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부산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휴업과 사정」 연구
1.1. 작품 개요
1.2. 서술자와 시점의 교차
1.3. 보산의 입장에서 본 SS와 자신
1.3.1. 위생
1.3.2. 음양의 조화
1.3.3. 우생학적 시선
1.4. 보산과 SS
1.5. 보산의 그림자는 SS를 닮았다
2. 고구려 산성의 군사적 기능
2.1. 고구려의 산성 축조 이유
2.2. 고구려 산성의 방어 체계
3. 조선통신사와 문화교류
3.1. 조선통신사 사절단의 구성
3.2. 문화전달자로서의 조선통신사
4. 이규보의 생애와 활동
4.1. 고려 중기의 문인 이규보
4.2. 이규보의 관직 생활
5. 이순신의 백의종군
5.1. 1차 백의종군
5.2. 2차 백의종군
6. 최부의 「표해록」
6.1. 「표해록」의 간행
6.2. 「표해록」의 주요 내용과 의의
7. 목민심서
7.1. 다산 정약용의 생애
7.2. 목민심서의 주요 내용
7.3. 목민심서에 대한 서평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휴업과 사정」 연구
1.1. 작품 개요
「휴업과 사정」은 이상이 보산(甫山)이라는 필명으로, 조선총독부 기관지 『조선』 4월호에 발표한 작품이다. 소설로서는 「12월 12일」, 「지도의 암실」 이후 세 번째 작품으로 초기 작품에 속한다. 다만 SS가 보산의 마당에 침을 뱉는 것이 주된 사건이라는 측면에서 문학적 해석이 개입될 여지가 많지 않고, 그나마 존재하는 보산과 SS의 갈등 또한 첨예화되어 있지 않기에 이후 발표된 다른 작품에 비해 선행 연구가 미미한 편이다. 일찍이 조선숙(2002)은 작품 전반에 두드러지는 음양오행에 근거하여 작품을 해석한 바 있지만, 결국 보산이 음이고 SS가 양이며, 귀결되는 지점은 둘의 차이점이었다. 대조적으로 황지영(2017)은 대립보다 보산과 SS 사이의 상호 관계에 주목하기도 했다. 보산의 그림자가 SS와 닮아 보인다는 대목을 언급하며 보산과 SS의 관계를 서로가 서로에게 떼어날 수 없는 관계로 역설하기도 했다. 주인공 보산에게 이상이 잘 투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휴업과 사정」은 이상의 문학적 세계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다음과 같은 근거로 비교적 이상이 잘 투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다른 작품에서 작중 주인공 이름이 이상이나 나였던 것처럼, 필명인 보산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천하인간들의쓰는시와는운소로차가나는훌륭한시를 보산은몃편이나몃편이나써놋는것이건만'에서 볼 수 있듯 보산이 「오감도」가 거센 저항을 받을 때 작가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 침을 뱉는 소재를 다룬 것을, 소설을 쓰기 전 1931년 폐결핵을 진단받은 이상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도 있다는 점이다. 또한 작품이 쓰인 시대적 배경도 주목할 만하다. 근대는 시민 사회, 계몽과 더불어 격변을 거친 시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격동기에서 일어난 수많은 변화 중 이 작품에서 드러나는 것은 위생 관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보산과 SS의 대립 구조뿐만 아니라 작중 인물에 투영되어 있는 이상 작가 자신, 그가 살았던 근대와 그 시대상, 그리고 작품 속에 숨어 있는 첨예적인 부분들을 다뤄보고자 한다.
1.2. 서술자와 시점의 교차
「휴업과 사정」은 독자와 주인공 '보산'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오히려 독자가 보산에게 거리감을 느끼도록 설계되었다. 이 역설적인 관계는 서술자의 시선에서 기인한다. 작품의 서술자는 전지적 시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그 시선을 보산에게만 집중하고 있다. 서술자와 보산은 서로 다른 인격인 동시에 서술자가 보산에게 기생하는 하나의 유기체이다. 서술자의 시선이 보산에게만 고정돼 있는 탓에 독자는 보산에 대한 한정된 정보만을 얻을 수 있다. SS가 어떤 의도로 보산의 마당에 '춤'을 뱉었는지, SS는 어떤 인물인지에 대한 정보는 독자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이런 서술 방은 독자를 과도하게 보산에게 밀착시킨다. 그리고 이런 밀착은 독자와 보산의 거리감을 좁히기 보단 보산의 폭력적인 생각, 유머러스한 서술과 만나 독자로 하여금 보산과거리감을 느끼게 한다. 밀착해서 살펴본 보산의 모습은 독자들의 공감을 얻기보다 불쾌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휴업과 사정」 에서 서술자와 독자의 시선 교차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서술자가 제공하는 보산의 시선과 그 이면을 넘나드는 독자의 시선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는 이런 시선의 교차를 통해 작가가 전달하려고 한 근대의 모습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1.3. 보산의 입장에서 본 SS와 자신
1.3.1. 위생
보산은 근대적인 위생의 상징인 '투스브러시'를 이용하여 양치질을 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근대화와 더불어 화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공산품이 저렴하게 생산되었고, 구강 위생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졌기 때문에 투스브러시의 보급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보산은 물질적인 면에서 근대적인 위생을 실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음양의 조화'는 보산이 정신적으로도 위생적인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보산은 자신이 음양의 이치를 깊이 이해하고 정신 수양을 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그는 음과 양의 기운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동양 철학의 기본 개념을 체득했다고 여기고 있다. 이를 통해 보산은 자신이 정신적으로도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자부한다.
