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충수염 불안 수면장애 간호과정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 충수염 불안 수면장애 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아동 간호학 문헌고찰

2. 사례 개요
2.1. 대상자 정보
2.2. 건강력

3. 임상검사 및 투약기록
3.1. 혈액검사 결과
3.2. 방사선검사 결과
3.3. 약물 투여 내역

4. 간호진단 및 과정
4.1. 간호진단
4.2. 간호 계획 및 중재
4.3. 간호평가

5. 충수염의 이해
5.1. 정의 및 병태생리
5.2. 증상 및 진단
5.3. 치료 및 간호

6. 간호사정
6.1. 일상생활력
6.2. 건강력
6.3. 신체사정

7. 주요 간호중재
7.1. 진단적 중재
7.2. 치료적 중재
7.3. 교육적 중재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아동 간호학 문헌고찰

아동 간호학 문헌고찰은 다음과 같다.

충수염(appendicitis)은 연충 모양의 충수, 작은 림프절, 관, 맹장 끝의 맹낭의 염증과 감염이다. 아동과 청소년에게 이 질환은 응급수술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충수염의 원인은 대체로 바이러스성 감염, 가득 찬 대변물질, 이물질 또는 기생충과 관련된 림프부종에 의한 충수 내강의 폐쇄이다. 충수염은 남녀의 발생 빈도가 같으며, 청년기와 초기 성인기 동안 가장 많이 발생한다. 어린 아동의 경우 진단을 내리기 어렵기 때문에 첫 방문시에 천공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문헌고찰 #1,2).

충수염의 병태생리를 보면, 폐색은 복부팽만, 정맥울혈, 점액과 박테리아의 축적으로 괴저, 천공, 복막염을 유발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우측 하복부 맥버니 포인트에 통증이 집중되고 강도가 심해지며, 오심, 구토, 식욕감퇴, 설사 또는 변비, 발열, 오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충수가 천공되면 처음에는 통증이 경감되나 고열과 탈수 징후가 심하게 나타난다""(문헌고찰 #5.1,5.2).

진단은 보통 전형적인 맥버니 포인트에 국한된 통증과 함께 반동성 압통, 오심, 구토와 발열이 동반될 때 내려진다. 백혈구 수치가 15,000~20,000/㎣로 나오면 임상적 결과를 지지할 수 있다. 빠르고 안전하고 정확한 진단은 일반적으로 초음파 또는 컴퓨터단층촬영으로 내려진다""(문헌고찰 #4).

치료로는 충수 절제술이 주로 이루어지며, 수술 전 아동은 수액요법, 통증 조절을 중재하기 위한 부동, 금식, 항생제 사용 등을 받는다. 천공 의심 시에는 복강경 검사를 시행한다. 아동은 체온조절이 미숙하여 성인보다 열이 잘 나는 편이고, 판단과 표현이 어려워 증상 변화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문헌고찰 #5.3,6).

간호사정에서는 통증, 열, 구토, 설사 또는 변비의 병력을 확인하고, 신체검진을 통해 복부의 민감성과 방어 정도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아동은 복벽의 긴장을 줄이기 위해 오른쪽 다리를 구부린 앙와위를 취하게 된다. 간호사는 천공의 증상, 통증이 심해지다가 갑작스러운 통증의 완화, 경직된 복부, 조기 쇼크 증상에 대해 세밀히 관찰해야 한다. 행동의 변화와 음식에 대한 거부는 유아와 영아의 중요한 지표이므로 잘 살펴야 한다""(문헌고찰 #6).

간호진단으로는 복부의 염증과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급성 통증, 파열 또는 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구토 또는 설사와 관련된 체액부족, 수술과 관련된 불안 등이 있다. 이에 따른 간호중재로는 통증 관리, 감염 예방, 수분 전해질 불균형 예방, 심리적 지지 등이 필요하다""(문헌고찰 #7,8).


2. 사례 개요
2.1. 대상자 정보

대상자는 초등학교 3학년인 10세 남아 김OO으로, 키 142cm, 몸무게 40kg이다. 그는 오늘 학교에서 점심 급식 식사 후 갑작스러운 복통, 어지러움을 호소하여 보건실로 옮겨져 소화제를 투여받았으나 효과가 없어 어머니에게 연락이 취해졌고, 이후 소아청소년과 외래로 내원하였다. 내원 시 실시한 활력징후 측정 결과 BP 100/70mmHg, PR 100회/분, RR 24회/분, BT(고막) 37.5℃로 확인되었다. 의사는 기본적인 혈액학적 검사와 복부 X-ray 검사 실시를 지시하였다. 신체 검진 결과 대상자는 다리를 끌어올린 구부린 자세로 누워있으면서 우하복부 통증, 두통, 구토 증상을 호소하였다."


2.2. 건강력

가족력에서 아버지가 당뇨 병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과거력에서 4세경에 오른쪽 팔 골절 수술을 받은 적이 있다. 예방접종은 DTP, 소아마비, Hib, 폐렴구균, MMR, 수두, 일본뇌염, 성인용 Td 등을 모두 완료하였다. 현재 아동의 건강상태를 살펴보면 식이습관은 일반식을 섭취하고 있으며, 배뇨는 하루 3회, 배변은 하루 2회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수면시간은 하루 6시간 정도로 양호한 편이다. 알레르기 반응이나 특이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임상검사 및 투약기록
3.1. 혈액검사 결과

혈액검사 결과"에 따르면, 입원 당일인 10월 1일에 시행한 혈액검사 결과 RBC 4.5 x 10³/μL, Hgb 12.2 g/dL, Hct 31.2%, WBC 12.9 x 10³/μL, PLT 223 x 10³/μL로 나타났다. 이후 10월 2일 수술 후 시행한 검사 결과 RBC 4.1 x 10³/μL, Hgb 12.0 g/dL, Hct 30.3%, W...


참고 자료

아동간호학 , 현문사, 2017 p. 124-126 /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905-6
맹장염 초기증상, 충수염 수술 http://naver.me/xsw4N00F
박금주 외 (2019),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 계축문화사
김영혜 외 (2018), 아동간호학 각론 : 현문사, 311-313
경동제약, 케토판주 http://naver.me/xNd9ytXV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