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스트레스 이직 연구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상세정보

소개글

"간호사 스트레스 이직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1.2. 연구 목적

2. 문헌고찰
2.1. 직무스트레스
2.2. 외상 후 스트레스
2.3. 이직의도

3. 연구방법
3.1. 연구 설계
3.2. 연구 대상
3.3. 연구 도구
3.4. 자료 수집 방법
3.5. 윤리적 고려
3.6. 자료 분석 방법
3.7. 연구의 제한점

4. 연구 결과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 필요성

최근 대형 의료기관의 설립이 증가됨에 따라 간호사들의 취업 기회도 증대되어, 많은 간호사들이 보다 나은 대우와 승진을 위한 이직이 증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병원에서 환자에게 제공되는 대부분의 서비스가 간호사에 의해 제공되며, 병원인력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어 질적으로 수준 높은 간호서비스의 중요성은 날로 부각되고 있으나 사회적 수요와 더불어 개인적, 직업적 환경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다른 직종의 인력에 비해 많은 수가 직장을 떠나고 있다. 이러한 간호사의 과도한 이직률로 인한 폐해를 살펴보면 조직적 측면에서는 새로운 인력의 모집, 선발, 훈련에 따른 막대한 비용의 지출로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간호사 자신에게도 직무전환에 따른 스트레스, 전직비용, 부가급여 상실 등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외상 후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규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사건요인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외상 후 스트레스, 이직의도의 관계를 파악한다.
셋째,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넷째, 신규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2. 문헌고찰
2.1. 직무스트레스

직무 스트레스는 간호사들이 근무 영역에서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여 능숙한 간호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을 겪음으로써 겪게 되는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인 경험이다. 신규 간호사들은 졸업 후 병원에 취업하여 실무에 임하면서 예상치 못한 실수에 대한 충격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자아존중감에 변화를 겪는다.

신규 간호사들은 업무의 버거움과 당혹감을 느끼면서 자신이 학생 때와는 달리 쓸모없고 부족한 존재라고 느끼게 된다. 이러한 스트레스와 긴장감이 시간이 지나도 해소되지 않을 때 신규 간호사는 부적응을 경험하게 되며, 이직을 고려하게 된다.

근무지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는 간호사에게 육체적, 정신적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업무상의 실수를 유발하여 환자 간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를 증가시켜 조직 유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신규 간호사들이 첫 1년 동안 겪는 어려움과 변화를 이해하고,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이직을 줄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2.2. 외상 후 스트레스

외상 후 스트레스는 자신이나 타인에게 심각한 신체적 위협을 주는 극단적인 상황을 경험한 후 나타나는 심리적 반응이다. 외상 사건을 경험한 개인은 그 사건이 반복적으로 회상되고, 그와 관련된 자극을 회피하며, 과도한 각성 상태를 보이고, 정서적 반응이 둔화되는 증상을 경험한다.

이러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은 일반인들도 겪을 수 있지만, 간호사들은 특히 외상 사건에 자주 노출되어 더 높은 위험에 놓여있다. 간호사들은 응급상황 대처, 중증 질환자 간호, 환자와의 폭력 경험 등을 통해 높은 강도의 스트레스를 겪게 되며, 이로 인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국내 연구에 따르면, 중환자실 간호사와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고위험군은 각각 18.2%와 20.4%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우 가장 충격적인 외상 사건은 환자의 비정상적 행동을 간호하는 것이었고, 응급실 간호사의 경우에는 신체적 폭력이나 학대받은 환자 간호, 심각한 외상 환자 간호 등이 주요 외상 사건이었다.

전체 부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고위험군이 54.6%로 나타나, 간호사 집단 내에서도 부서와 지역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수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간호사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환자 간호의 질 저하, 이직률 증가, 간호 생산성 감소 등 병원 조직 전반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간호사들의 외상 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2.3. 이직의도

이직의도는 조직 구성원이나 근로자가 가까운 미래에 조직을 자발적으로 영구히 떠날 가능성을 스스로 추정하는 것으로, 조직을 떠나거나 옮기려는 노력, 다른 직장에 대한 탐색, 이직을 생각하는 행위를 모두 포함한다. 이직의도가 크다는 것은 실제 이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규 간호사의 높은 이직의도는 간호 인력 수급의 불균형을 초래하고 간호의 질 저하, 의료사고 위험성 증가, 병원의 효율성과 생산성 감소로 이어진다. 또한 신규 간호사의 이직은 개인의 심리사회적 성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숙련된 전문 간호사로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

