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위험기계 안전
1.1. 지게차
1.1.1. 지게차 특성
지게차는 속도가 느리기는 하지만 차량의 무게가 무거운 편이며 운전을 실수할 경우 뒤집어 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큰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 지게차는 운반과 하역을 쉽게 해주는 장치로 운전자 1명만 고용하면 되기 때문에 인원 절감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성 면에서 다른 기계에 비해 우수한 편이다. 운반거리가 50m 이내면 하역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 산업 현장에서 지게차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차체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중량을 올려야 하며, 차체 또한 비교적 무거운 편이다. 이동을 할 때 통로 또한 따로 확보가 되야 하기 때문에 작업을 할 때 이용률이 저하될 수 있다.
1.1.2. 지게차 위험성
지게차의 위험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게차에 물건을 불안정하게 적재할 경우 이동 중에 화물이 떨어질 수 있다. 운전자가 운전을 미숙하게 할 경우에도 물체가 낙하될 수 있다. 지게차를 운전할 때는 느린 속도로 운전해야 하며, 급출발이나 급정지를 하면 적재된 물건이 낙하될 수 있다.
둘째, 지게차는 시야가 가려지기 때문에 운전 시 주변 보행자를 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지게차는 차량 특성상 전도되기 쉬우므로 작업장 바닥면을 고르게 잘 정비해야 한다.
셋째, 지게차는 속도가 느리지만 차량 무게가 무거운 편이며 운전 실수 시 뒤집어질 수 있어 큰 사고 위험이 높다. 따라서 지게차를 사용할 때는 적당한 중량을 올려야 차체 안정을 유지할 수 있다.
1.1.3. 지게차 안전규정
지게차 안전규정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엄격히 규정되어 있다. 우선, 지게차에는 반드시 전조등과 후미등을 설치해야 한다. 사업주는 이러한 전조등과 후미등이 설치된 지게차만을 사용해야 한다. 다만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조명이 확보된 상태라면 전조등이나 후미등을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근로자와 지게차의 충돌 위험이 있다면 지게차에 후진경보기와 경광등을 설치해야 한다. 운전자가 후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후방감지기도 설치해야 한다. 사업주는 헤드가드가 갖춰지지 않은 지게차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다만 화물이 낙하했을 때 운전자가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없다면 헤드가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헤드가드는 지게차의 최대하중의 2배를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상부틀의 개구 폭의 길이가 16cm 미만이어야 한다. 운전자의 좌석 윗면에서 헤드가드의 상부를 아랫면까지 높이가 1미터 이상이어야 한다.
지게차에는 백레스트가 중요하다. 백레스트가 없는 지게차는 산업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다. 다만 화물이 낙하했을 때 근로자가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없다면 백레스트가 없는 지게차여도 사용할 수 있다. 지게차가 하역운반작업을 할 때 팔레트나 스가드를 사용해야 하며, 적재하는 화물의 중량에 따라 강도를 충분히 가져야 한다.
이처럼 지게차의 안전규정은 매우 엄격하게 적용된다. 사업주는 이러한 안전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하며, 근로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한다.
1.2. 크레인
1.2.1. 크레인 특성
크레인은 훅이나 달기기구를 이용해서 하물을 이송시키는 기계로, 그 특성이 매우 다양하다. 천장크레인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크레인의 한 종류이다. 천장크레인은 철골기둥에 주행레일을 설치한 다음 거더를 걸고 호이스트나 크라브를 설치한 구조이다. 천장크레인은 크레인 중에서는 비교적 저렴한 편이며, 경제성이 우수하다. 가설치된 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또한, 넓은 작업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설계 방식도 비교적 단순하다. 조작도 간편하고 안전성도 타 크레인에 비해서는 높다.
1.2.2. 크레인 위험성
크레인의 위험성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점검이나 보수를 하면서 크레인의 동작으로 인한 협착 사고가 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