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약물 용량 단위 환산
1.1. 무게 단위
무게 단위는 킬로그램(kg), 그램(g), 밀리그램(mg), 마이크로그램(mcg 또는 μg)으로 구성된다. 1kg은 1,000g과 같고, 1g은 1,000mg, 1mg은 1,000mcg과 같다. 약물 계산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단위는 그램(g)과 밀리그램(mg)이며, 경우에 따라 마이크로그램(mcg)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약물 용량은 mg 단위로 표시되지만, 때에 따라 mcg로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아편성 진통제인 morphine의 용량은 mcg 단위로 표시된다. 이처럼 약물 용량 계산 시 정확한 단위 환산이 매우 중요하다.""
1.2. 부피 단위
부피 단위는 dL(데시리터), L(리터), mL(밀리리터), cc(씨씨)가 있다. 1L는 1000mL, 1mL는 0.001L에 해당한다. 즉, 부피 단위는 10진법 단위 변환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L는 1000mL이고, 1mL는 0.001L이다. 따라서 부피 단위 간 환산이 쉽다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부피 단위는 관련 약물 계산 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약물 농도 계산
2.1. 퍼센트(%) 농도
퍼센트(%) 농도는 용매 100㎖에 들어 있는 용질의 양 g을 백분율로 표시한 농도의 단위이다. 즉, 1% 농도의 용액은 용매 100㎖에 용질이 1g 녹아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2% Lidocaine 100ml에는 Lidocaine이 2g 녹아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퍼센트(%) 농도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농도(%) = {용질의`양} over {용액의`양} x100
이 공식을 이용하면 용질의 양과 용액의 양이 주어졌을 때 퍼센트(%) 농도를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도당 250g이 멸균 증류수 500ml에 녹아 있다면 이 수액의 퍼센트 농도는 {250g} over {500ml} x100 = 50%가 된다.
퍼센트(%) 농도는 약물 투여량을 계산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리도카인 0.5g을 5% D/W 500cc에 혼합하려면 4% Lidocaine을 몇 cc 섞어야 하는지 계산할 수 있다. 4% Lidocaine에는 100ml당 4g의 Lidocaine이 들어있으므로, {500mg} over {4g/100ml} x100 = 12.5ml의 4% Lidocaine을 섞으면 된다.
또한 퍼센트(%) 농도는 약물 농도를 계산할 때도 유용하게 활용된다. 예를 들어, 1% Lidocaine 2cc를 IV로 주사했다면 Lidocaine 성분이 몇 mg 주사된 것인지 계산할 수 있다. 1% Lidocaine 100ml에는 Lidocaine 1g(1000mg)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2cc에는 20mg의 Lidocaine이 포함된 것이다.
이처럼 퍼센트(%) 농도는 약물 농도와 용량을 계산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며, 간호사나 약사가 약물 투여 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개념이다.
2.2. 단위 농도
단위 농도는 용액 내 용질의 양을 용매의 양으로 나타낸 농도의 단위이다. 대표적인 단위 농도로는 몰 농도(M), 몰랄 농도(m), 몰분율(X) 등이 있다.
몰 농도(M)는 용매 1리터에 용질의 양을 몰(mol)로 나타낸 농도 단위이다. 예를 들어 1M 식염수는 1리터의 용매에 58.44g의 염(NaCl) 이 녹아 있는 용액을 의미한다.
몰랄 농도(m)는 용매 1킬로그램에 용질의 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