많은 연구에서 신규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 결혼 상태, 학력,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능력, 긍정심리자본, 회복력, 소진 등 개인적 요인과 근무 부서, 교대근무, 경력, 멘토링, 급여, 동료관계, 직무만족도, 직무 스트레스, 직장 내 폭력, 근무시간, 이직경험 등 조직적 요인들이 보고되었다. 특히 직무 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본은 신규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육체적, 정신적 손상을 유발하고 업무상 실수를 증가시켜 환자 간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직의도를 높이는 요인이 된다. 반면 긍정심리자본은 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회복력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직의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신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요인인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키고, 조직적 요인인 직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등 다각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특히 경력 12개월 이하의 조기 이직률이 가장 높은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와 긍정심리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3. 연구방법
3.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신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외상 후 스트레스, 이직의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3.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D광역시 소재 800병상 이상 2개 대학교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대학 졸업 후 임상경력 12개월 이하의 신규 간호사를 편의표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독립적인 업무수행이 미숙하거나 수습 교육기간 중인 3개월 미만 인 자, 이직 경험이 있는 경우 총 경력이 12개월을 초과하는 자는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수는 G*Power 3.1.9.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위해 유의수준0.05, 신규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선행연구결과에 근거한 효과크기 0.24, 검정력 .95, 예측 변인의 수를 15개로 설정하였을 때 표본의 크기는 130명이었다. 본 연구는 회수율80%를 예상하여 총 170부를 배포하였고 이 중 165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율은 97%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에 부합하지 않거나 설문지에 대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4부를 제외하고 총 161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3.3.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직무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Kim과 Gu가 개발한 간호사 직무 스트레스 도구(Job Stress Measuring Tool)를 Shim이 신규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15개 하위 영역에 5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전혀 느끼지 않는다" 1점부터 "아주 심하게 느낀다" 5점의 5점 Likert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점수가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Shim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3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는 .94이다.

긍정심리자본 측정...


