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스킨푸드 기업 개요
1.1. 브랜드 소개
스킨푸드는 "Skin + Food"에서 유래한 "피부에 좋은 푸드"라는 네이밍의 의미에서 출발하여 '맛있는 푸드로 만든 맛있는 화장품이라는 모토와 함께' 푸드 '라는 차별적이고 독특한 컨셉을 담아 탄생한 최초의 푸드 코스메틱 브랜드이다. 음식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형성은 고객에게 신선함을 주었고 그런 이미지가 화장품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웰빙과 관련된 이미지 형성을 가능하게 하였다.
1.2. 기업 미션과 비전
스킨푸드 기업의 미션은 "고객의 가치창출과 품격향상"이다. 이는 단순히 화장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고객의 가치를 높이고 품격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스킨푸드는 "창의성과 끊임 없는 연구 개발"을 비전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을 실현하고, 이익 증대를 통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것이 스킨푸드의 비전이다.
즉, 스킨푸드는 고객의 가치 제고와 기업의 지속적인 혁신 및 발전을 미션과 비전으로 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 스킨푸드 현재 상황 분석
2.1. 시장 환경 분석
스킨푸드가 속한 화장품 시장은 최근 고객 트렌드와 경쟁 트렌드의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다.
먼저 고객 트렌드의 변화를 살펴보면, 소득 수준의 향상과 여성의 사회진출 활발로 인해 고가의 럭셔리 제품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층이 남성, 노년층, 주니어층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소비자보호법 강화로 고객의 권리와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기업들은 브랜드 중시, 기능성 화장품 확대, E-BIZ 사업모델 전환 등 전략을 변화시키고 있다.
유통 트렌드의 변화에서는 할인점 및 인터넷을 통한 신규 유통망 확대, 의약분업에 따른 약국의 화장품 판매 증가 등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방판시장의 급성장이 두드러진다.
경쟁 트렌드에서는 본격적인 글로벌 경쟁이 시작되었고, 업체 간 경쟁에서 업체와 유통업체 간의 경쟁으로 양상이 다양화되고 있다. 수입화장품의 판매가 증대되고 있으며, 5대 기업의 과점 시장 형태가 두드러진다.
이와 같은 시장 환경 변화 속에서 스킨푸드는 차별화된 브랜드 컨셉과 품질에 대한 높은 고객 만족도를 바탕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선두주자 대비 낮은 인지도와 기존 브랜드와의 유사한 마케팅 등의 약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후발 기업들의 잇따른 진출과 치열한 경쟁으로 인한 시장 포화 등의 위협요인도 존재한다.
2.2. 자사 현황 분석
스킨푸드의 자사 현황 분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코어 타깃에 대한 소구를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다. 주 타깃인 2030대 여성들의 구매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쟁 브랜드 대비 브랜드 인지도와 시장점유율이 낮은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고객들의 할인 구매 행태가 고착화되면서 가격 경쟁이 심화되어 시장이 혼탁해지고 있다. 스킨푸드는 가격 경쟁에 몰리면서 제품 가격을 계속 낮추고 있어 브랜드 이미지와 수익성이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국내 화장품 제품의 해외 수출이 활성화되고 있어 성장 기회가 존재한다. 하지만 스킨푸드는 해외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공략이 부족한 편이다. 낮은 점유율로 인해 국내 시장에서 가격 경쟁에 내몰리고 있어, 고품질의 키워드를 활용한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