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5세 발달지연 유아의 대근육 영역 강점을 작성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영유아 발달검사의 종류
2.1. K-DST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 Children)
2.2. 덴버 발달 판별검사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 DDST)
2.3. 사회성숙도 검사 (Social Maturity Scale)
2.4.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2.5. 한국웩슬러 유아지능 검사 (K-WPPSI)
3. 영유아 발달검사의 장단점
4. 영유아 발달검사 선정, 실시, 해석상의 유의사항
4.1. K-DST
4.2. 덴버 발달 판별검사
4.3. 사회성숙도 검사
4.4.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4.5. 한국웩슬러 유아지능 검사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영아 발달 선별검사에서 발달의 모든 영역에서는 생물학적 성숙을 측정하고 이에 따르는 능력의 향상과 환경적인 자극으로 변화하는 다양한 행동들을 평가하는 것이다. 즉 인지, 운동, 언어, 사회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영아 발달 평가에서 사용되는 검사는 대부분 개별 검사로서 출생 후 18개월까지 영아용 검사는 영아를 눕혀놓거나 성인의 무릎에 앉혀 놓고 진행되며 언어적인 지시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자극을 제시하고 반응을 유도하여 동작검사와 비언 어 검사가 주로 이룬다. 이러한 영아 선별검사의 기본적인 개념을 알면서 Bayle 혹은 Gesell과 같은 영아 발달 선별검사의 유용성과 효과에 대해 논해보고 또한 이러한 발달검사들이 영아기 발달과 부모의 양육에 미치는 영향 또한 함께 논하여 보겠다.
2. 영유아 발달검사의 종류
2.1. K-DST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 Children)
K-DST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 Children)는 한국 영유아 발달선별검사로, 생후 4개월~71개월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다. 나이에 따라 5~6개의 발달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평가 영역은 대근육 운동, 소근육 운동, 인지, 언어, 사회성, 자조 등이다. 이 검사는 외국의 발달선별검사(K-ASQ)를 한국형(K-DST)으로 보건복지부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이다. 우리나라 영유아의 특성과 정서 사회적 배경 등을 반영하여 발달지연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영유아 건강관리를 실시할 수 있게 한다. 검사 문항은 우리나라 문화 및 언어 환경에 적합하고 쉬운 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분화된 4점 척도 응답법을 적용하여 결과의 정확성을 높였다. 또한 부모 작성형으로 시간을 단축하였고, 웹(Web) 구현(시스템 구축 예정)으로 수요자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이 검사는 우리나라 영유아 건강검진 월령주기(4~71개월)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2.2. 덴버 발달 판별검사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 DDST)
덴버 발달 판별검사(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 DDST)는 생후 1개월에서 6세까지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검사하여 정상, 의문, 이상, 검사 불능 중의 하나로 판정하고, 필요한 경우 더 정확한 발달검사를 통해 발달지연을 조기발견 하는 데에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훈련받은 검사자가 검사도구인 몇 가지 장난감을 가지고 직접 아이의 반응을 관찰한 후 점수화한다. 검사는 크게 4가지 영역, 즉 개인-사회성, 미세운동-적응성, 언어, 운동성 등에 대한 180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검사 시 아동이 각 문항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관찰하여 점수화하며, 이를 통해 아동의 발달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덴버 발달 판별검사는 발달 선별의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발달이 지연되었거나 위험에 처한 아동을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와 개입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덴버 발달 판별검사는 발달 지연이 의심되거나 발달 위험이 있는 아동을 선별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2.3. 사회성숙도 검사 (Social Ma...
...
참고 자료
아동발달 교안
Bayley발달검사를 이용한 유아의발달평가.연세대학교의과대학소아과학교실.정영미외.1994
정옥분, 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2018.08.25.
영유아발달 척도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송진숙,아해뜰교육연구소책임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교안), 한울평생교육원, 2019년
Bayley 영유아 발달검사(Ⅲ)를 이용한 고위험군 영아의 발달검사, 박주영, 인제 대학교 석사, 2010
12개월 미만 영아에서 베일리 발달검사와 한국형 영유아 발달검사의 비교 연구, 김성국 외 5인,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3, No.1, 대한소아신경학회, 2005.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 3판의 임상적 유용성 - 미숙아를 대상으로, 임유진, 이화여대 석사, 2015
발달 지연아에서 한국형 유아 발달 검사와 베일리 유아 발달 검사의 비교 분석, 김지훈 외 3명, 울산학교 의과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2009
임유진(2015), 한국형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제3판의 임상적 유용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사라 외(2013), 『영아발달』, 파워북.
조문복 외(2016), 『인간발달』, 교문사.
문혁준 외(2015), <영유아발달>, 창지사