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개념과 특징
1.1.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영상 커뮤니케이션이란 "영상물 자체가 그것을 보는 사람에게 어떤 방식으로 전달되어 의미를 전달하는지에 집중한다"는 것이다. 즉, 영상물 창작자와 수용자 사이의 관계도 중요하지만, 영상물 자체와 이를 보는 사람의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이다. 영상 커뮤니케이션은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라스웰의 5단계 모델과 야콥슨의 모델이 있다. 이러한 모델에서 영상은 송신자가 메시지를 만들어내는 하나의 방식이자, 비언어적 시각 요소를 통해 송신자가 뜻하는 바를 전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1.2.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차이
1.2.1.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이란, 영상이 문자 정보보다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특징을 의미한다.
영상은 문자 정보에 비해 시각 정보를 활용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많은 양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행지 안내 정보의 경우 지도를 보여주는 것이 문자로 설명하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또한 영상은 언어, 교육 수준, 연령, 성별, 사회문화적 배경 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인 표현 방식이다. 따라서 영상 커뮤니케이션은 문자 정보에 비해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용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2.2.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보편성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보편성은 영상이 언어, 교육 수준, 연령, 성별, 사회문화적 배경 등과 무관하게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특징을 의미한다.
영상은 시각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언어적 소통과 달리 지역과 문화권을 초월하여 보편적으로 통하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어, 눈물을 흘리는 여성의 영상 이미지는 해당 여성이 어떤 배경의 인물이든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사한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무성영화도 언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폭넓은 관객들에게 전달되는 메시지가 유사한데, 이는 영상이 지닌 보편성 때문이다.
언어는 문법, 어휘 등의 구성요소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지만, 영상은 이러한 언어적 제약에서 벗어나 개인의 특성을 초월하여 소통할 수 있다. 즉, 영상은 시각적 요소를 통해 직관적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언어적 장벽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영상은 문자 정보보다 단시간에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문자 정보는 차근차근 읽어나가야 하지만, 영상은 한 번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의 특성으로 인해 최근 디지털 저널리즘에서는 인포그래픽, 카드뉴스 등 정보의 시각화가 주목받고 있다.
이처럼 영상 커뮤니케이션은 언어, 문화, 배경을 초월하여 보편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1.2.3. 영상 커뮤니케이션과 경험
영상 커뮤니케이션은 문자 언어보다 더 확장성을 지니고 있다. 영상은 직접적으로 체험하는 접촉 지점을 가지며, 일상의 경험이 해석 코드로 활용된다. 문자 언어는 사람들 간 공통된 약속인 문법 지식과 접촉, 코드가 중요하지만, 영상은 다양한 주관적 해석이 가능하므로 약한 코드를 지닌다. 따라서 영상은 문자 언어보다 더 확장성을 갖추고 있어, 언어, 교육 수준, 연령, 성별, 사회문화적 배경 등의 차이가 있더라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인 소통 경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눈물을 흘리는 여성의 영상 이미지는 조국이 다른 두 인물에게서도 유사한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영상은 문자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효율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영상은 언어가 담기 어려운 복합적인 정보도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어 경험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여행 지도를 언어로 설명하는 것보다 영상으로 보여주는 것이 더 많은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즉, 영상 커뮤니케이션은 언어를 초월하여 보편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일상적 체험이 해석의 코드로 작용하여 확장성 있는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2. 영상의 의미 전달 기법
2.1. 환유법의 정의와 특징
환유법은 전체를 표현하기 위해 전체의 일부분이나 구성요소 중 하나의 요소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특정 담론 내에서 요소를 선택하여 의미를 만들어내므로 통합체적으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리얼리즘 소설에서 작가가 현실을 모두 보여주기는 불가능하기에, 현실의 일부분만을 보여주면서 전체를 전달하는 전략을 사용하는데, 이것이 바로 환유법이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드라마가 가장 대표적으로 환유법을 사용하는 영상이라고 볼 수 있다. 드라마 속 등장인물들은 당시 조선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계층을 상징하며, 이를 통해 작가는 특정 시대의 사회상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2.2. 은유법의 정의와 특징
은유법의 정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은유법은 야콥슨에 따르면 시의 특징이라고 한다. 은유는 익숙하지 않거나 알려지지 않은 의미의 정보를 잘 알려진 정보, 이미지와 병치하거나 상호 삽입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