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알코올 의존증
1.1. 정의
알코올 중독은 한 개인의 직업, 사회, 가정 적응에 장애를 가져오는 것으로 술을 마시며 반복되는 음주를 중단할 수 없고 생리적 장애와 중독으로 인한 사회적 기능과 인지능력 등 전반적인 생활에 장애를 가져오며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양을 초과하여 통제능력을 상실한 경우를 의미한다. 즉, 오랜 기간 지속적이고 과도한 음주로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부작용을 유발하는 만성적 질환이다. 또한 알코올 중독은 치료적 개입이 없이 방치되는 경우, 알코올로 인한 신체적 합병증 및 알코올성 치매 등의 정신질환을 유발하여 결국은 죽음에 이르게 되는 치명적인 질병일 뿐만 아니라, 환자의 술 문제로 인해서 가족기능의 손상과 가족 구성원 각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족 병이다.
1.2. 진단 기준
DSM-Ⅳ에 따르면 알코올 남용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임상적으로 상당한 장해 또는 곤란을 가져오면서, 12개월 기간 중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이 발생하는 알코올 사용의 부적응 양상이 있는 경우 알코올 남용으로 진단할 수 있다.""
첫째, 거듭되는 알코올 사용으로 인해서 직장, 학교 혹은 집에서의 주요 역할 임무를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경우이다. 둘째, 신체적으로 해가 되는 상황에서도 거듭된 알코올의 사용이 있는 경우이다. 셋째, 알코올과 관련된 거듭된 법적 문제가 발생한 경우이다. 넷째, 알코올의 영향들이 원인이 되거나 이로 인해 악화가 되는 계속적이거나 반복적인 사회적 혹은 대인관계의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알코올 사용이 있는 경우이다."
한편 DSM-Ⅳ에 따르면 알코올 의존의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지난 12개월 사이에 다음 중 3가지 이상이 있었던 경우 알코올 의존으로 진단할 수 있다.
첫째, 내성이 있는 경우이다. 둘째, 금단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이다. 셋째, 원하는 양보다 술을 오랜 기간 많이 사용하는 경우이다. 넷째, 금주하거나 절제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실패한 경우이다. 다섯째, 술을 구하거나, 술을 마시거나, 술에서 깨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경우이다. 여섯째, 사회적, 직업적 혹은 휴식 활동들이 술의 사용에 의해 단념되거나 감소하는 경우이다. 일곱째, 음주에 의해 신체적 혹은 심리적 문제가 악화되는 줄 알면서도 음주를 계속 하는 경우이다."
1.3. 특성
1.3.1. 알코올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은 대표적인 중추신경억제제로서 그 작용기전으로 인해 신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우선 낮은 농도의 알코올은 뇌에 약간의 자극 효과를 나타내어 사고, 정서, 행동을 조절·통합하는 뇌 부위를 억제한다. 이로 인해 자신을 덜 의식하고 수다스러워지며 신중하지 못한 행동을 하게 되고 판단력이 떨어진다. 알코올 농도가 150mg/100ml 이상이 되면 법적 중독 한계선에 도달하게 된다.
알코올 농도가 200-250mg/100ml로 증가하면 운동실조, 수면, 사고 과정의 혼돈, 섬세한 근육의 조정 장애, 언어나 시야 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알코올 농도가 300mg/100ml에 달하면 의식상실이 발생하며, 500mg/100ml 이상에 이르면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이처럼 알코올은 비선택적이고 가역적으로 중추신경을 억제하는데, 특히 대뇌피질과 망상계를 예민하게 억제한다. 이로 인해 사고기능, 언어, 운동조화, 반응시간 등의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알코올은 심리적 효과로 적대감, 울음, 부끄러움, 절망감, 필름끊김(black out) 등을 유발하며, 생리적 효과로 부정확한 말, 협동심의 결여, 상기된 얼굴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과용량에서는 혼란, 마비, 혼수상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알코올의 마지막 섭취 후 6-8시간 사이에는 금단증상으로 불안정, 떨림, 맥박 및 혈압 증가가 나타나며, 6-96시간 사이에는 발작, 환각이 발생하고 3-14일 사이에는 알코올 금단증상과 섬망이 유발된다.
이와 같이 알코올은 중추신경억제 작용을 통해 신체 전반에 걸쳐 다양한 부작용을 초래하게 되며, 이는 알코올 중독이 치명적인 질병임을 보여준다.
1.3.2. 알코올 중독 단계
알코올 중독 단계는 크게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알코올 의존 전 단계이다. 이 단계는 일상의 스트레스와 긴장을 해소하기 위해 술을 마시는 단계로, 부모나 주위 어른들이 술을 마시고 즐기는 것을 본 아동이 스트레스를 해결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