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현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자궁경부암과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
1.1.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의 의의
1.2. 자궁경부암의 특성
1.3. HPV 감염과 자궁경부암 실태
2. 국내 자궁경부암 예방정책
2.1. 국가암검진사업과 자궁경부암 검진
2.2.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사업의 HPV 백신 도입
2.3. HPV 예방접종 현황
3. HPV 예방접종 및 자궁경부암 검진 활성화를 위한 제언
3.1. 자궁경부암 검진 정기 실천에 대한 인식 제고
3.2. 청소년 대상 HPV 예방교육 강화
3.3. HPV 백신 국가지원 대상 및 범위 확대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자궁경부암과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
1.1.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의 의의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은 전염성이 높은 병원체로, 피부나 생식기 점막 등을 감염시켜 HPV 관련 암(자궁경부암, 외음부암, 항문암 등)과 그 전암병변, 생식기 사마귀 같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약 100여 종의 HPV 중 일부는 자연적으로 조멸되지만 일부는 지속감염을 일으켜 수년에서 수십년 후 다양한 암 발생의 위험 요인이 된다. 그 중에서도 HPV 16과 HPV 18은 가장 대표적으로 암을 유발하는 고위험형 바이러스이다.
HPV 감염은 흔한 성매개 감염질환 중 하나로, 성생활을 시작한 여성 4명 중 2~3명은 평생 적어도 한 번 이상 HPV에 감염될 수 있다. 2006년부터 2011년까지 우리나라의 18~79세 여성 60,77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조사 당시 대상의 34.2%가 HPV에 감염되어 있었으며, 특히 젊은층(18-29세)의 HPV 감염률은 49.9%로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HPV 감염은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도 심각한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1.2. 자궁경부암의 특성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이다. 자궁경부암은 대부분의 경우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이 주된 원인이다. HPV 중에서도 특히 16형과 18형이 자궁경부암 발생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자궁경부암은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어 수년간 병이 진행되다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자궁경부암은 초기 단계에 조기에 발견되면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고 완치될 가능성도 크지만, 암 2기가 지난 후에는 완치율이 70% 미만으로 떨어지게 된다.
자궁경부암은 성경험이 있는 여성에게서 주로 발생하며, 특히 성경험 시작 연령이 빨라짐에 따라 젊은 층의 자궁경부암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최근 들어 한국에서도 10대와 20대 여성의 자궁경부암 환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1.3. HPV 감염과 자궁경부암 실태
HPV 감염과 자궁경부암 실태는 다음과 같다.
HPV에 감염된 사람과 성관계를 맺을 경우 HPV에 감염될 수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자궁경부암 발생과 관련이 높다. 실제로 문헌마다 차이가 있지만, 자궁경부암 환자의 80% 이상, 많게는 99.7%에서 HPV가 관찰된다고 한다. 2019년 스페인 카탈루냐 연구소의 통계에 의하면, 자궁경부암은 15세에서 44세를 기준으로 했을 때 세계 여성암 사망률 2위 질환일 정도로 그 위험성이 높다.
국내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국내 여성 약 6만 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4.2%가 HPV에 감염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중 젊은 층(18-29세)은 성활동이 활발하여 49.9%의 감염율이 보고되었다. 또한 2020년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자궁경부암 진료실 인원은 2015년 5만4368명, 2016년 5만7754명, 2017년 6만65명, 2018년 6만1829명, 2019년 6만2671명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어 최근 4년간 8000명 이상 증가되었다. 연령에 따라 보았을 때, 자궁경부암 진료실 인원은 10대에서 30대 젊은 연령의 여성이 4년 전...
참고 자료
기초간호학회 · 대한미생물학회. 2018. 간호미생물학 제4판. 현문사.
김소연, 강희선. (2021). 여성의 HPV 백신접종 완료 실태 : 총 예방접종 횟수와 백신접종 간격.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2(9), 424-431.
이승연, 한미아, 박종 and 류소연. (2015). 남녀 대학생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접종 및 의도 관련 요인.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5(3), 141-149.
박지영, 김혜령, 이석민, 이소연, 이영현, 이윤아, 장재영, 홍기창, 정현철.(2019).대학생의 자궁경부암 지식, 인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 실태.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9(7),479-490.
[MEDI:GATE NEWS} 남성도 'HPV 백신' 국가예방접종 대상 확대 필요 (2020. 10. 05.)
http://medigatenews.com/news/1835912591
[헬스조선]하루 853명 사망하는 자궁경부암, 성인 70% 원인 바이러스 겪어(2020. 05. 23.)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
[MEDICAL Observer] '나이 불문'…성병 6종 최근 5년간 모두 증가(2020. 04. 16.)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9960
[연합뉴스] 남자 개그맨이 왜 자궁경부암 백신 광고에 나와? [뉴스피처] (2020. 09. 08)
https://www.yna.co.kr/view/AKR2020*************
[PharmNews] 배우 정경호, 왜 자궁경부암 백신 광고모델 됐을까(2021. 06. 22.)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5264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898
주원덕. "초경기 여성 예방접종"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02.0 (2016): 117-121.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 “사람유두종바이러스”. https://nip.cdc.go.kr/irgd/introduce.do?MnLv=3&MnLv2=6&MnLv3=1 (2020.05.20)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소개". https://www.ncc.re.kr/main.ncc?uri=manage01_4 (2020.05.20.)
박영주 외 (2017)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강경아 외 4명, 「여대생의 자궁경부암검사(Pap test) 행위의도 예측 경로모형」,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1호, 한국보건간호학회, 2017, 135-148p
HPV information centre, 「Human Paillomarvirus and related disease report-republic of korea」, 2019.06.17
예방접종도우미,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2019.10.19, https://nip.cdc.go.kr/irgd/index.html
국가암검진사업, , 「자궁경부암」, 국립암센터」, 2019.10.19, https://www.ncc.re.kr/main.ncc?uri=manage01_4
삼성서울병원, 「자궁경부암 세포진 검사에 대하여」,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checkupSub01View.do?content_id=133&DP_CODE=CIC&MENU_ID=004027018
세브란스병원, 「비정상 자궁 경부 세포진」, 2019.10.19, https://sev.iseverance.com/health_info/disease_info/view.asp?con_no=20132
차병원, 「자궁경부암, 꼭 알아두세요!, 2019.10.19,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0028731&memberNo=25786904&vType=VERTICAL
참본정형외과의원,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언제 맞아야하나?, 2019.10.19,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473861&memberNo=38596756&vType=VERTICAL
나주예, 「주변시선에 진료 꺼리자…‘미혼女 전문 산부인과’ 확산!, 문화일보, 2019.10.19,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903080107102100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