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재난간호주관식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일산화탄소 중독의 정의 및 심각성
1.2.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의 증가 추세
2. 강릉 펜션 유독가스 질식 사고
2.1. 사고 개요
2.2. 초기 대응 및 환자 이송
2.3. 병원 치료 과정
3. 응급 및 재난 간호술
3.1. KTAS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도구
3.2. 일산화탄소 중독 환자의 응급 간호술
4. 응급 및 재난 간호술의 중요성
4.1. 잘 수행된 간호술
4.2. 부족했던 점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일산화탄소 중독의 정의 및 심각성
일산화탄소는 산소보다 250배 강력하게 혈색소와 결합하여 혈액 내에서 산소운반 능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물질이다. 일산화탄소 중독은 말 그대로 일산화탄소에 중독된 상태를 의미한다. 일산화탄소가 흡입되면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에 산소보다 강하게 결합하여 산소가 각 조직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저산소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폐기능 저하, 호흡 기능 장애, 호흡 시 산소량 부족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과거 연탄을 가정용 연료로 사용하던 시대에는 일산화탄소 중독이 자주 발생하였지만, 시대 발전과 함께 연탄 소비가 감소하면서 일산화탄소 중독의 빈도도 줄어들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연탄이나 착화탄을 이용한 자살이 늘어나고 이를 모방한 자살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사고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여전히 생명을 위협하는 흔한 중독 물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1.2.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의 증가 추세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의 증가 추세는 매우 우려할만한 상황이다. 과거 연탄 소비가 감소하면서 일산화탄소 중독 사고의 빈도가 감소했지만, 최근 들어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연탄이나 착화탄을 이용한 자살시도가 늘어나면서 이를 모방하는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구입이 용이하고 자살성공률이 높으며 비교적 고통스럽지 않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일산화탄소 중독에 의한 자살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인해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는데, 일산화탄소는 여전히 생명을 위협하는 흔한 중독 물질 중 하나이다. 체내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혈액이 산성으로 변하게 되어 호흡중추 등을 자극하여 호흡의 깊이, 호흡 수,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소 부족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처럼 일산화탄소 중독이 우리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응급상황으로 갈 수 있을 만큼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경보기 설치 의무화가 잘 되어있지 않고, 경보기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2. 강릉 펜션 유독가스 질식 사고
2.1. 사고 개요
2018년 12월 18일 대성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 10명이 수능을 마치고 개인체험학습을 신청하여 강원도 강릉 펜션에 여행을 갔다. 이 펜션은 2018년 7월에 영업신고를 하면서 개업한 신축 펜션이었고 학생들은 복층구조로 된 201호에 숙박하게 되었다. 그날 저녁 마당에서 바베큐 파티를 하고 그 후에는 숙소에만 있었던 아이들이 다음날 아침까지 퇴실을 하지 않자 펜션주인이 찾아 왔고 그들은 쓰러진 채로 발견 되었다. 펜션주인은 곧장 신고를 하였고 곧이어 도착한 ...
참고 자료
박재상. (2018). 일산화탄소 중독에 의한 사망사고 분석 및 예방 고찰. 대구 :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7(1). 01-32.
질병관리청. (2023). 일산화탄소. Retrieved February 1, 2023 from https://www.kdca.go.kr/contents.es?mid=a20205130401
안창호. (2013). 고압산소 치료의 실제. 항공우주의학 학술대회, 19-21. Retrieved February 1, 2023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2140486
서울대학교병원. (2023). 일산화탄소 중독. Retrieved February 1, 2023 from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722
재난의료의 원칙 및 체계 / 왕순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J Korean Med Assoc 2014 December; 57(12): 985-992
지진 나자 아기부터 챙긴 산후조리원 직원들 '포착' / SBS https://youtu.be/8R8GVxopH5M
“흔들리는 아기 침대부터 붙잡았다” 포항 산후조리원 지진 당시 상황 (영상) 박혜연기자 2017-11-20 https://www.wikitree.co.kr/articles/319963
"저도 엄마니까요"…아기부터 챙긴 산후조리원 직원들 / SBS 뉴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491506&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
신생아실 업무를 위한 일반 신생아 초기 관리 지침 / 대한산부인과의사회 https://www.kaog.org
반복되는 재난대응훈련의 중요성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정신간호학 실습 케이스 보고서 양식
Edufirst 02 CASE STUDY 188p ~ 198p
844p 수행계획서 양식 , 31p 김화중의 지역사회간호 개념틀
현문사 정신건강간호학 (김수진, 강광순) 외 편역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382p ~ 398p
고문사 제 4판 의사소통과 인간관계론 133p ~ 13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