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금의 성선설 성악설 서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맹자와 순자의 성론 검토
1.1.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과 옹호
1.1.1. 성선설에 대한 비판
1.1.2. 성선설에 대한 옹호
1.2.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논의
1.2.1. 순자 성악설의 논거
1.2.2. 순자 성악설의 자연주의적 해석 가능성
2. 인간 본성에 대한 다양한 견해
2.1. 성선설, 성악설, 성무선악설, 성선악혼설
2.2. 개인적 견해와 그 이유
3. 윤리와 도덕의 문제
3.1. 맹자와 순자의 도덕론 비교
3.2. 퍼트남의 도덕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맹자와 순자의 성론 검토
1.1.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과 옹호
1.1.1. 성선설에 대한 비판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비판을 살펴보면, 먼저 노상균의 견해를 들 수 있다. 노상균은 맹자의 논리가 언뜻 그럴듯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논리적 타당성이 결여된 거짓명제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세 가지를 들고 있다.
첫째, 맹자가 말한 "그 누구든 깜짝 놀라고 측은한 마음을 갖게 될 것이다"라는 추론은 순전히 주관적인 억측에 불과하다. 불인지심은 후천적인 사회적 교육을 통해 배양되는 윤리관념이기에, 열악한 환경에 놓인 사람이나 문명의 혜택을 받지 못한 늑대인간, 어린아이 등은 충분히 다른 태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설사 불인지심이 후천적 교육이 아닌 자연발생적으로 생긴다고 해도, 이는 생에 대한 본능적 애착에서 비롯된 것일 뿐 인간의 본성이 착하다는 것을 입증하지 못한다.
셋째, 맹자의 논리를 모방하여 "사람들이 모두 재물을 탐하고 사욕에 어두운 마음이 있다"라고 말하면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반론이 성립된다는 점이다. 이는 맹자의 논리가 타당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즉, 노상균은 맹자의 성선설이 주관적인 추론에 불과하며 논리적 타당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한 것이다.
1.1.2. 성선설에 대한 옹호
맹자는 성선설을 통해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했다. 배병삼은 맹자의 성선설에 대한 옹호 견해를 보여준다. 배병삼에 따르면, 맹자가 주장한 바는 인성의 본질이 무엇인가에 대한 철학적 문제가 아니라, 희소하지만 선한 본성을 확인할 수 있다면 그러한 선한 싹을 어떻게 확충할 것인가에 초점이 있다. 즉, 맹자의 성선론은 선한 성품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실천적 차원의 주장인 것이다.
배병삼은 맹자가 인간이 '가히 선하다'고 규정한 이유는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이미 선을 향하는 방향성, 즉 나침반과 같은 선의 단서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다시 말해, 인간의 악함은 그 사람의 구성체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선한 본성을 충분히 발달시키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배병삼은 맹자의 성선론이 인간의 선한 본성을 인정하고 그것을 실현하고자 하는 실천적 관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옹호한다.
한편 배병삼은 맹자의 성선론이 당대의 혼란한 상황을 극복하고 평화로운 천하를 ...
참고 자료
『순자』 지학사.
『맹자』지학사.
아시아교육연구 [인간본성, 그 의미와 교육적 중요성] 4권, 2호
스카이데일리 [선악의 주체 돈, 그 선악을 구분하면 가난의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