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형 환경과 인간생활
1.1. 한반도의 형성과 산지의 모습
한반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지각운동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약 4억 5천만 년 전에는 유라시아 대륙의 일부였으나, 이후 지각운동으로 인해 점차 한반도라는 독립된 반도 지형이 만들어졌다. 특히 제3기 신생대에는 격렬한 화산활동과 융기로 인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한반도의 지반은 대체로 단단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표적으로 화강암과 편마암이 있다. 화강암은 백두산을 비롯한 북부 산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편마암은 주로 중남부 지역에 나타난다. 이러한 단단한 암석들이 형성되면서 한반도의 산지가 발달하게 되었다. 한반도의 주된 산지로는 태백산맥, 소백산맥, 차령산맥 등이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제3기 신생대에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태백산맥은 한반도의 동쪽을 따라 길게 뻗어있으며, 백두산과 함백산 등 높은 봉우리들이 솟아 있다. 이 산맥은 한반도 북동부 지역의 경사를 가파르게 하여 하천 발달을 어렵게 만들었다. 소백산맥은 한반도 중남부에 위치하며, 남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산맥에는 덕유산과 지리산 등의 높은 봉우리들이 있다. 차령산맥은 한반도 서쪽을 따라 뻗어 있는데,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한반도의 산지는 전반적으로 고도가 높고 험준한 편이다. 산지 면적이 전체 국토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평균 해발고도도 500m 정도로 높은 편이다. 이러한 산지 지형은 한반도의 기후, 하천, 토양, 식생 등 자연환경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예를 들어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서 간 강수량 차이가 크게 나타나며, 산지 지형으로 인해 평야 지역이 상대적으로 협소하다. 또한 험준한 산지는 교통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여 지역 간 격리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처럼 한반도의 산지 지형은 오랜 시간의 지각운동과 화산활동을 거쳐 형성되었으며, 이는 한반도 자연환경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한반도 산지 지형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1.2. 하천 지형과 해안 지형
하천 지형은 하천의 상류, 중류, 하류에 따라 다양한 지형이 발달한다. 상류에는 협곡 지형과 계곡 지형이 형성되고, 중류에는 메ander (곡류) 지형과 하안단구 지형이 발달한다. 하류에는 삼각주와 제방 지형이 나타난다. 하천의 유역과 관련하여 하천 지형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를 활용하는 인간의 모습도 관찰할 수 있다.
해안 지형은 파랑과 조류의 영향에 따라 다양한 지형이 발달한다. 해안선 부근에는 사빈, 사구, 갯벌 등이 형성되고, 해식애, 파식대, 해식동굴 등 침식 지형이 나타난다. 또한 리아스식 해안, 피오르 해안, 돌출 해안 등 다양한 침식 및 퇴적 지형이 출현한다. 이러한 해안 지형은 인간이 생활하고 활동하는 데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해안 인근 지역은 주요 도시와 항구가 발달하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해안 지형이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1.3. 화산 지형과 카르스트 지형
화산 지형은 화산 활동으로 인해 형성된 지형을 말한다. 화산 활동으로 인해 솟아오른 용암이나 화산재로 인해 다양한 화산 지형이 만들어진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와 울릉도에서 대표적인 화산 지형을 볼 수 있다. 제주도에는 한라산을 비롯한 수많은 기생화산이 분포하고 있으며, 용암동굴과 용암대지와 같은 다양한 화산 지형이 발달해 있다. 또한 울릉도에는 성인봉을 비롯한 화산체가 잘 발달해 있다.
카르스트 지형은 석회암과 백운암 등의 가용성 암석이 용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지형이다. 석회암이나 백운암이 빗물이나 지하수에 의해 용식되면서 다양한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한다. 대표적인 카르스트 지형으로는 돌리네, 우발레, 포트홀, 석회동굴 등이 있다. 돌리네는 석회암의 용식작용에 의해 형성된 와지 지형으로, 접시 모양, 깔때기 모양, 원통 모양 등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