또한 보산은 근대적으로 계획된 공간인 공원에서 산보한다. 공원은 신선한 공기와 청정한 경치가 있어 심리적 위생을 얻을 수 있는 곳이다. 보산은 이런 공원이 집 가까이에 있어 언제든 방문할 수 있음을 기쁘게 여긴다. 그는 공원에서 충분한 신선한 공기를 마시며, 정신적 위생을 유지하고자 한다.
이처럼 보산은 투스브러시로 대표되는 물질적 위생과 음양의 조화를 통한 정신적 위생, 그리고 공원에서의 산보를 통한 심리적 위생을 모두 지니고 있다고 여긴다. 그는 자신이 위생적인 인물이라고 자부하면서 SS를 비위생적이라고 맹렬히 비난한다.인 근대 조선 사회에서 '위생'은 단순히 개인의 청결 차원을 넘어 질병 예방 및 국민 관리를 위한 중요한 수단이었다. 위생은 새로운 질병과 불확실한 미래의 환자를 대비하기 위한 지속적인 감시와 통제 시스템으로 작용했다. 보산은 이러한 근대적 위생 개념을 내재화하고 있으며, SS의 비위생적인 행동에 대한 혐오감을 드러내고 있다.
보산은 SS가 자신의 마당에 침을 뱉는 행위가 '위생이라는 관념에서 불결'하다고 비난한다. 이는 SS의 행동이 육체적 경계선을 넘나드는 것으로 여겨져 위협적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보산의 입장에서 SS는 근대적 위생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전근대적인 존재이며, 따라서 배척의 대상이 된다.
나아가 SS가 갓 태어난 아기를 위해 대문에 금줄을 달아두는 행위 또한 보산에 의해 '추태'로 치부된다. 이는 근대화 과정에서 전통적인 민간 신앙이나 풍습이 위생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배척되었음을 보여준다. 보산은 SS의 이러한 행동들을 통해 자신이 근대적 위생 기준에 부합하는 인물임을 과시하고자 한다.
요컨대 보산의 관점에서 위생은 근대성을 상징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그는 투스브러시 사용, 음양의 조화 등을 통해 자신이 위생적이라고 여기지만, 동시에 SS의 비위생적 행동을 배척함으로써 자신의 근대성을 더욱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산은 SS와 자신을 대비시켜 자신의 우월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1.3.2. 음양의 조화
보산이 "보산의 정신상태가 얼마나 훌륭히 수양되어 있는 것인가", "양의 성한 때를 잠자며 음의 성한 때를 깨어있어 학문하는 것이 얼마나 이치...
참고 자료
김성수, 이경훈. (2007). 『이상소설작품론』, 이상문학회.
고현혜. (2018). 이상, 원(原)파시즘의 착의(着衣)와 탈의(脫衣) ―도스토예프스키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80, 75-142.
김대웅. (2020). 이상 소설 「휴업과 사정」에 나타난 근대 ‘문화’ 담론. 현대문학이론연구. 83, 29-55.
김정수. (2007). 이상 문학에 나타난 ‘절름발이-거울-형해’의 의미 연구.한국현대문학연구, 22, 145-174.
란명. (2010).昭和帝国의 담론 공간과 李箱적 모더니즘. 한국현대문학연구. 32, 39-71.
박진아. (2013). 잠재적 휴업과 실패의 사정 -이상, 「휴업과 사정」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60, 465-486.
이경훈. (2000). [특집-대화적 비평의 논의를 위하여] 아스피린과 아달린. 한국근대문학연구. ,1(2),72-99.
이미나. (2021). 식민지 근대 문학에 나타난 ‘음악’의 의미 고찰 - 계몽·개화로서의 ‘음악’과 미적 근대성의 실현. 한국문학과 예술, 39, 97-134.
장서란. (2021). 이상 시에 나타나는 거울-이미지 양상 연구 -거울 시편을 중심으로-. 국제어문, 90, 297-324.
정효구. (1984). 이상(李箱)과 윤동주(尹東柱) 시(詩)의 거울 이미지 고찰(考察). 국어국문학, 92, 349-371.
조선숙. (2002). 음양오행의 관점에서 본 이상의 <휴업과 사정>. 현대소설연구. 17, 147-158.
조은주. (2016). 이상 문학과 창조적 음악 정신. 한국현대문학연구, 49, 113-141.
황지영. (2017). 속물(俗物) 예술가(藝術家)와 일상인(日常人)의 미학(美學) - 이상(李箱)의 「휴업(休業)과 사정(事情)」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 45(2), 269-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