참고 자료

강미숙(2016).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와의 관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권문경(2016).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충청남도.
권석만(2013). 현대이상 심리학. 서울: 학지사.
권호인, 권정혜(2005).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지속노출치료: 강간 피해자 증례 보고 1례.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5(1), 1123.
고종욱, 엄영희(2003).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 대한간호학회지, 33(2), 265274.
김가은(2004). 간호사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김경순(2018).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태움에 따른 건강증진생활양식, 신체증상 및 직무스트레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 논문, 서울.
김남신(1992). 臨床看護師의 職務스트레스 要因과 適應方法에 관한 硏究.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서울.
김래선(2007).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의 구조: 증상의 재분류.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경기도.
김매자, 구미옥(1984). 간호원이 근무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연구. 간호학회지, 14(2), 283287.
김매자, 구미옥(1984). 간호원이 근무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연구. 간호학회지, 14(2): 20, 28~37
김문실, 최순옥(2003). 조직사회화에 대한 개념분석. 간호학회지, 9(1): 19~30.
김미숙(1993). 임상 간호사의 조기이직과 관련된 제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김방희 (2002). 임상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대구.
김수지(2018). 외상전담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부산.
김숙경(2003). 전문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김예진(2018). 불안민감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김자훈(2001). 임상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양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 논문, 서울.
김정숙(2014).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 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 논문, 경기
김정희, 박성애(2002). 일반 간호사의 대처전략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8(1): 97~106.
김종경. 김명자(2011). 병원간호사 이직의도에 관한 문헌 분석. 한국간호과학학회지, 17(4), 538550.
김지현(2018). 신규간호사의 선도적 행위, 조직 몰입 및 사회적 지지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논산.
김진(2006). 종합병원 신규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광주.
김현숙(2009).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강원도.
김현주(2011).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과 공감피로, 소진, 공감만족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김혜경(2018).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에 미치는 영향요인.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광주.
김희정(2018).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구조모형 : 다중집단 분석을 통한 병원규모, 근무경력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박계숙(2013). 신규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박단비(2015). 중환자 간호사의 외상성 사건 경험에 따른 전문직 삶의 질 : 공감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울산.
박수영(2017).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자아탄력성과 전문직 삶의 질.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대전.
박준영(2018). 권역외상센터 간호사의 외상사건 경험, 지각된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경기도.
박지영(2008). 아동보호전문기관 직원의 외상관련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및 관련 요인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지, 29, 177206.
변은숙(2009). 신규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배영순(2006).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전문직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구.
배점모(2012). 구조방정식모형에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복지감 및 우울 간의 관계 비교 고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26(6), 109117.
배정이, 서문자 (1989),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정신과 간호사 중심. 한국간호과학회, 서울.
백경난(2017). 암병동 간호사의 외상성 사건 경험, 사회적지지, 대처양식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성미혜, 김혜원, 김자원(2007). 프리셉터와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 비교.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7(2), 131138.
송승훈(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전.
송윤정(2011).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경기도.
송창진(2004).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기전과 치료. 동국의학, 11(1), 102112.
신응섭, 채정민(1996).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통합적 접근 :충격적인 사건에 따른 심리적 문제의 이해. 서울 :하나의학사.
안미경 (2003).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건강실천행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안미영(2016). 병동 간호사의 외상사건유형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정도.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어금숙, 허혜경, 김기경, 등(2004). 병원 임상간호사의 직무특성 및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임상간호연구지. 9(2): 81~92.
오수미(2014). 간호사의 근로환경,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TSS)과의 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경상남도.
오의진(2010).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과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원효진(2014). 간호단위의 사회연결망 특성과 관리자의 리더십, 간호사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위성철(2016). 남녀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인천.
유지현, 박기환(2006). 소방공무원의 PTSD 증상과 정서상태. 대처행태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지. 28(3), 833852.
유현수(2010). 신규간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윤혜미(2009). 신규간호사의 이직 의도 관련 요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이다영(2017). 외상경험 대학생의 사건중심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외상 후 성장에 미 치는 영향: 정신화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경기도.
이순애(2012). 유방암 환자의 낙관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관계. 고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부산.
이영옥(2017). 국내 병원간호사 이직의도 관련요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부산.
이은선(2014). 신규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정노동, 학습 관련 자기 주도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이은주(2002).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이은희(2005).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 간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이춘근(2003). 신세대에게 인기 있는 리더. LG주간경제. 5(7): 31~35.
이현애(2014). 임상간호사가 경험하는 직장 내 괴롭힘, 소진과 이직의도 관계.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이혜경(2017). 간호사와 의사가 지각하는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직무만족 및 이직 의도와의 관계.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나주.
이호경(2005). 신규간호사의 성격특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임경희(2015).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 및 이직의도의 관계. 경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경상남도.
전문희(2018). 신규간호사의 프리셉터쉽 적용 단계별 임상수행 능력, 사회적지지, 극복력 및 이직의도. 차의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경기도.
정은진(2013).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전담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와의 비교연구.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경기도.
조금진(2014).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 및 영향요인. 동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부산.
조보성(1997). 체육단체 종사자의 이직의사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서울.
조영경(2013).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이직에 관한 구조모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 논문, 서울.
조행난(2016). 상급종합병원 교대근무 간호사의 이직의도 모형구축. 전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광주.
최기철(2001). 보상과 성과의 관계에 대한 조적효과 검증.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최명이(2014).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광주.
최소연(2008),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최순옥(2004).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신규간호사의 조직사회화과정 모델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최창순(2015). 지하철 기관사의 기질 및 성격특성에 따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위험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최희선(2013). 종합병원 전담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영향요인.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하향임(2012). 간호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한상숙, 손인순, 김남은(2009).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영향요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878887.
