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이다. 특히 청소년과 청년층의 자살률이 높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10-19세 인구 10만명당 자살자 수가 2001년 3.19명에서 2011년 5.58명으로 57.2% 증가하였다. 청소년기에는 이성적 판단이 어려운 시기이며, 이 시기에 잘못된 생각을 충동적으로 할 수 있어 청소년 자살률 증가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청년층의 경제적 어려움과 우울감이 가중되면서 청년 자살률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과 청년의 자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2. 청소년 및 청년 자살의 현황
2.1. 청소년 자살 현황
청소년 자살 현황은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10-19세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는 2001년 3.19명에서 2011년 5.58명으로 10년 전과 비교하여 무려 57.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 시기에 이성적인 판단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질풍노도의 시기이기 때문에 잘못된 생각을 충동적으로 할 수 있어 청소년들의 자살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청소년 자살의 문제는 지속적으로 대두되어왔으며, 최근에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면서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22년 9월 청소년들의 우울증 환자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청소년 자살이 사망원인 1위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청소년 4명 중 1명이 우울증을 겪고 있으나 적극적인 치료를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청소년 자살은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야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와 사회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2.2. 청년 자살 현황
청년 자살 현황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19~29세 청년들 중 13%가 우울증 경험이 있다고 응답할 정도로 청년층의 우울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년 자살률 또한 높은 수준이며, 이는 주로 정치 및 사회적 갈등, 불안정한 경제상황, 불안정한 고용 및 생존의 문제가 불투명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21년 현재 우리나라의 하루 평균 자살 사망자는 39.6명이며, 이 중 청년 학생 사망 원인 1위가 자살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조사에 따르면 아동·청소년들의 정신진료 환자 수가 22만 명에서 27만 명으로 늘었고, 우울증 진단도 60%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청년들의 우울 및 자살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지만, 청년들은 자신의 정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병원을 찾는 비율이 매우 낮은 편이다. 또한 정신과 관련 분야로 진로를 정한 전문의의 수도 충분하지 않아, 청년들이 도움을 받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함께 최근 직장 내 괴롭힘 문제 증가로 인한 청년들의 사회적 고립 위험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은 상대적으로 지위가 낮은 근로자, 직원, 부하 직원 등의 역할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고용주나 상사로부터의 과도한 업무지시, 성희롱 등 각종 괴롭힘을 당하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지 못하고 포기하고 퇴사해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