법정책학회 법과 정책연구 제13집 제2호,
성경미,이한주(2013),폭력 피해 경험이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4호.
E. 라이며(2016), 학교는 죽었다, 한마당.
http://ppua.tistory.com/241, ‘학교폭력 예방교육’ppt, 2016.03.18.
http://cafe.daum.net/study-plan/RpP7/1359?q=%EC%84%B8%EA%B3%84%20%EC%97%AC%EB%9F%AC%20%EB%82%98%EB%9D%BC%EC%9D%98%20%ED%95%99%EA%B5%90%20%ED%8F%AD%EB%A0%A5%EC%9D%98%20%EC%98%88%EB%93%A4,<2018년 교육시사읽기: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교원임용박사, 교원임용고시 아카데미.(2018.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