한정원(2012). 응급실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대구.
한정원, 이병숙 (2013).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직무 스트레스, 이직의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19(3), 340350
허미영(2011).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성격유형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경북.
황지나(2015).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갈등관리 유형이 간호업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구.
Ali, N. (2008). Factors affect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managerial Sciences, 2(2), 23925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utho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
Applebaum, D., Fowler, S., Fiedler, N., Osinubi, O., & Robson, M. (2010). The impa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nursing stres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0, 323.
Breslau, N., Kessler, R. C., Chilcoat, H. D., Schultz, L. R., David, G. C., & Andreski, P.(1998). Trauma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e community: The 1996 Detroit Area survey of Trauma. Arch Gen Psychiatry, 55, 626632.
Breslau, N., Lucia, V. C., & Davis, G. C.(2004). Partial PTSD versus full PTSD: an empirical examination of associated impairment. Psychological Medicine, 34(07), 12051214.
Bryant, R. A(1996.)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flashbacks, and pseudo memories in closed head injury.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 621629.
Cohen, S., & Mulvaney, K.(2005). Field observations: Disaster medical assistance team response for hurricane charley, Punta Gorda, FL, August 2004. Journal of Emergency Nurses Association, 3(1), 2227.
Casey, K., Fink, R., Krugman, yknarM., & Propst, J.(2004). The graduate nurse experienc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4(6), 303311.
Dudek, B., & Koniarek, J.(2000).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coherenct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mong fire figh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and Environmental health, 13(4), 299305.
Egan, T. M., Yang, B., & Bartlett, K. R. (2004).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n motivation to transfer learning and turnover inten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5(3), 279301.
Figley, C, R(1995). Compassion fatigue. New york : Bunenr/Mazel.
Flack, W. F., Litz, B. T., Heieh, F. Y., Kaloupek, D. G, & Keane, T. M.,(2000). Predictors of emotional numbing, revisited: A re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3, 611618.
Foa, E. B., Zinbarg, R., & Rothbaum, B. O.(1992). Uncontrollability and unpredictability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 animal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12, 218238.
Foa, E. B., & Rothbaum, B. O.(1992).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In R.D. Peters, R.J. McMahon, V.L. Quinsey (Eds.), Aggression and Violence Throughout Life Span(pp.155170). CA: Sage.
Gordon, R.S(1979) "Minnesota study suggests meen of Reducing turnover rates in Nursing homes". Jour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4, No. 8, pp. 1720.
Hayajneh, Y. A., AbuAlRub, R. F., Athamneh, A. Z., & Almakhzoomy, I. K. (2009). Turnover rate among registered nurses in Jordanian hospitals: an explorator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5(4), 303310.
Hayes, L. J., O’BrienPallas, L., Duffield, C., Shamian, J., Buchan, J., Hughes, F., Spence Laschingerg, H. K., North, N., & Stone, P. W. (2006). Nurse turnover: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2), 237263.
Hinderer, K. A., Von Rueden, K. T., Friedmann, E., McQuillan, K. A., Gilmore, R., Kramer, B., & Murray, M. (2014). Burnout,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 trauma nurses. Journal of Trauma Nursing, 21(4), 160169.
Jones, C. B. (2008). Revisiting nurse turnover costs: adjusting for inflation.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8(1), 1118.
Lawler, E. E. (1983). Satisfaction and Behavior. New York: McGraw Hill.
Mealer, M., Shelton, A., Berg, B., Rothbaum, B., & Moss, M.(2007). Increased prevalence And Impact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Burnout Syndrome In Nurses. Depression and Anxiety, 26 , 11181126.
Mealer, M., Shelton, A., Berg, B., Rothbaum, B., & Moss, M.(2007). Increased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n critical care nurse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75,693–5697.
Mealer, M., Burnham, E.L., Goode, C.J., Rothbaum, B., & Moss, M.(2009). The prevalence and impact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burn out syndrome in nurses. Depress Anxiety, 26, 1118–1126.
NIOSH (1999). Stress at work.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health.
North, N., Leung, W., Ashton, T., Rasmussen, E., Hughes, F., & Finlayson, M. (2013). Nurse turnover in New Zealand: costs and relationships with staffing practises and patient outcomes.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1(3), 419428.
Pietrzak, R. H., Johnson, D. C., Goldstein, M. B., Malley, J. C., Rivers, A. J., Morgan, C. A., & Southwick, S. M(2010). Psychosocial buffers of traumatic stress, depressive symptoms, and psychosocial difficulties in veterans of Operations Enduring Freedom and Iraqi Freedom: The role of resilience, unit support, and post deployment social support.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20, 188192. doi:10.1016/ j.jad. 2009.04.015.
Price ,J. & Mueller ,C. (1981). Willford Hall Medical Center Retetion Survey. Lackl and Force Base ,T.
Rapaport, M. H., Clary, C., Fayyad, R., & Endicott, J(2005). Qualityoflife impairment in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2(6), 11711178.
Rizzo, J. A., Gilman, M. P., & Mersmann, C.A. Facilitating care delivery redesign using measures of unit culture and work characteristic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1994; 24(5): 3237.
Shader, K., Broome, M., Broome, C. D., West, M., & Nash, M.(2001).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and anticipated turnover for nurses in an academic medicalcenter.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1(4), 210216.
Stordeur, S., D'hoore, W., & Vandenberghe, C.. Leadership, organizational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among hospital nursing staff.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1; 35(4): 533~542.
Symes, L., Krepper, K. R., Lindy, C., Byrd, M. N., Jacobus, C., &Throckmorton, T. (2005). Stressful life events among new nurses: implications for retaining new graduates.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9(3), 292296.
Taieb O, Moro MR, Baubt T, RevahLevy A, & Flament MF(2003).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childhood cancer.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2, 255264.
Tett, R. P., & Meyer, J. P. (1993).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46(2), 25929.
Wilson, J., P., Keane, T., M.(2004).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2nd ed.). New York: Guilford.
Parker, D, F. & Decotiis, T, A (1983).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stress and Human Performance, 32, 160-177.
Weiss, D. S., Marmar, C. R. (1997).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n: Wilson, J.P., Keane, T.M., editors. Assessing psychological trauma and PTSD. New York: Guilford Press, 399-411.
Lawler ,E. (1983). Satisfaction and behavior. Macgrew-Hill, 7 , 20-28.

김선미(2013), 신규간호사의 자아상태와 직무스트레스 및 간호업무성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강혜영(2014), 간호사의 근무지 약자 괴롭힘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간호관리와 교육전공
유현수(2010), 신규간호사의 자아존감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학교 학원 2009학년도 석사학 청구논문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